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mmoE


시리아.JPG


안녕~ 오늘은 시리아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족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시리아 소개


2. 시리아 경제와 내전발생


3. 시리아 내전 


4. 시리아 경제운지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시리아 소개


시리아위치.gif 


시리아는 중동에 위치한 나라로 










시리아지도.gif 


국토 대부분이 사막


전형적인 중동 국가이고









시리아2010.JPG 

한반도보다 약간 작은 크기에


인구 약 2천만명이라고 해. (2010년 기준)








국민소득.png

시리아 (Syria)는 1인당 GDP 2천 달러 


수준으로 매우 가난하고 (2011)










독재20111024.jpg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장기집권을 하는 나라인데 (2011)










일지20150913.jpg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내전으로 번져 










좆망.JPG 


지금은 콩가루가 된 나라야. (2015)










is.JPG


그리고 시리아는 흉악한 국제테러조직 


IS가 활동하는 곳으로










락까20151117.jpg 


시리아 북부 락까라는 도시를


IS가 수도로 삼았을 정도로 번성하고 있고











삼국지_20151009.jpg 


시리아 정부군, 자유시리아 반군


IS 3개 세력의 다툼으로 


레알 현대판 삼국지를 찍고 있어. (2015)










1. 시리아 소개 요약


1) 시리아는 중동에 위치한 사막 국가로 한반도만한 크기에 인구 약 2천만명임.


2) 1인당 GDP 2천 달러 수준의 매우 가난한 나라이고 독재정권이 지배했었음.


3) 2011년 민주화 시위 이후 시리아 내전이 발생해 완전히 운지한 나라임.









2. 시리아 경제와 내전발생


Syria_Export_Treemap.png


시리아의 2012년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검은색이 원유 수출, 노란색이 농업초록색이 의류로 










오일필드.JPG


시리아는 석유가


나오는 나라야. 










원유생산량20150124.jpg 


하지만 시리아는 원유 수출 


세계 10위권에 들지 않고 (2015)










원유생산.jpg 


시리아(Syria)의 원유 생산량이 


리비아(Libya)의 1/3 수준이라 


생산량이 별로인 나라인 것 같아. (2013)










경제구조2010.JPG


그래도 시리아 경제의 약 30%가


광산업(Mining)인지라


시리아 내에선 몹시 중요한 산업인데 (2010)










syria-oil-production-and-consumption-eia.png 


매장량 감소와 생산시설 노후화 등으로


원유 생산량이 크게 감소했었어. (2010)











경제예상.JPG


상황이 이렇게 되자 경제기관들이 


시리아 운지를 예상했었고 (2010년 통계)










운지.JPG 


아니나 다를까, 시리아 경제가


2011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 된거야. (2011)










syria-flag2.jpg 


경제가 심하게 나빠지자 시리아 국민들은


못살겠다 갈아엎자 백만 민주화 시위를 했는데 











syria-bashar-people-and-army-2013-01-18.jpg 


북한을 보는듯한 알아사드 독재정권은 










반정부시위20120203.jpg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총칼로 ㅁㅈㅎ시켰어. (2012)










자유시리아군20120131.jpg 


이런 알아사드 정권의 폭정과 만행에 맞서


등장한 것이 자유시리아군으로 (2012)










정부군과자유반군201200201.jpg 


정부군에 비해 규모가 한참 딸리지만 (2012)











서방지원20130829.jpg 


서방세계의 물적 지원과 공습으로


자유시리아군이 잘싸우게 된거야. (2013)










2. 시리아 경제와 내전발생 요약


1) 시리아의 산유량이 별 볼일 없지만 그럼에도 시리아 경제의 중심임.


2) 생산시설 노후화로 산유량이 급감해 경제가 운지하고 민주화 시위가 발생함. 


3) 민주화 요구를 독재정권이 총칼로 억누르면서 시리아 내전이 발생함. 









3. 시리아 내전 


종파갈등20130802.jpg 


시리아 내전은 군사력이 강한 정부군이


국민 소수인 시아파와 기독교의 지지를 받고

 


군사력이 약한 자유시리아군이


국민 다수인 수니파의 지지를 받아 (2013) 










내전일지20140313.jpg 


전력이 균형상태가 되어


내전을 빨리 끝내기 힘들게 되었어. (2014)










is역사20151116.jpg


이런 상황에 등장한 것이 바로 IS로 










내전피해20140314.jpg 


내전으로 폭망한 시리아에서 


세력을 크게 키워 (2013)










syria2015map729.jpg 


지금은 IS가 가장 넓은 땅을 


차지한 상황이야. ㄷㄷ (2015.09)


 








농경지2013-09-03.png


하지만 시리아가 사막 국가라


극소수의 땅만 가치가 있어서 (2013. 농업










Syria_Monograph_Pop_Density_v2.jpg


정부군과 자유시리아군의 점령지가 


가치있는 땅으로 (인구










시리아밤사진.png


IS가 차지한 대부분의 땅은


황무지라고 해. ㅋㅋ (2011. 야간 위성사진)










미군타격20140912.jpg


뭐 어쨌든 서방세계가


IS의 확산을 막기 위해 (2014)










공습20140924.jpg 


공습을 무수히 많이 했어도 


지상군 투입이 없어서 (2014)









is군사력20140923.jpg


IS의 병력이 8만명 수준으로 불어나


시리아의 3대 세력이 된거야. (2014)











대결구도.jpg 


그리고 러시아가 시리아 내전에 


깊숙이 개입하고 있는데 











세력도20151002.jpg 


러시아는 아사드 정권을 도와


자유시리아군을 주로 공격해서 


안타까운 일인 것 같아. (2015.10)










3. 시리아 내전  요약


1) 정부군과 자유시리아군의 내전은 교착 상태로 수년간 이어졌음. 


2) 시리아가 혼란스러운 와중에 IS가 세력을 엄청나게 키웠음. 


3)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다르고 소극적으로 개입해서 문제 해결이 어려움. 









4. 시리아 경제운지 


kal-syria-the-economist.jpg 


서방세계가 시리아 내전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사이










유적파괴201505170.jpg 

IS는 문화재를 파괴하고 










20150805.jpg 


약탈과 학살, 성노예 등의 


잔혹한 만행을 계속하는 중이야. 











난민.jpg


이렇게 끔찍한 상황 때문에


많은 시리아 국민들이 조국을 떠나










시리아난민2.jpg 


시리아는 전세계에서


난민이 가장 많이 발생한 나라가 되었고 (2015.06)











시리아난민20150923.jpg 


중동과 유럽 각국으로 피난을 가서 










요르단시리아난민촌.JPG


몹시 힘든 생활을 하고 있어. (요르단 시리아 난민촌) 










석유생산.JPG

또 내전으로 인해 시리아의 원유 생산은


극도로 감소했고 (2014)










밀생산량.JPG


밀(Wheat) 생산량도 


반으로 운지했으며 (2014)










시리아면화수출.JPG 


면화(Cotton) 수출이 거의 없는 상황이야. (2013) 










환율.JPG 

이런 경제상황으로 시리아의 환율이


천정부지로 치솟았고 (2015)










SyriaInflation.png 


수입물가 상승과 산업파괴 등으로 


시리아의 물가가 살인적으로 높아졌으며 (2013.)









실업률.JPG


실업률은 60%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했고 (2013)










경제운지.JPG 

경제가 엄청난 규모로


운지했다고 해. ㄷㄷ (추정치)









최악20130830.jpg 


이처럼 시리아의 생활여건은


세계 최악 수준이고 (2013)











피해규모20150316.jpg 


20만이 넘는 사망자와 


수백만명의 난민이 발생했는데 (2015.03) 










이해관계20151116.jpg 


시리아가 자체적으로 해결할 힘이 없고 


각국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참 안타까운 일인 것 같아. (2015)










4. 시리아 경제운지 요약


1) 시리아 내전으로 20만명 넘게 죽고 수백만의 난민이 발생함.


2) 산업과 농업이 황폐해져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20%씩 찍고 있음. 


3) 살인적인 물가상승과 실업률 60%로 심각한 경제위기 상황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939918138









3줄 요약


1. 시리아는 정부군, 자유시리아군, IS의 삼파전으로 매우 혼란스러움. 


2. 수십만의 국민이 사망하고 수백만의 난민이 발생해서 인구손실이 매우 심함.


3. 실업률 60%에 수십%의 물가상승이 발생했으며 경제가 폭망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