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덕궁
199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고궁중 하나야
한국을 대표하는 궁궐했을때 사람들은 전부 경복궁을 말하지만 경복궁이 제기능을 한건 임진왜란 전까지만이야
임진왜란때 전소된 이후 200년간은 창덕궁이 법궁이자 정궁 역할을 했었어
창덕궁의 역사를 보자면 태종이 1404년에 공사를 시작해 1405년에 완성한 궁궐이야
원래 태조 이성계는 경복궁을 조선의 법궁으로 세우고 500년 왕조를 열었지만 (근데 이성계도 창덕궁에서 승하함)
태종 이방원이 왕자의 난이라는 피바람을 일으킨 궁이다 보니 기피해서 창덕궁을 지은거야
이후로도 신충 공사는 계속 되었어
창덕궁 설계도
경복궁은 중앙축을 중심으로 건물 배치를 한 나름 규율있게 지어진 반면
창덕궁은 전각들이 지형을 따라 흩뿌려진것마냥 지어졌어 그래서 궁궐의 정문과 정전이 완전히 틀어져버린거야
이런 배치는 동서고금을 만연하고 찾아보기 힘들정도이며 창덕궁은 한국만의 독특한 배치를 가진 궁궐이야
창덕궁의 총 책임자는 박자청이란 인물로 환관이였음에도
장관급인 판서자리에 까지 올랐던 인물이야
그리고 경복궁에서 가장 아름답다던 경회루를 설계한 사람도 바로 이 박자청이야
근데 이 박자청은 사실 엄청난 강심장이자 배짱아였어
태종이 박자청에게 인정문의 밖의 마당을 똑바로 직사각형으로 만들라고 지시를 했는데
이를 씹고 그냥 사다리꼴로 만들었고
이것때문에 복도로 쓰여야할 건물까지 허물고 다시 지으라니까 거다가는 그냥 담만 쌓아버렸어
결국 태종은 나사가 풀려 귀양까지 보냈으나 금방 복귀했고 다시 총책임자로 인명됐어
형제를 죽이고 궁궐에 피바람을 일으켜 정권을 잡았던 태종 이방원
근데 그런 태종의 뜻을 꺾어버렸으니 정말 배짱이 대단했던 인물이라고 밖에 볼 수 없어
조선 초기부터 왕들은 경복궁을 피하는 경향이 좀 있는데
아무래도 지금같이 나무나 녹지가 있는게 아니라 온통 전각뿐이니 숨이 턱 막히고 사람살기에 답답하다고 느꼈을거야
이는 한국만 그런게 아니라 중국도 비슷해 자금성 정말 어마어마하게 크고 전각들 하나하나가 왠만한 건물 크기지
그래서 중국의 명.청대 황제들도 자금성뿐 아니라 넓은 정원과 호수가 갖춰진 중난하이에도 많이 머물렸었다고 해
그러다 임진왜란이 터졌어
정말 한국사에서 조선 전기와 후기를 구분짓는 만큼 굉장히 중요한 전쟁으로
이때 경복궁은 노비놈들이 노비문서 없앨려다 전각에 불을 질렀는데 이게 번져서 전소되고
창덕궁은 쪽바리들이 모두 태워버렸어 ㅠㅠ
그러다 인조때 되서야 경복궁 대신 창덕궁을 복원 시키면서 부활했지
이는 근대에 흥선대원군이 조선 경제를 박살 내가면서 다시 경복궁을 지을때까지 사용되었어
한마디로 조선 중후기는 이 창덕궁이 조선 왕조의 정궁인셈이지
창덕궁이 경복궁 대신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된데에는 보존이 나름 잘 되있었기 때문이야
돈화문,인정전,신정전등 많은 건물들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어 그 가치가 높았지
반면 경복궁은 쪽바리들이 85%를 허물고 근정전 앞에는 조선총독부를 세워 우리의 자존심을 짓밟았지
만약 경복궁이 근대에 복원되지 않았더라면 창덕궁이 그 치욕을 당했을거야...;;
인정문
인정문은 인정전으로 들어가기 위한 문으로
왕위 계승의 준비 장소였어 조선 전기에는 연산군이
중기때는 효종,현종,숙종,영조
후기때는 순조,고종이 이곳을 거쳐서 즉위했어
인정전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이자 태종때 지어졌는데 이때는 지금보다 규모가 작았어
그리고 임진왜란때 쪽바리들이 태워버리고 광해군때 복원되어
기능을 상실한 경복궁 근정전 대신 이곳에서 행사나 식이 거행되었어
인정전은 창덕궁의 특징인 자연과의 조화과 가장 잘 나타난 건물이야
뒤에 나무와 숲등이 어색하지 않고 아름답게 잘 어울러져 있어
그러다 대한제국이 세워지면서
황실 문양이였던 이화문양을 지붕에 세겼고
인정전의 창호색은 원래 근정전과 같은 색이였으나
황제를 뜻하는 노랑색으로 바꿨고

내부는 노란색 천으로 장식한 커튼과 천 그리고 전구등을 설치했어
그리고 옥좌(용상)의 색깔은 원래 갈색이지만 이때부터 황색으로 만든 옥좌(용상)을 썼지
일제강점기 시절 인정전
하지만 쪽바리들이 일제강점기 시절 뜰에 있던 품계석을 모두 없애고
뜰에 화초나 잡초를 심어 훼손시켜버렸어 ㅂㄷㅂㄷ
지금 품계석 복원과 잡초제거는 모두 1994년 김영삼 정권때 이루어진거야
선정전
창덕궁의 편전으로 유일하게 청색 기와를 사용해 쌓은 건물이야
근대에 들어서 인정전과 마찬가지로 전기시설이 들어섰지만
일제강점기때 쪽바리들이 복도각이 헐어버리면서 훼손시켰어
결국 1885년에 보물 제814호에 지정되면서 복원 작업을 거쳐 1997년에 복원된거야
희정당
군주가 침전으로 이용하던 건물이였으나
선정전에서 했던 편전의 기능을 희정당으로 옮겼고
선정전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는 건물로 쓰이게 돼
그러나 1917년 화재가 나서 전소가 됬었고 이를 복원하겠다고
쪽바리들은 경복궁의 침전인 강녕전껄 뜯어다가 재건시켜 버렸어
희정당의 내부를 보면 근대 역사가 느껴지는데
기존 궁궐이 아닌 쪽마루에는 카펫이 깔려있고 창문에는 유리가 끼워졌고
천장에는 샹들리에가 설치되는등 서양식 문물이 설치되있어

창덕궁 후원(비원)
창덕궁 후원은 우리 선조들이 얼마나 자연을 중요시 했는지 잘 보여주는데
한나라의 정궁 안에 이런 화원을 만들어 나지막한 언덕, 계곡과 어우러진 숲과 정원은
자연 그대로를 담고 있는 아름다운 곳이야
정말 창덕궁은 자연과 조화를 매우 잘해서 지은거 같아
대조전
대조전은 희정당과 마찬가지로 1917년 화재때 소실됬는데
쪽바리들은 이걸 복원하겠다고 이번엔 경복궁 왕비 침전인 교태전 헐어 얻은 자재로 복원했어 ㅂㄷㅂㄷ
그리고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황제가 붕어한곳이 이 대조전이고
1910년 나라를 뻿길때도 이 대조전에서 조선왕조가 끝났지...
어떻게 보면창덕궁에서 가장 아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야
낙선재
낙선재는 헌종이 후궁을 위해 지은 전각이였는데
이게 훗날엔 왕이 죽고 그 왕비가 소복차림으로 잠깐식 머물렀던 장소야
우리에게는 마지막 황족이였던 영친왕과 이방자가 머물던 곳으로 유명해
특징이 있다면 너무 궁궐갖지 않을정도로 소소하게 지어졌단거지
신 선원전
이 선원전은 일제강점기때 지어진 건물로 일반에게는 비공개인 건물이야
왜냐면 역대 임금님들의 어진을 모셨던 장소거든
그러나 어진은 전부 불타서 사라져버렸어...
만약 어진이 무사하다면 지금쯤 어진들은 모두 이곳에 하나씩 보관되 있는거지
성정각
왕세자가가 학문을 갈고 닦기 위해 공부를 했던 곳이야
정면 6칸에 측면 2칸 ㄱ형태의 작은 전각이지
아 반대편에 바로 왕세자의 서고와 도서실이 있어

영화당
부용지 동쪽에 있는 전각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각지붕을 하고 있어
광해군때 신축됬으나 현재 전각은 1692년 숙종이 다시 만든거라해
정조대왕이 이곳에서 신하들과 연회를 자주 개최하거나 활솜씨를 뽐내던 곳이지
참고로 정조대왕은 신궁(神弓) 이성계의 화신이라 할정도로 매우 명궁이였다해
조선시대에 그려진 창덕궁, 동궐도
이상 너무 많아 더 못쓸거 같다
긴 글 봐줘서 고맙다
서울 가게 되면 한번쯤 고궁 여행 한번 해보는것도 좋을거 같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