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tSGr

파나마짤.JPG


안녕~ 오늘은 파나마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파나마 소개


2. 파나마 경제 


3. 파나마 위험 요인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파나마 소개


파나마위치.jpg


파나마는 북미 대륙과 남미 대륙 사이에 


위치한 작은 나라로 







파나마소개.JPG

면적이 한반도의 1/3 크기이고


인구는 약 400만명이라고 해. (2014)







파나마운하_20140814_연합.jpg 

파나마하면 파나마 운하가 


나라의 중심이자 상징으로 (2014)







Feeders.jpg


파나마 운하를 통해 전세계 사람들이 


파나마를 알고 있으며







역사_2007021600597_조선.jpg

파나마의 역사조차 운하 건설을 하기 위해


미군의 힘으로 콜롬비아에서 독립한거야. ㅋㅋ (2007)







파나마국기.JPG


그래서 파나마는 미국과 비교적 가까운 나라로







국가경쟁력.jpg


중남미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칠레 다음으로 높은 편이고 (2015) 




 



중미7개국.jpg

(중미 7개국 지도)


중미 7개국 중에서 파나마(PANAMA)







1인당gdp.jpg

(2015년도 1인당 GDP : 11,851 달러)


1인당 GDP에서 가장 높은 편이라고 해. ㅎㅎ







파나마도시.JPG


덕분에 파나마는 중남미에서 


비교적 살만한 나라로








파나마수준.gif

(인구, 빈곤율, 평균학력, homicide rate= 살인율)


빈곤율, 살인율 등등에서 


주변국보다 많이 양호해서 (2009)







웰빙지수_20140917_연합.jpg

(삶의 질이 설문조사로 주관성이 매우 강함.)


2013년도 세계웰빙지수에서


1위를 찍기도 했어. ㅋㅋ (2013) 







1. 파나마 소개 요약


1) 파나마는 북미 대륙과 남미 대륙 중간에 위치한 작은 나라임.


2) 파나마의 경제수준은 중남미에서 상위권으로 괜찮은 나라임. 


3) 주변국보단 살기 정말 좋은 나라라 세계웰빙지수 1위도 찍었음. 







2. 파나마 경제


SLIDE-(6)-web-safe.jpg


파나마 운하는 미국의 아시아 진출과 







 2014-05-05_716d4.jpg

(파나마 운하 덕분에 8, 000마일(12,800 km)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함.)


미국의 동서 해상무역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panamacanal.jpg


험준한 산맥을 뚫고 만든 것이라


세기의 대공사였다고 해. ㄷㄷ







경제변화.JPG

 

뭐 어쨌든 파나마 운하는 1999년에 


파나마에 반환되어서 


파나마의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하는 중으로 (2013)







운하통관수입.JPG

파나마는 운하 통행료로만 


GDP의 6% 정도 벌고 있으며 (2013)







파나마경제구조.JPG

파나마 경제의 25% 정도가


파나마 운하와 관련된 산업이야. ㅋㅋ (산업구조)








maxresdefault.jpg


또 외국인이 비교적 많이 다니니 때문에 


파나마는 관광업이 발달해서 








송금액과관광업.JPG

(Remittance : 해외 송금액)


파나마(Panama)의 관광업 GDP 비중이 


주변국보다 높게 나오고 있어. (2014)






파나마수출품목.JPG

그리고 파나마의 주요 수출품은 


물고기와 농산품, 목재&종이류로 


이는 파나마 경제가 서비스업 중심이라 그런 것으로 (2014)






파나마무역수지.jpg


무역적자의 발생을


파나마 운하 수입으로 메꾸는 편이야. ㅎㅎ (2012)  







2. 파나마 경제 요약


1) 파나마 경제의 25%는 운하 관련 산업으로 경제의 대들보임.


2) 중남미에서 비교적 괜찮은 나라라 관광업 비중도 높게 나옴. 


3) 파나마의 수출품은 농산품과 원자재 위주로 제조업이 약한 편임. 








3. 파나마 위험 요인

경제성장률2.jpg

파나마의 경제성장률은 조금 들쭉날쭉한 편으로 (2015)








파나마갑문.JPG


이는 파나마 경제의 핵심이 


운하 물류 사업이라 그런거 같아. 







20150526_서울.jpg


세계경제 침체로 해운업이 침체되면


파나마 경제에도 안 좋은 일인데 (2013)







경제성장률.JPG

파나마의 경제성장률이 6% 이상으로


많이 높은 것은 투자(Investment) 덕분으로 (2014)







panama-canal1.jpg 


너무 좁은 파나마 운하 때문에 


배들이 다니기에 불편한 점이 많아 







20140717053521784_NZGK5SN7.jpg


파나마 GDP(475억 달러)의 약 10%에 달하는


52억 달러로 운하 확장공사를 해서


건설투자가 엄청 많아서 그런 것이라고 해. 





경쟁자_20150603_서울.jpg


그런데 중국이 파나마 옆나라인


니카라과에 운하를 건설하고 있고 (2015)







20150519_연합.jpg


안데스 횡단 철도도 만들어 


유럽행 새노선을 만들려고 하고 있으며 (2015. 계획)







2013061700230_조선.jpg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북극항로가 생기는 일이라


파나마 운하의 경쟁자가 늘어날 수 있어. ㅋㅋ (2013) 








파나마운하구조.JPG


파나마 운하는 배가 산 위로 올라가는 방식이라


운하 통과시간이 너무 느려서 문제점이 많고






경제구조짤.JPG

(영어라 미안하다 이기.)


파나마의 경제구조 같은게


조금 약한 편이라 







20150627_WOM937_0.jpg


파나마 운하의 경쟁자들이 생겨나면


파나마의 경제성장률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해. (2015)







3. 파나마 위험 요인 요약


1) 파나마 운하의 경제 비중이 높은데 전세계 해운업이 위축 중임. 


2) 중국이 니카라과 운하를 건설 중이라 파나마 운하에 위협이 됨. 


3) 파나마의 경제구조가 빈약한 편이라 문제가 생길 수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30875647







3줄 요약 


1. 파나마는 중남미에서 비교적 잘사는 소국임. 인구 400만.


2. 파나마 경제의 25%가 파나마 운하 관련 산업이라 함. 


3. 제조업이 빈약해서 바나나, 물고기 등을 수출함. 서비스업이 중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