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uuOo


천조국.jpg


안녕~ 오늘은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금리인상의 배경-1


2. 금리인상의 배경-2


3. 금리인상 영향력-우리나라 


4. 금리인상 영향력-세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금리인상의 배경-1


경제규모.png


미국은 세계 1위의 초강대국으로 (2015. IMF)










미국경제력.png

주 하나하나의 경제력이 국가급인


어마어마한 경제대국인데 (2015)










리먼사태20111109.jpg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 미국의 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로 


미국 금융권이 폭망하면서 










경제운지.jpg


2008년도에 심각한 경제운지를 겪었어. (2014)










연방준비제도.jpg


이때 미국의 금융부실과 경제운지를 막고자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나서서 










미국금리.JPG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내리고 (2015)










양적완화.jpg


4천조원 규모의 


어마어마한 양적완화를 시행해서 (2014)










벤버냉키.jpg


미국 경제에 돈을 마구마구 푼거야. 










양적완화.jpg


이런 양적완화 정책은 


상당한 효과를 보았는데 










주가회복.jpg

(S&P 500지수: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가 선정한 500개 기업의 주가지수.)


금융위기로 운지했던 


미국 주가가 반등했고 (2013)










주택가격.png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하락했던 집값이 증가했으며 (2015)










건설업.png


건설업이 회복세라고 해. (2015) 











실업률2.jpg


또 경제위기로 급증했던 실업률이 


크게 낮아졌으며 (2015)










가처분소득.png


미국 국민들의 소득 증가율이 


위기 전 수준으로 회복해서 (2015. 가처분소득)










자동차판매.png

자동차 판매가 2007년을 뛰어넘는 등


미국 경제가 많이 좋아졌어. ㅎㅎ (2015)










1. 금리인상의 배경-1 요약


1) 부동산 버블과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미국 경제가 2008년에 크게 운지했음. 


2) 금융부실과 경제운지를 막기 위해 연준이 양적완화와 초저금리 정책을 시행함.


3) 미국의 자산시장이 빠르게 회복하고 실업률이 낮아지는 등의 성과를 보였음. 









2. 금리인상의 배경-2


출구전략.png


미국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하자


연준은 금리인상과 양적완화 축소 등의


출구전략을 하려고 하는데 (2015)









본원통화.png


이유는 그동안 푼 과잉유동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고 (2012. 본원통화










금리인상이유.png


금리경제수준에 맞춰야


새로운 버블을 막을 수 있다고 해. (2015)










연준의목표.jpg


이처럼 양적완화 축소와 버블 예방은 


연준의 주요 과제이고 (2014)










가계신용.png


가계신용 증가율이 


2008년 수준을 넘어서서 (2015) 










테일러준칙20150808.png

(테일러 준칙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에 맞춰 조정하는 것.)


금리인상을 할 필요성이 있었는데 (2015.08) 










미국물가.JPG


기준치 이하로 부진한 물가상승률과 (2015)










소매판매.png


생각보다 약한 일부지표들 때문에


9월 금리인상은 보류하게 되었어.  (2015. 소매판매










빼애애액.jpg


이것은 9월 위기설과 중국운지 드립을 쳤던


내가 펠레가 되는 일이였는데










전문가예상20151119.jpg


많은 전문가들이 


12월 금리인상을 예견하고 있고 (2015.11)










은행배팅20151113.jpg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12월에 배팅했으며 (2015.11)











한국은행예상.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님도 


12월 금리인상을 강하게 전망하셔서 (2015.11)










일정표.jpg


연준이 12월에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상황이야. (2015.09)









2. 금리인상의 배경-2 요약


1) 과잉유동성 축소와 새로운 버블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이 필요함. 


2) 기준치 이하로 부진한 물가상승률 때문에 9월 금리인상을 보류했음. 


3) 글로벌 금융사와 경제전문가들이 12월 금리인상을 많이 전망하고 있음. 










3. 금리인상 영향력-우리나라


연준요정.jpg


연준이 금리인상을 하게되면


자산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금리인상과증시.jpg


역사적으로 볼때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면


항상 주가가 하락했고 










양적완화와주가.PNG


주가상승에 크게 기여한 양적완화


금리인상과 함께


조금씩 감소될 것이라 그런거 같아. (2014)









외국인순매도.jpg

이런 이유로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주식을 많이 팔고 있고 (2015.08) 










최근순매도20151119.jpg 

지금도 빈번하게 


주식 순매도를 하고 있으며 (2015.11)










공매도추이.JPG

9, 10월 동안 감소했던 공매도가 


다시 증가추세야. (2015.11)










환율상승.jpg

(오늘 환율 1달러에 1156.50원)


그리고 내려갔던 환율이 


다시 상승할 수도 있는데 (2015.09)









금리역전시나리오.jpg 

이유는 금리 역전 현상에 의한 


외국자본 유출로










자본유출과환율.JPG


외환시장에서 


달러가 부족해질 수 있는 점과 (2008)










달러강세.JPG

달러화 강세로 원화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그렇다고 해. (2015.09)










시나리오.jpg

하지만 가장 우려스러운 점은 


우리나라의 금리상승으로 










부채비율20150917.jpg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이 상당히 높고 (2015.09)










대출증가_20151108.jpg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그런거야. (2015.11) 










외국인투자20150106.jpg


다만 우리나라가 덜 매력적이라


외국자본 유입이 많지 않고 (2014)










은행건전성.PNG

은행 건전성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


괜찮을 수도 있어. ㅎㅎ(2014)









3. 금리인상 영향력-우리나라 요약


1) 미국의 금리인상은 자산가격 하락을 유도하여 주가하락 가능성이 있음.


2)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인들이 주식 순매도를 자주 하고 있음. 


3) 외국자본 이탈로 주가하락, 환율상승, 금리변동의 가능성이 있음. 









4. 금리인상 영향력-세계


신흥국자본유출.jpg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신흥국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하고 있는데 










자본유출.jpg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게되면


더 크고 더 빠르게 


자본유출이 생길 수 있다고 해. 










글로벌유동성.jpg


이런 자본유출의 이유는


양적완화로 발생한 글로벌 유동성이


미국 금리인상으로 축소되는 점과 (2013)




캐리트레이드.jpg 

(캐리트레이드: 금리가 낮은 통화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나라의 금융상품 등에 투자)


금리인상으로 달러캐리 트레이드를


청산해야 해서 그런 것이야. 










캐리트레이드20091118.jpg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달러캐리 트레이더들의 이자부담이 증가해서










금리인상시나리오.png


투자금을 회수해서 은행 빚을 갚는 경우가 많고


그럴 경우 자본 이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달러강세역사.PNG


그래서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때


2번의 신흥국 경제위기가 있었으며 (2014)










글로벌외국인투자금.jpg


이번에는 외국인투자금이 


무척 많았던 중국 쪽에서 (2014)










중국자본유출_201509011.jpg


자본유출이 크게 발상하고 있는 편이야. (2015.09)









중국부실.png


중국은 과잉생산, 부실기업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으며 (2015)










중국2015112.jpg


부채가 상당히 많아 이자비용이


7.6조 위안 (1,370조4,320억 원)으로


어마어마하게 많고 (2015) 










중국문제점.png


부동산 시장과 그림자금융의 경우 


미국 금리인상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어. 










국제환경.jpg 

이런 이유들로 미국 금리인상이


세계경제의 위험요인인데 


별 일 없었으면 좋겠어. ㅎㅎ 









4. 금리인상 영향력-세계


1) 미국의 금리인상은 글로벌 유동성을 흔드는 힘이 있음. 신흥국에서 자본유출 중. 


2) 미국의 금리인상이 발생하면 달러캐리 트레이드가 많이 줄어들 것임. 


3) 중국에서 자본유출이 꽤 많이 발생해서 중국 경제가 흔들릴 수도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39918138








3줄 요약


1. 미국이 올 12월에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많이 높다고 함. 


2.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주가, 환율, 금리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미국의 금리인상은 글로벌 유동성을 흔들어 신흥국 경제위기를 만들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