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F2Fq

유로존짤.jpg 


안녕~ 오늘은 유로존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유로존 소개


2. 유로존 경제위기


3. 유로존 통화정책


4. 최근 경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유로존 소개


유럽.jpg

유럽에는 나라가 매우 많이 있는데 









유로존지도_20150103.jpg


그중에서 19개 나라가 모여 


단일통화의 경제권을 이룩한게 


바로 유로존이라고 해. (2015)









인구지도.JPG


유럽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인구지도)










인당gdp20100512.jpg


생활수준이 대체로 높은 편이라 (2010. 1인당 GDP)










내수규모.jpg


유럽국가들 중에서 일부만 모인 


유로존의 내수규모(Household Consumption)가


미국과 맞먹을 정도야. ㅎㅎ









경제축.jpg

이처럼 유럽은 미국, 중국과 함께 


세계경제의 중요한 한 축인지라 









성장전망2.jpg


유럽 19개 국가의 모임인 유로존의 경제동향은 


우리나라에도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해. 








1. 유로존 소개 요약


1) 유럽 19개 국가의 단일통화 경제연합체를 유로존이라고 함. 


2) 유럽은 인구도 많고 잘사는 동네라 세계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임. 


3) 유로존의 경제동향은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끼침. 









2. 유로존 경제위기


성장전망.jpg

유로존 경제는 그동안 무척 부진했는데 


이는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의 영향과


2011년 유럽 경제위기 때문이야. (2015) 










Europe_economy_0.jpg


유럽 국가들 중에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가 경제운지국으로 










부동산위기.jpg


스페인, 이탈리아, 아일랜드는 


부동산 붕괴로 운지했고 (2013)










그리스금리20150704.jpg

(10년 만기 국채금리)


그리스와 포르투갈은 외채위기로 운지했어. ㅎㅎ (2015)










구제금융.jpg


이런 남유럽 경제위기에 맞서 


유로존은 막대한 구제금융을 시행했고


경제회복에 여러가지 노력을 했는데 (2011)










US vs Eurozone Serv.jpg


유로존미국에 비하면 


서비스업 분야나 (2013)









US vs Eurozone Man.jpg


제조업 분야 등 경제의


여러측면에서 볼때 (2013)










SP500 vs Stoxx.jpg

(미국 S&P500 주가지수, 유로 주가지수)


경제 회복이 더딘 편이라고 생각해. ㅎㅎ (2013)









남유럽운지.gif


이런 문제로 유럽 일부국가들은 


경제운지의 상처가 아직 남아있어. (2014)









2. 유로존 경제위기 요약


1) 유로존은 미국발 경제위기와 남유럽 경제위기로 2번 운지함.


2) 부동산 버블붕괴와 국가재정 부실로 인한 외채위기였음. 


3) 유로존이 경제회복에 여러 노력을 했으나 미국에 비하면 회복이 더딤. 








3. 유로존 통화정책


디플레시작_9U_20150130.jpg


2015년 1월에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이 운지하자 (2015)









mario-draghi.JPG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님은


디플레이션 가능성에 위기감을 느끼고 









양적완화.jpg


1500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를 단행한거야. (2015년 1월)










대출늘려라.jpg


유럽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시행하면


경제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데 









회복M1 Eurozone Economic Sentiment.jpg


통화량 M1경제심리지수(economic sentiment index)가 


비슷한 상관관계가 있고 (2015)










회복2015-02-26.jpg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통화량 M1이 


역시 유사한 상관관계에 있는 등 (2015) 










 경기부양2015-01-23.jpg


양적완화는 대체로 경제회복에 


도움이 되는 편이라고 해. ㅎㅎ









기업이익.JPG

또 양적완화를 해서 그런지


유로존의 기업이익(Profit)이 증가세이고 (2015)









공장가동률과설비투자.JPG

공장가동률설비투자가 회복세이며








실업률2.JPG

유로존 전체 실업률이 2% 정도 감소하는 등


경제회복에 긍정적인 상황이야. (2015)









3. 유로존 통화정책 요약


1) 올 1월에 유로존에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조짐이 보이자 양적완화를 시행함.


2) 양적완화의 돈풀기는 경제회복에 여러가지로 기여한다고 함. 


3) 유로존의 실업률이 소폭 감소하고 기업이익이 증가하는 등의 성과가 있음. 









4. 최근 경제 


유로존금리20151204.jpg


유럽중앙은행은 최근 유로존 


예금금리를 더욱 낮추고 (2015.12)









유로존추가부양.JPG

추가 부양책을 할지 모른다는 말이 나오고 있어. 









물가상승률.jpg

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는


유로존의 물가상승률목표인 2%를


계속 미달해서 그런 것으로 (2015)









물가하락이유.JPG

유가와 원자재 가격하락의 원인이 무척 크지만 (2015) 









통화량Eurozone money supply.jpg

통화공급(M1)에 비해 대출(광의통화m2) 증가율이


영~ 부진한 것도 한몫하는 편이야. (2015)









대출.JPG

대출(bank Lending) 증가율이 이렇게 부진한 이유는 (2015)










부채-810x456.jpg

먼저 유로존의 이미 많은 부채 문제 때문으로 










정부부채.jpg


남유럽 국가들의 정부부채가 


너무 많아 국가경제가 불안하고 (2015)









가계부채Household-debt-in-2013.jpg

북유럽 국가들은 가계부채가 


너무 많아서 그렇다고 해. (2013. GDP 대비) 









유로존부동산.jpg


또 유로존의 부동산(Property) 시장의


회복세가 매우 약해서 (2014)









부동산투자.JPG

부동산 투자가 많지 않고 (2015)









건설업eurozone-construction-volumes.jpg


건설업(Construction)이 부진해서


그런거 같아. ㅎㅎ (2015)









실패각.jpg


투자의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양적완화는


실패할 확률이 높고 










생산가능인구증가율.jpg


유럽의 생산가능인구 증가율 추세가 


나쁘다는 단점이 있지만 (2015)









그리스진압-2015-06-08.jpg


유로존은 그리스의 반란(그렉시트)을 


성공적으로 진압했으며 









개인소비.JPG

개인소비(Consumption)가 2%대의 증가세라 


유로존의 경제회복을 기대하는 편이야. (2015)









4. 최근 경제 요약


1) 물가상승률이 부진하자 유럽중앙은행이 추가 금리인하를 시행했음. 


2) 양적완화의 기대와 다르게 유로존의 대출과 투자 증가율이 높지 않음. 


3) 부동산 시장의 부진과 너무 많은 부채 때문에 투자가 많지 않은듯.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33229587








3줄 요약 


1. 유로존은 유럽의 19개 국가들이 모여 만든 단일통화 경제권임. 


2. 남유럽 국가들의 경제운지로 유로존 경제가 많이 안 좋았음. 


3. 양적완화의 경기부양책으로 경제회복 중이나 일부분은 부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