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XG4w

금표지.JPG


안녕~ 오늘은 금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금이란 무엇인가?


2. 금 수요


3. 금 공급


4. 금시장 변화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금이란 무엇인가?


20110813_서울신문.jpg

금은 지구 상에 존재하는 광물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2011)







금역사.JPG


역사가 엄청나게 오래된 광물로  







장신구.JPG


왕족과 귀족의 장신구로 주로 쓰이다가 






보물상자.jpg

금화가 탄생하면서 화폐로 


무척이나 오랬동안 사용했었어. 







전세계금의수량.jpg

(전세계 금의 수량)


또 금의 수량이 한정되어서


비교적 희귀한 광물이라 







황금사원.JPG


먼 옛날부터 금은 종교시설 등에


많이 사용되었고 







금십자가.JPG


그때문에 금을 숭배하는 문화가


인류사회에 강한 편이야. 







한국은행경제교육.jpg

그리고 화폐로 쓰이던 금은 


금속화폐의 불편함 때문에 


지폐가 대신하게 되었고 








금본위제폐지-한경.jpg


1971년부터 금태환이 정지되어


금은 화폐에서 분리되었어. ㅎㅎ  







금의쓰임세_중앙일보.jpg


그래서 지금의 금은 보석류와 산업용, 


투자용도로 주로 쓰이는 편이야. 







1. 금이란 무엇인가? 요약


1) 금은 역사가 매우 오래된 금속이며 비교적 희귀한 금속임.


2) 금은 화폐로서 인류 역사에 많이 쓰였고 오래도록 숭배되었음. 


3) 금본위제 폐지로 금은 화폐가 아닌 상품으로 사용되고 있음. 







2. 금 수요


Gold-demand-2013.jpg

금은 장신구, 산업, 개인투자


중앙은행 자산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3)







landing_main_rolex.jpg


금 장신구는 반지 같은 것 말고도 


시계, 만년필 등이 있고 







중국.JPG


중국과 중동 등에서는 


섬유에도 많이 쓰이고 있어. 







금보관.JPG


그리고 상당히 많은 나라들에서


금을 외환보유고 용도로 보관하고 있는데 






gold-holdings-by-country-organization-as-of-march-2015-chart.jpg


특히 서양 국가일수록 금의 외환보유고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야. (2015)







20150430한국일보.jpg


투자 목적으로의 금 수요는 


세금 문제 때문에 현물보단


상품시장 투자이고 (2015)







0809_POST-1_Gold1.jpg


금 가격이 크게 상승한 2010년쯤부터 (2010)







금투자.JPG

(보석류, 투자목적)


금 투자가 상당히 많아졌어. (2013. 인도)







2. 금 수요 요약


1) 금은 장신구, 자산투자, 산업, 중앙은행 자산으로 많이 사용됨.


2) 선진국일수록 금의 외환보유고 비중이 높은 편임. 


3) 금 투자는 금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더 많아졌음. 







3. 금 공급


사금채취.JPG


금 생산은 먼 옛날부터


사금 채취로 많이 했고 







41.jpg


지금도 아프리카 같은대서는  


많이 하고 있으며







금광.JPG


그외에는 금광 안에 들어가 금맥을 찾거나 







노천광산.JPG

(이게 더 보편적임. 사금 채취는 미개.)


자연금이 함유된 땅을 


갈아버려서 금을 찾는 편이야. 







2011Top10GlobalGoldProducersNevada.jpg


금 생산은 중국, 호주, 미국, 러시아, 남아공 순으로 


많이 캐고 있으며 (2012)







금생산국.JPG


중국의 금 생산량 증가가 


눈에 띄게 많고 (2013)







world-gold-production-1900-2010.jpg


기술 발달로 금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2010)






금정제2.png


그리고 캐낸 금을 금괴로 정제(Refine)하는 산업은 


스위스, 독일,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많이 하는데 







금정제1.jpg


이는 후진국의 금괴를 선호하지 않는


투자 성향 때문에 그렇다고 해. ㅋㅋ 







3. 금 공급 요약


1) 금 생산은 중국, 호주, 미국, 러시아, 남아공 순으로 많이 함.


2) 기술 발달로 1900년대에 비해 금 생산량이 많이 증가했음.  


3) 금 정제 산업은 브랜드 때문에 선진국에서 많이 함. 







4. 금시장 변화 


20150726파이넨셜.jpeg


금 가격은 2011년에 비하면 


정말 많이 내려갔는데 (2015)







금과달러.gif

이는 달러화 강세금값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그런 것이야. (2015)



달러와금2.JPG


금은 달러와 같은 안전자산인데


달러 가치와 반대로 가는 성질이 있어서







Gold-and-QE.jpg


미국이 4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QE)를 했을 때


금값이 크게 상승했고 (2014)







fedfundsratevsgold.jpg

미국 기준금리가 제로일때


금값이 크게 상승했었어. (2015)







htm_2015072023262250105011중앙.jpg


그래서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미국의 금리인상도 했으니 


금값이 더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어. (2015)







GoldDemandMap-2010.gif


그리고 세계 금수요 측면에서 보자면 


중국과 인도가 세계 금수요의 절반으로 (2010)






AM-BJ589_CGOLD_G_20150623002113.jpg


이 두나라의 금시장 동향이 


세계 금수요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어. (2015) 







indian-gold-imports-2008-2015-through-aug-2015.jpg

인도의 금 수요는 


소폭 둔화되는 추세이고 (2015년 8월) 







China-gold-import-SGE.jpg


중국의 금 수요는 


의외로 증가 추세인데 (2015. 09)







GLD-mining-acquisitions-could-get-boost-from-low-gold-price-07242015-lg.jpg

금광 거래건수가 수직으로 운지하고 (2015. 2분기)







금펀드.jpg


금 펀드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있어서 


금값이 더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해. (2015.09)







20130708101205_이투데이.jpg


그러면 우리나라 외환보유고에


금을 싸게 많이 사서 넣어둘 수 있을 것 같아. ㅎㅎ (2013) 







4. 금시장 변화 요약


1) 미국 달러화 강세로 금값이 계속 하락하고 있음. 


2) 세계 금 수요의 50%는 중국과 인도가 하는데 수요가 일정함. 


3) 그렇지만 금 펀드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있어 금값이 하락할듯.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30875647







3줄 요약


1. 금은 희귀광물로 장신구, 자산투자, 외환보유고 등으로 많이 사용됨.


2. 금 생산 1위가 중국이고 금 수요 1위도 중국임. 금 수요 2위는 인도. 


3. 금값은 2011년에 고점을 친 이후 줄곧 하락하고 있음. 더 낮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