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kAqm
안녕~ 오늘은 해운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해운업 소개
2. 해운업 위기
3. 해운업 구조조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해운업 소개
해운업은 우리나라의 무역 증가와
함께 성장한 산업으로 (2008. 수출액)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해운 강국이고
세계 10위 안에 우리나라 업체가 있을 정도야. (2014)
해운업은 내항과 외항으로 구별하며
해운업과 관련된 부가산업들이 있으며
조선업, 철강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산업이라고 해.
그리그 해운업은 금융과
꽤 밀접하다고 하는데 잘 모르겠고 (2008)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의
해운사가 있으며 (2010. 외항선 기준)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은
다양한 화물선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2010 기준)
또 우리나라가 원자재를 수입한 후
제조업 제품으로 만들어 수출하는지라
수입 물동량이 매우 많고 (2009)
(광탄선 Ore Carrier : 광석을 전문적으로 운반하는 벌크선)
주요 화물선은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 원유운반선 등이야. (2009)
그외에 해운업은 GDP 비중이
2%로 매우 작은 편이지만 (2009년 이후는 전망치)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의 40%를 차지하며 (2009)
우리나라(South Korea)가
세계 6위의 무역강국이라 (2014)
해운업은 우리나라에게 있어
나름 중요한 산업이라고 생각해. ㅎㅎ
1. 해운업 소개 요약
1) 우리나라가 세계 5위의 해운강국이나 글로벌 해운사 순위는 조금 낮은 편임.
2) 우리나라의 화물선은 주로 원자재 운반선으로 컨테이너 선은 20% 정도임.
3) 해운업의 경제비중이 낮은 편이나 우리나라가 무역대국이라 나름 중요함.
2. 해운업 위기
(선복량 Bottoms : 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의 총량. 적재능력)
해운업 위기의 근원은
물동량보다 많은 선복량 때문으로 (2013)
(발틱운임지수: 원자재와 곡물을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
세계경제가 호황일 때 선박 발주를 많이 했다가
2008년 경제운지로 엄청나게 고생하는 중이야. ㅋㅋ (2015)
뭐 어쨌든 세계경제 위기로
세계무역이 위축되어서 (2013.09)
(운임 : 운반이나 운수 따위의 보수로 받거나 주는 돈. )
선박 운임이 엄청나게 감소했고
그때문에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이
심각한 적자를 보고 있어서 (2014)

해운업체들의 부채비율이
엄청나게 늘어났다고 해. ㄷㄷ (2012)
이런 해운업계의 무서운 위기로 (2013. 해운업 3위 팬오션 실적)
(벌크선 Bulk Carrier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전용선)
해운업체들은 벌크선 같이
이익이 적은 사업을 축소하는
대규모 구조조정 중으로 (2013)
자금이 매우 급박했던 현대상선은 (2014)
수익성이 있는 LNG 사업 조차
팔아버렸을 정도였어. ㄷㄷ
이렇게 불필요한 선박을 감축하는
강력한 구조조정으로 (2015. 한진해운)
해운업계는 적자를 줄이고
흑자로 전환되는 등 (2015. 상반기)
작년에 비해 실적이 많이 좋아져
위기를 극복하는 중이야. ㅎㅎ (2015. 상반기)
2. 해운업 위기 요약
1) 화물 물동량에 비해 선복량이 더 많아 공급과잉으로 운임이 운지함.
2) 운임 운지로 해운업체의 영업적자가 매우 심각했음. 부채비율도 급상승함.
3)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올해 실적이 좋아졌음. 뭐 유가하락도 한몫할듯.
3. 해운업 구조조정
중국발 경기침체와 미국 금리인상 우려 등으로
세계무역이 감소하는 중으로 (2015)
(World Trade Volume : 세계무역)
해운업체들에게 매우 나쁜 소식이야. (2015.08)
이런 이유로 전세계 컨테이너 물류의
대표지수인 (컨테이너 물류항 순위)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절반으로 운지하고 (2015.08)

유럽노선 운임도
엄청나게 낮아졌어. ㄷㄷ (2015.06)
그결과 글로벌 해운업체 1위 머스크(Maersk) 사가 (2014)
해운업 1위의 인지도에 걸맞지 않은
행동을 했을 정도로
해운업의 전망이 좋지 않은 편이야. (2015.11)
그래서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이
정부의 지원을 앙망하고 있는데 (2014)

해운업에 대한 지원규모는
형편 없는 상황이고 (2015.11)
정부에서는 기업 합병으로
구조조정을 했으면 하는 입장인 것 같아. (2015)

루머에 불과하지만 정부의 입장은 (2015)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하나로 합쳐지면
세계 3위 급의 해운업체가 나올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매출액 기준)
현대그룹의 지배구조나 중요도에서
현대상선이 매우 중요할 것 같고 (2013)

한진그룹의 자회사 대부분이
한진해운 밑에 있어서 (2013)
기업합병은 서로에게 부담스러운 일이고
선박 보유량과 부채비율을 보면
합병해도 그저그럴 것 같아. (2015.11)
뭐 어쨌든 해운업체의 상황이
매우 안 좋고 (2015.11. 주가)
합병설로 주가가 급락한 상황인데 (2015.11)
잉여선박 해체로
공급과잉을 줄이고 있으며 (2011. 전세계)
조선업의 기술혁신으로
초대형 선박이 점점 늘고 있어 (2013)
해운업의 생산성이 증가될 것이라
해운업체들의 어려운 상황이
언젠가는 나아질 것으로 생각해.
3. 해운업 구조조정 요약
1) 세계경제 침체로 가뜩이나 낮은 선박 운임이 더 낮아지고 있음.
2) 정부는 기업 합병을 통해 글로벌 해운사가 하나 만들어졌으면 하는 것 같음.
3) 기업합병은 양대 그룹에게 큰 리스크이고 부채비율이 둘다 높아 우려스러움.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98089514
3줄 요약
1. 우리나라가 무역을 많이 해서 해운업에 꽤 강한 편임. 선복량 세계 5위.
2. 세계경제 침체로 해상 운임이 운지해서 해운업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
3. 피나는 구조조정으로 올해 실적이 좋아졌으나 운임이 더 떨어져 전망이 나쁜 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