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3p6G
안녕~ 오늘은 결혼 문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저출산-고령화의 심각성
2. 결혼을 안하는 이유-1
3. 결혼을 안하는 이유-2
4. 청년실업 문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저출산-고령화의 심각성
우리나라 출산율은 90년대 이후
급격히 낮아져서 (2015)
선진국보다 출산율이 낮은 상태로 (2015)
국가의 미래에 있어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어. (2014)
인구구조론에 따르면
사람은 생산, 소비, 투자의 주체임으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2015)
경제성장에 있어 무척이나
안 좋은 일이야.
또 노인인구 비중이 증가한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부담이 가중되는 일로
국가와 사회 존속을 위해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꼭 해결해야 해.
1. 저출산-고령화의 심각성 요약
1) 우리나라 저출산이 매우 심각해서 고령화 속도가 빠름.
2)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 경제성장에 악영향임.
3) 노인인구 비중이 증가하면 국가와 사회부담이 그만큼 커짐.
2. 결혼을 안하는 이유-1
우리나라의 혼인율은 90년대부터
빠르게 감소했고 (2005)
지금도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추세야. ㄷㄷ (2014)
우리나라 국민들이 혼외출산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정적임으로 (2015. 청소년 대상)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선 보육 만큼이나
결혼을 장려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 (2015)

결혼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돈 문제로 (2014)
남자는 결혼 비용이 부담스럽고
여자는 마땅한 남자가 없어서 그런거야. ㅋㅋ
노짱 때 우리나라 집값이
3배 정도 상승해서 (2011. 서울 기준)
신혼잡 마련 비용도 덩달아
3배 정도 상승했고 (2012)
그결과 결혼 적령기 남성이 부모의 도움없이
신혼집을 장만하기 어려워졌어. (201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민소득이 많이 상승하거나
주택가격 거품이 해소되어야 하는데 (2015)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상태여서
위의 방법은 쉽지 않을 것 같아. ㅎㅎ (2012)

다른 방법으로는 우리나라의
결혼 문화를 바꾸어서 (2012)
서구사회처럼 월세 문화가 되고
허례허식을 줄이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해. (2009)
또 우리나라의 미혼율이 상승하면서 (2010)
결혼에 대한 인식도 변하고 있는데 (2014)

(http://www.ilbe.com/3608639922 뒤틀린 현실에 연애도 결혼도 하지않는 청춘남녀)
우리나라가 일본을 따라간다면
상당히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어.
따라서 결혼 포기 분위기가 확산되기 전에
결혼 문화를 바꿔야 할 것 같아. (2011)
2. 결혼을 안하는 이유-1
1) 남성은 소득과 결혼비용이 부족해서, 여성은 마땅한 남자가 없어서 결혼을 미룸.
2) 주택가격 상승으로 결혼비용이 크게 상승해서 비용 부담이 극심함.
3) 경제상황이 바뀌거나 결혼문화를 바뀌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듯함.
3. 결혼을 안하는 이유-2
결혼을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에 자식을 낳아
잘 키울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이 있어. (2010)
자녀 교육비 지출 중에
대학교육 지출이 가장 높은데 (2013)
노짱 때 대학 등록금이 너무 많이 올라가서
교육비 부담이 가중된 상황이야. (2010)
또 지난 10년 사이에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었고 (1996~2010)
주거비 부담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해서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매우 높아져서
국민들이 가계 빚에 시달리고 있어. (2014)
그외에 체감 물가상승률이 높고
소득수준에 비해 물가 수준이
높은 단점도 있는 편이야. (2015)
3. 결혼을 안하는 이유-2
1) 자녀 양육비 부담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문제도 있음.
2) 소득 양극화와 가계부채 문제는 가계경제에 부담을 줌.
3) 소득수준에 비해 우리나라 물가가 비교적 높은 편임.
4. 청년실업 문제

우리나라의 청년 실업률이
공식 발표에선 9%지만 (2015)
실상은 더 많이 나쁜 편으로 (2015)
공식 실업률의 3배 정도가
체감 실업률이라고 해.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은
30% 정도로 꽤 높고 (2015. 서울 청년층)
우리나라의 고용률이 서양과 다르게
60% 대이며 (2015)
우리나라 청년층에서
니트족 비중이 상당히 높아서
청년 실업률이 꽤 높을 것 같아. (2015)

또 우리나라는 근로자 대부분이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2009)
고용 양극화가 심한 나라로 (2014)
이런 고용상황과 저소득 문제 때문에
결혼과 출산이 많지 않은 편이야. (2015)
이런 이유로 노동시장 양극화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높고 (2014)
저출산-고령화 대책으로도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해야해. (2015)
우리나라는 노동시장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매우 경직된 편이라 유연성이나 안정성 중에
최소한 하나를 획보해야 하는데 (2013)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방향은
유연성 확보 쪽이야. ㅎㅎ (2015)
뭐 어쨌든 우리나라 7포 세대(5포+꿈, 희망) 문제를
해결할려면 고용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청년층의 고용상황이 좋아지면
복지제도 만큼이나
출산률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2015)
청년실업 해결이야 말로
저출산-고령화 대책의 핵심인 것 같아. ㅎㅎ
4. 청년실업 문제 요약
1) 공식 청년실업률보다 체감 청년실업률이 훨씬 더 높다고 함.
2) 실업과 낮은 소득수준이 결혼율을 떨어뜨리는 원인 중 하나임.
3)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면 결혼율이 증가하고 출산율도 오를 것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75888480
3줄 요약
1. 우리나라 집값이 너무 높아 신혼집 장만이 어려움.
2. 고용조건이 나쁘고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해 결혼율이 낮음.
3. 결혼율이 낮다보니 저출산이 심하고 고령화 속도가 빠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