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0aTCw


maxresdefault.jpg


안녕~ 오늘은 오랜만에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경제침체


2. 중국 경제상황


3. 중국 침체의 원인-1


4. 중국 침체의 원인-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경기침체


중국경제대국.GIF

중국은 어마어마한 경제대국으로 (2010)









중국경제2.JPG


미국 다음가는 강대국인데


최근 자본유출(Capital Flow)과 성장둔화 등으로 (2015)









성장률20151020.jpg 


경제성장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 (2015. 3분기) 









우리나라피해_20150908.jpg 


우리나라(South Korea) 경제에서 


대중 수출 비중이 높은 편이라 (2015)









중국피해20151109.jpg 


중국의 경기침체는 우리나라에게


별로 좋지 않은 일인데 (2015) 








성장전망.jpg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중국 정부의 발표보다 더 나쁘게 보는 편이야. (2015) 









성장전망.jpg 


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발표보다 낮은지


또 얼마나 안 좋은지 (2015. 2분기) 









china_us_0.jpg 


세계 제2의 경제대국 중국의 


경제상황을 알아보려고 해. 








1. 중국 경기침체 요약


1)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중요한 나라임.


2) 최근 자본유출과 성장둔화 등으로 경기침체 상황에 처해있음. 


3)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실질 성장률을 4% 정도로 낮게 보고 있음. 








2. 중국 경제상황


산업지표.png 


중국의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소매판매(Retail Sales)


고정자본투자(Investment) 모두 둔화되었고 (2015) 









자동차판매.jpg


자동차 판매(Auto Sales)가 


마이너스 성장 중이며 (2015.08)









전력소비_2015-08-03_at_11_35_17.png

전력소비(Power Consumption)


증가율이 무척 낮은 편이야. (2015.08)










중국수입감소.jpg 

또 중국의 해외 수입(Import)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2015.07)









철도운송량.JPG 


철도 물류량도 11%나 감소했고 (2015.11. 연합뉴스) 








china-money-1.gif 

통화량 증가율(Money Supply) 마저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어. (2015) 









리커창지수.jpg

(리커창지수 : 철도 물동량 △전력 소비량 △은행 신규대출 등 세 가지 지표를 재구성)


그결과 리커창지수가 경제성장률보다 


낮게 나오게 되었고 (2015)









실질-추정치.jpg 


중국 정부의 발표보다 실제 경제가 


더 나쁠 것이란 이야기가 많아진거야. (2015)








2. 중국 경제상황 요약


1) 고정자본투자, 산업생산, 소매판매 모두 증가세가 둔화 중임.


2) 자동차 판매, 전력소비, 철도 운송량 등이 상당히 부진함. 


3) 리커창 총리가 경제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리커창지수가 운지 중. 









3. 중국 침체의 원인-1


investment-share-of-gdp-china-japan1.jpg


중국은 경제에 있어 투자(Investment) 비중이 


무척 높은 나라로 (2015)









투자비중.jpg 


중국의 경제성장에 있어


투자(Investment)의 기여도가 


무척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2015) 










chart-of-the-day-china-property-loans-jan-2011.jpg 


중국(China)의 부동산(Property)과 


건설업 (Construction) 투자 비중은 


과거의 우리나라(Korea), 일본(Japan)을 능가하고 









건설노동자비중.jpg


많은 중국 근로자들이 건설(Construction)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2015)









신규주택가격.jpg


기존주택가격은 경기부양책으로 조금 상승했어도


신규주택가격은 여전히 나쁜 편이라 (2015.07)









중국경제.JPG


중국의 부동산 침체로


부동산 투자(Property Investment)가 급감한 상황이야. (2015) 









성장비중151020-China-FT.jpg 

(Gross capital formation : 총고정자본형성, 투자를 의미함.)


이런 부동산시장 위축으로 중국 경제성장률에서 


투자가 저정도 나왔을지 의문이고 (2015. 3분기)









굴삭기.JPG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굴삭기의








굴삭기_2015-08-03_at_11_34_53.png

(Excavator Sales=굴삭기 판매)


판매량이 엄청나게 많이 운지했어. ㄷㄷ (2015.08) 









중국자원소비.png

그리고 중국은 전세계 철광석(Iron ore)의 


주요 소비처인데 (2015)









선철(pigiron)수요.png

(Pig Iron 선철 :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제철할 때 생기는 것. 보통 무쇠라고 함.)


부동산 침체로 철강 수요가 감소해서 (2015)









China-steel-production.jpg 


건설업의 연관산업인 철강, 시멘트 산업 등이


무척 어려운 편이라고 해. (2015.08. 철강) 








3. 중국 침체의 원인-1


1) 중국에서 부동산 침체가 발생해 부동산 투자가 크게 위축되었음.


2) 중국 경제는 투자 비중이 무척 높아서 부동산 투자감소의 타격이 큼. 


3) 부동산 침체로 건설업과 철강, 시멘트 산업 등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 








4. 중국 침체의 원인-2


전세계비중_20150826.jpg


중국(China)은 전세계 무역(Trade)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출대국으로 (2013)









수출비중_20150819.jpg


경제성장(GDP Growth)에 있어 


수출(Export) 비중이 비교적 큰 편이야. (2015)









Slowing-Export-and-Import-growth-rate-2015-09-20.jpg 


그런데 중국의 수출 증가율이 


세계경제 침체로 안 좋으니 (2015.08)









컨테이너처리량_2015-08-03_at_11_35_08.png

컨테이너 처리량(Container Throughput) 


증가율이 부진하는 등 (2015.08)









dragon.jpg 

중국 경제가 안 좋을만 했어. ㅎㅎ









자본유출입_20150919.jpg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심각한 자본유출(Capital Outflow)로 (2015.09) 








달러캐리.jpg 


그림자금융을 통해 중국에 유입된


달러자본이 빠져나가면서








신탁대출.jpg 


중국 금융의 한축인 


그림자금융이 크게 위축되었고 








중국-외환보유고-추이.jpg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500조원 정도 


줄어든 상황이야. ㄷㄷ (2015.08)









지급준비율.jpg


이렇게 심각한 자본유출에 깜놀한 중국 정부는 


강력한 통화완화 정책을 시행해서 (2015.10)









채권발행20150723.jpg 

(1조 위안 = 178조 원)


중국의 채권발행이 엄청나게 증가하는 등 (2015)









중국통화량.png


감소추세였던 중국의 통화량이 


다시 증가했어. (2015. M2) 









Chinas-debt-by-sector.jpg 


다만 중국의 부채(Debt)가 


단기간에 급증했고 (2014. 부채비율)









China-debt-level-compared-to-crisis-countries.jpg 


위험수준에 근접했으며 (기업과 금융부채)









이자20151120.jpg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238432)


한해 이자만 1300조원을 쓸 정도라


조금 우려스럽다고 생각해. ㅎㅎ 









4. 중국 침체의 원인-2


1) 중국 경제에서 수출비중이 꽤 큰 편인데 수출이 무척 안 좋음. 


2)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해 중국 경제에 악영향임.


3) 상당히 높은 부채비율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93903057








3줄 요약 


1. 중국의 부동산 침체로 투자와 산업 부분이 부진한 편임.


2. 대규모 자본유출이 중국의 그림자금융을 압박해서 금융이 불안해짐. 


3. 강력한 통화정책으로 경기부양 중이나 중국의 부채비율이 너무 높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