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4vtid
안녕~ 오늘은 일본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일본 소개
2. 일본 경제 동향
3. 부진한 이유
4. 일본의 걱정거리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일본 소개

일본은 우리나라 옆에 위치한 나라로
인구가 1억 2천이 넘고
면적이 한반도의 1.7배로 꽤 크며

(북한은 착시효과인듯 ㅋㅋ)
경제규모도 매우 커서 세계 경제의 한 축을
차지하는 나라라고 해. (2015)

일본의 국민소득과 경제력이
상당히 우수해서

일본은 해외순자산만 3천조원이 넘는
후덜덜한 경제대국인데 (2015)
버블 붕괴로 주가와 땅값이
엄청나게 운지해서 (2014)
20년 이상 저상장에 허덕이는 중이야. ㄷㄷ (2013)
(20조엔 = 약 200조원)
이런 일본의 경기침체를 해결하고자 일본 정부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남발했는데 (2013)
별 효과없이 다 실패해서
국가 빚을 엄청나게 늘렸어. ㅋㅋ (2014)
그래서 등장한 사람이 아베 신조 일본총리로
아베노믹스란 이름의 경제정책을
매우 강력하게 추진 중이야. (2013)
1. 일본 소개 요약
1) 일본은 세계적인 경제대국으로 해외순자산만 3천조원임.
2) 버블붕괴 이후 경제가 운지하여 20년 이상 침체되었음.
3) 역대 정권에서 경기부양책을 남발했는데 다 실패했음.
2. 일본 경제 동향
아베 정부는 1800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를 시행해서
환율조작을 어마어마하게 한 상태로 (2015.08)

아베노믹스는 환율조작을 통한 수출증가로
기업이익을 크게 늘리고 투자와 고용을 촉진해서
경제를 회복시키는 계획이라고 해.
아베노믹스 덕분에 일본 기업의
이익이 크게 증가했고 (2015)

주가가 2배 이상 상승했으며 (2015.04)
고용 확대도 매우 많이 올라간 편이야. ㅎㅎ (2015.1분기)
하지만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생각보다 부진한 편으로 (2015. 3분기)

산업생산이 마이너스 증가율을
자주 보이고 있어. (2015.11)
또 투자 증가율이 기대치만큼 높지 않아서 (2015.12)
일본의 마이너스 성장 주범으로
투자 감소를 꼽고 있어서
정말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생각해. ㅋㅋ (2015)
2. 일본 경제 동향 요약
1) 아베 정부는 강력한 통화정책으로 수출과 투자를 촉진하고 있음.
2) 일본기업의 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주가와 고용이 많이 좋아졌음.
3) 기대와 다르게 산업생산과 투자 증가율이 높지 않음.
3. 부진한 이유
환율조작 덕분에 일본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2015.11)
세계경제 침체 때문에 그런지
수출물량은 제자리 걸음 중이고 (2015.11)
일본의 무역의존도가 낮은 편이라
수출 증가의 효과가 약할 것 같아. (2011)
무엇보다 아베노믹스의 양적완화로
2% 이상의 물가상승을 인위적으로 만들었는데 (2015.08)
그만큼의 임금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일본의 실질임금은 계속 하락했고 (2015)
그결과 일본의 가계소득이 크게 감소해서 (2015.12)
가계지출이 무척 약하진 형편이야. ㄷㄷ (2015.12)
이렇게 가계지출이 줄어드니
물가상승률이 다시 낮아지게 되었고 (2015.07)

(출처. 한국은행. 상쇄 : 상반되는 것이 서로 영향을 주어 효과가 없어지는 일.)
내수위축으로 내수기업의 투자가 감소해서
수출 대기업의 투자 증가를 상쇄해버렸어. ㅋㅋ (2015.04)
3. 부진한 이유 요약
1) 수출액은 확실히 증가했으나 수출물량 증가는 거의 없음.
2) 실질임금 감소로 가계소비가 위축되어 내수경제가 안 좋았음.
3) 내수기업의 투자 감소가 수출기업의 투자 증가를 상쇄함.
4. 일본의 걱정거리
아베 정부의 기대와 다르게
경제성장이 부진하고 (2015. 2분기)
환율조작의 부작용으로
국민소득이 낮아지는 것이 문제지만 (2015.12)
가장 큰 문제는 지나치게 많은
정부부채라고 생각해. (2014)
일본은 과도한 경기부양책으로
재정적자((Deficit)가 GDP의 8% 정도이고 (2014)
국가예산의 절반 정도를 국채 발행에 의존해서
국가재정에 문제가 많이 있어. ㄷㄷ (2013)
그래서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일본의 재정건정성을 최악으로 평가하고 (2014)
일본의 신용등급을 여러번 강등해서 (2015.09)
일본 채권시장 붕괴의 운지 시나리오가
조금 있는 편이야. ㅎㅎ
일본 국채 대부분을 일본인들이 보유해서
문제가 없다는 의견이 많지만 (2011)
단기국채 시장의 30% 정도를
이미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고 (2013)
외국인의 일본국채 투자가 많아져서
천조원에 육박하고 있어. ㄷㄷ (2015.12)

(출처: 산업연구원)
여기에 일본의 고령화 문제가 매우 심각하고

일본의 국력 수준에 비해
양적완화를 심하게 해서 (2014. GDP 대비)
내가 일본 운지 드립을 많이 쳤었는데
올해도 무사히 잘 넘어간 편이야. ㅋㅋ (또 펠레)
뭐 어쨌든 일본 운지 시나리오가 확실히 있는 편이라
일본 정부에서 잘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해. ㅎㅎ
4. 일본의 걱정거리 요약
1) 일본의 재정상황이 매우 부실해서 재정건정성 8등급임.
2)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매우 심함.
3) 채권시장 붕괴의 일본운지 시나리오가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68625764
3줄 요약
1. 아베노믹스는 수출과 기업이익 증가, 고용확대의 효과를 보았음.
2. 가계소비 위축의 부작용으로 경제성장률이 생각보다 부진했음.
3. 아베노믹스의 실패 가능성이 높아져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