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aMkN


표지짤.jpg

안녕~ 오늘은 세계경제와 우리나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미국 금리인상 영향


2. 원자재 가격 영향


3. 중국 경기침체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미국 금리인상 영향


미극예상_20151218_연합.jpg
미국이 9년 반만에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해서 (2015)







금리_20151217_중앙.jpg

미국의 금리상승이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고 있어. 






미국영향_20151210_매경.jpg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시중금리 상승, 외국자본 유출, 화폐가치 하락 등으로 (2015)






시중금리_20151211_한국경제.jpg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이미 올라간 상태야. (2015.12) 







이자부담_20151218_문화일보.jpg
은행의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상승해서 (2015)






위험가구_20151218_세계.jpg 

위험가구 비율과 위험부채 비율이 

증가하게 되고 (2015)







가계부채_20151124_아시아경제.jpg 
위험가구의 증가는 은행 부실로 이어져

1200조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을

터트릴 수 있는 위험이라고 해. (2015)

캐리트레이드2.jpg

(캐리 트레이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에 투자.)


그리고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줄어들게 되는데  






캐리트레이드.jpg 

달러 캐리 자금이 미국으로 회수되면 

우리나라의 주가나 환율에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외국인순매도_20151213_세계.jpg

6월부터 외국인의 주식 순매도가 

수조원 씩 계속되고 있고 (2015)






외국인_20151206_파이넨셜.jpg

외국인의 강력한 매도세는

주가 상승을 힘들게 만들어서 (2015)







주가와외국인_20151123_동아.jpg

우리나라 코스피가 2000선 이하로 

내려가도록 만드는 중이야. (2015)





미국.JPG

그다음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은

양적완화로 풀린 4천조원 규모의 달러를 

미국 은행으로 돌아가게 만드는 일이라 






달러인덱스_20151124_이투데이.jpg

달러 유동성의 감소로

달러 가치가 조금씩 상승하고 있어서 (2015)







환율_20151214_세계.jpg
우리나라 환율이 달러 당 1200원을 

넘어갈 수도 있다고 해. (12월 14일 기준) 






1. 미국 금리인상 영향 요약

1) 미국 금리인상으로 은행 대출금리가 상승했음. 대출이자 부담이 증가함. 

2) 미국 금리인상으로 외국자본이 빠져나가 주가 하락을 유도하고 있음. 

3) 미국 금리인상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여 환율이 상승할 수도 있음. 







2. 원자재 가격 영향

원자재하락_20151201_국민.jpg
원자재 가격은 올해 크게 하락했는데 (11월 20일 기준)






국제유가_20151215_조선.jpg

그중에서 유가하락이 가장 극적인 편이야. ㅋㅋ (12월 15일 기준) 






치킨게임.jpg

유가하락의 이유로는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과

산유국과 미국 석유업계 간의 치킨게임이 가장 크고






이상고온_20151214_KBS.jpg

슈퍼 엘리뇨로 미국, 일본, 유럽 일부지역의

기온이 많이 올라가서

난방유 수요가 급감한 것도 있으며 (2015)






원자재투기_20151215_이투데이.jpg

헤지펀드가 미국 금리인상으로

원자재 투기를 줄인 것도 있어. (2015)






우리나라수입구조.jpg
(2013년도 우리나라 수입구조)

유가와 원자재 가격하락은 원자재 수입을 

많이 하는 우리나라에게 이로운 일로 






이익과손해_연합.jpg

수입비용이 감소해서 무역흑자가 증가하고

내수소비에 좋은 편이야. (2015)






저유가피해업종_20151209_동아.jpg

다만 일부 산업은 저유가로 피해를 보는 편인데 (2015)







건설수주.jpg

산유국의 경제운지로 

건설업의 해외 수주가 운지했으며 (2015)






발틱운임지수.jpg
(발틱운임지수 :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

원자재를 많이 운반하는 해운업과

해운업에 밀접한 조선업의 업황이 나쁘다고 해. (2015)







중남미경제성장률.jpg

또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신흥국의 경제가 위축되면 (2015)






신흥국수출_20151217_이데일리.jpg

우리나라의 대 신흥국 수출이 

나빠질 수도 있어. (2015) 






사우디매도_20151206_동아.jpg

그외에는 유가하락으로 돈이 궁해진 중동 산유국들이 

우리나라에서 돈을 빼가는 일이 있고 (2015)






중간마진.JPG
유가하락에 비해 석유제품 가격 하락이 낮아

정유와 석유화학산업의 중간마진이 증가해서 (2015)

 




석유화학_20150728_한국경제.jpg

전통적인 견해와 다르게 정유와 

석유화학 업계의 실적이 좋은 편이야. ㅎㅎ (2015) 






2. 원자재 가격 영향 요약

1) 원자재 가격하락은 우리나라의 내수소비에 긍정적인 요인임.

2) 건설, 조선, 해운 등 일부 업종은 저유가에 피해를 보는 편임. 

3) 신흥국 경제가 나빠지면 우리나라의 대 신흥국 수출이 감소할 수 있음. 






3. 중국 경기침체 영향

신흥국_20151217_이투데이.jpg
미국의 금리인상은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하도록 만드는데 (2015) 






자본유출.jpg
(1조 달러 = 천조원)

실제로 상당히 많은 달러자본이 

신흥국에서 빠져나갔어. ㄷㄷ (2015)







중국자본유출_20150919.jpg

중국도 신흥국들과 비슷한 상황으로

핫머니가 많이 빠져나가서  (2015)






외환보유고_20150908_이투데이.jpg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500조원 정도 감소했고 (2015)







중국경제하강.jpg

외국자본의 유출로 중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하강하는 편으로 (2015)






폭동.jpg

경기둔화로 인해 노동쟁의(labor strike)와

시위(protest)가 증가하는 중이라고 해. ㄷㄷ (2015) 






중국천연가스수입증가율.JPG

또 중국의 경기침체로 중국의 

원자재 수입 증가율이 감소해서 (2015. 천연가스)






중국미국.jpg 
미국의 금리인상과 함께 중국의 경기침체가

세계경제 위축을 만들고 있어. (2015)







세계무역_CNN.jpg

실제로 세계무역량이 

2분기 연속 감소했고 (2015)






중국경기침체피해_연합.jpg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은 이유에

중국의 부진이 한몫한다고 생각해. (2015) 






중국경착륙피해_20151130_전자신문.jpg

중국 경제가 부진하면 

국내 산업의 생산이 감소하고 (2015)






한계기업_20151214_중앙.jpg

한계기업들이 줄도산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어. (2015) 






외환보유고_20151210_파이넨셜.jpeg

다만 우리나라의 외환상황이 양호하고 (2015)






무디스신용등급.jpg

다른 나라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강등당할 때

신용등급이 1단계나 상승할 정도라 (2015)






영향_20151217_매경.jpg
부동산과 가계부채 등 내부문제만 잘 다스린다면

다른나라에 비해 비교적 괜찮을 것이라 생각해. ㅎㅎ (2015) 






3. 중국 경기침체 영향 요약

1) 중국에도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해서 중국 경제가 침체 중임.

2) 중국의 경기침체는 중국의 원자재 수입을 줄여 세계경제에 악영향임.

3)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은 이유에는 중국의 경기침체가 한몫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130875647






3줄 요약

1.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 

2. 원자재 가격하락은 내수소비에 도움이 되나 일부 산업은 피해를 봄.

3. 중국의 경기침체도 우리나라 경제에 큰 변수 요인으로 조심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