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CPglo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OECD 통계로 글을 쓸 생각이야.
방대한 자료들 중에서 일부만 쓸 생각이라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OECD 소개
2. OECD 경제통계
3. OECD 사회통계
4. OECD 기타통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OECD 소개

(OECD 홈페이지의 소개란을 구글번역함)
OECD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약어로
OECD는 34개 회원국이 있는
세계적인 국제기구이며

(OECD 홈페이지의 소개란을 구글번역함)
하는 일은 경제전망, 통계수집, 국가간 비교분석
등의 업무를 주로 해서
국가간 정책연구 협력기구라 할 수 있어.
OECD는 각종 경제자료와
국가별 경제보고서 등을 제공해서
언론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고
(행복지수 Better Life Index OECD 보고서 표지. )
재미난 통계와 보고서가 매우 많은 편이야. ㅎㅎ
(http://www.oecd.org/ 에서 Data(자료)로 들어가 indicators(지표) 타입으로 보면 됨.)
OECD 통계는 경제, 교육, 사회 등
8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료가 너무 많아서 일부만 보려고 해.
1. OECD 소개 요약
1) OECD는 경제협력개발기구로 주로 선진국들이 가입하는 국제기구임.
2) 정부 간 정책연구 협력기구로 다양한 통계자료를 많이 제공하고 있음.
3) 국가 간 경제사회 정책협의체로 상호 간의 정책을 조정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기도 함.
2. OECD 경제통계

(china people's republic : 중국은 OECD 회원국이 아님)
먼저 올 3분기 경제성장률에서
우리나라가 OECD 중에서 선방을 하는 편으로 (2015)
산업생산과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소매판매가 전년동월 대비 6.5%나 증가해서
흥미로운 상황이야. ㅎㅎ

뭐 어쨌든 우리니라는 1인당 소득이
OECD 중간 수준으로 이태리와 비슷하며 (2014)

OECD에 소국들이 워낙 많아서
경제규모 순위가 꽤 높고 (2014)

전력생산에 있어 영국보다
우리나라가 많은 편이라고 해. ㅋㅋ (2013)

그리고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OECD 상위권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고 (2014)

(ICT: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 제품 수출에서
일본보다 위에 있는데 (2012)
이유는 뭐 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세계 2위로 많아서 그런거 같아. ㅎㅎ (2013. GDP 대비)
그외에 우리나라는 정부부채가 양호하고
일본이 제일 많으며 (2013. GDP대비)
(2010년 대비 산업생산 증가)
2008년 경제위기 이후에
비교적 선방한 편이라고 해. (2014)
2. OECD 경제통계 요약
1) 소득수준은 OECD 중위권이나 경제규모는 큰 편임. 전력생산에서 영국과 프랑스와 비슷함.
2) 우리나라는 ICT제품 수출에서 일본보다 많고 GDP대비 연구개발 OECD 2위임.
3) 우리나라의 올 3분기 성장률은 OECD 안에서 무척 선방한 편임.
3. OECD 사회통계

(tertiary : 고등 upper secondary : 중등 위, below upper secondary : 중등 아래)
우리나라는 성인교육수준이
비교적 높은 편인데 (2013)

평균 급여가 비교적 낮은 편이고 (2013)

저임금 근로자가 미국 다음으로
무척 많은 편이야. ㄷㄷ (2012)

노동시간은 OECD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높았다가 (2013)
올해 OECD 1위로 등극했고 (2015)

남녀간 임금격차가 OECD에서 가장 심하며 (2012)

(OECD 회원국이 아닌 나라도 간혹 통계에 있음. )
자영업 비율도 무척 높아
브라질, 멕시코와 친구하는 나라인데 (2013)
파트타임 근로자 비중는 비교적 낮게 나왔어.
근데 선진국들이 파트타임 비중이 높으니
우리나라가 안좋은 편인거 같아. ㅎㅎ (2013)

그리고 우리나라는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OECD 상위권이고 (2012)
빈곤율도 높아서
스페인, 그리스와 친구하는데 (202)

소득불평등(지니계수)은 의외로 낮아서
프랑스와 친구하고 있어. (2012)
3. OECD 사회통계 요약
1) 우리나라의 고용조건은 OECD에서 손꼽힐 정도로 나쁜 편임. ㄷㄷ
2) 가계부채 비율이 OECD 상위권이며 자영업 비율도 무척 높음.
3) 빈곤율이 꽤 높은 편이지만 소득불평등은 의외로 양호한 편임.
4. OECD 기타통계

우리나라는 사교육비 지출이
OECD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2011. GDP 대비)
공교육 지출은 OECD 하위권으로
미국과 비슷한 편이야. (2011. GDP 대비)

그에 비해 교사 월급이 상당히 높게 나와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 (2012)
우리나라 교사들이 잡일에 쓰는 시간이 많아서
그렇다는 반론이 있어. (2015)

또 우리나라에 여교사들이 너무 많다는
비판이 많았는데
의외로 여교사 비율이 낮은 편이여서
재미있다고 생각해. ㅎㅎ (2013)

그외에 재미난 통계는 흡연인구가
OECD에서 높은 편이고 (2013)

음주 비율은 생각외로 낮게 나왔는데 (2012)
이는 유럽인들이 맥주를
너무 많이 먹어서 그런거 같아. ㅎㅎ

우리나라의 암 사망율은
일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양호해서 좋은데 (2012)
단점은 인구 천명 당 의사 수가
미국보다 낮은 단점이 있어. (2013)

(일부 국가가 통계에서 빠짐. 2012년도 통계가 많은 이유. )
무엇보다 큰 단점은
우리나라의 낮은 사회복지 지출로
OECD 하위권에 속하며 (2014)

우리나라의 매우 낮은 출산율과 (2013)
(자살율 대부분은 노인 자살율임.)
높은 자살율에 낮은 수준의 사회복지가
기여한다고 생각해. (2012)

뭐 여러 단점들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인프라가 아주 잘 구성되어 있으며 (2012. 인터넷 접근)
성장 전망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
우리나라는 충분히 좋은 나라인 것 같아. ㅎㅎ (2017년 성장 전망치)
4. OECD 기타통계 요약
1) 우리나라 공교육 비중이 낮고 사교육비 지출 비중이 높음.
2) 담배 인구는 많은데 의외로 음주 인구는 낮게 나옴. 특이함.
3) 사회복지지출 비중이 낮은 편이며 출산율이 낮고 자살율이 높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033229587
3줄 요약
1. OECD는 경제협력개발기구로 양질을 통계자료를 많이 만듬.
2. OECD 통계를 볼 때 우리나라의 고용과 복지 수준은 나쁜 편임.
3. OECD 통계에서 우리나라의 성장전망과 경제력이 꽤 좋게 나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