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kAqm

해운업짤.jpg

 

안녕~ 오늘은 해운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해운업 소개

 

2. 해운업 위기

 

3. 해운업 구조조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해운업 소개

 

수출액20081208.jpg

 

해운업은 우리나라의 무역 증가와

 

함께 성장한 산업으로 (2008. 수출액)

 

 

 

 

 

 

 

 

 

해운업순위20150518.jpg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해운 강국이고

 

세계 10위 안에 우리나라 업체가 있을 정도야. (2014)

 

 

 

 

 

 

 

 

해운산업.JPG

해운업은 내항과 외항으로 구별하며

 

해운업과 관련된 부가산업들이 있으며

 

 

 

 

 

 

 

 

 

연결고리20091013.jpeg

 

조선업, 철강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산업이라고 해.

 

 

 

 

 

 

 

 

선박금융변천사.JPG

그리그 해운업은 금융과 


꽤 밀접하다고 하는데 잘 모르겠고 (2008)

 

 

 

 

 

 

 

 

 

해운업선박보유.JPG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의

 

해운사가 있으며 (2010. 외항선 기준)

 

 

 

 

 

 

 

 

선종별구성현황.JPG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은 


다양한 화물선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2010 기준)

 

 

 

 

 

 

 

 

 

물동량.JPG

 

또 우리나라가 원자재를 수입한 후

 

제조업 제품으로 만들어 수출하는지라 


수입 물동량이 매우 많고 (2009)

 

 

 

 

 

 

 

 

 

선박종류.JPG

(광탄선 Ore Carrier : 광석을 전문적으로 운반하는 벌크선)

 

주요 화물선은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 원유운반선 등이야. (2009)

 

 

 

 

 

 

 

 

해운지표.JPG

 

그외에 해운업은 GDP 비중이

 

2%로 매우 작은 편이지만 (2009년 이후는 전망치)

 

 

 

 

 

 

 

 

서비스수출액.JPG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의 40%를 차지하며 (2009)

 

 

 

 

 

 

 

 

 

 

글로벌무역.jpg

 

우리나라(South Korea)가

 

세계 6위의 무역강국이라 (2014)

 

 

 

 

 

 

 

 

 

map-world-trade-routes-sea-air.jpg

 

해운업은 우리나라에게 있어

 

나름 중요한 산업이라고 생각해. ㅎㅎ

 

 

 

 

 

 

 

 

1. 해운업 소개 요약

 

1) 우리나라가 세계 5위의 해운강국이나 글로벌 해운사 순위는 조금 낮은 편임.

 

2) 우리나라의 화물선은 주로 원자재 운반선으로 컨테이너 선은 20% 정도임.

 

3) 해운업의 경제비중이 낮은 편이나 우리나라가 무역대국이라 나름 중요함.

 

 

 

 

 

 

 

 

 

2. 해운업 위기

 

문제원인20131226.jpg

(선복량 Bottoms : 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의 총량. 적재능력)

 

해운업 위기의 근원은

 

물동량보다 많은 선복량 때문으로 (2013)

 

 

 

 

 

 

 

 

 

발틱운임지수.png

 

(발틱운임지수: 원자재와 곡물을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

 

세계경제가 호황일 때 선박 발주를 많이 했다가

 

2008년 경제운지로 엄청나게 고생하는 중이야. ㅋㅋ (2015)

 

 

 

 

 

 

 

 

 

world-trade-growth.png

 

뭐 어쨌든 세계경제 위기로

 

세계무역이 위축되어서 (2013.09)

 

 

 

 

 

 

 

 

 

시장규모_20131028.jpg

운임하락률.JPG

(운임 : 운반이나 운수 따위의 보수로 받거나 주는 돈. )


선박 운임이 엄청나게 감소했고

 

 

 

 

 

 

 


 

영업적자.jpg

그때문에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이

 

심각한 적자를 보고 있어서  (2014) 

 

 

 

 

 

 

 

 

 

해운업부채비율_20130509.jpg

 

해운업체들의 부채비율이 


엄청나게 늘어났다고 해. ㄷㄷ (2012)

 

 

 

 

 

 

 

 

 

팬오션실적20140410.jpg

 

이런 해운업계의 무서운 위기로 (2013. 해운업 3위 팬오션 실적)

 

 

 

 

 

 


 

 

벌크선.jpg

(벌크선 Bulk Carrier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전용선)

 

해운업체들은 벌크선 같이

 

이익이 적은 사업을 축소하는

 

 

 

 

 

 

 

 

한진_자구계획20131113.jpg

 

대규모 구조조정 중으로 (2013)

 

 

 

 

 

 

 

 

 

현대_자구계획20140213.jpg

 

자금이 매우 급박했던 현대상선은 (2014)

 

 

 

 

 

 

 

 

 

Hyundai-Merchant-Marine-Sells-LNG-Transport-Business-for-USD-1.03-Billion-1024x688.jpg

 

수익성이 있는 LNG 사업 조차

 

팔아버렸을 정도였어. ㄷㄷ

 

 

 

 

 

 

 

 

 

 

한준해운구조조정.JPG

이렇게 불필요한 선박을 감축하는

 

강력한 구조조정으로 (2015. 한진해운)

 

 

 

 

 

 

 

 

 

해운업반전2015.jpg

 

해운업계는 적자를 줄이고

 

흑자로 전환되는 등 (2015. 상반기)

 

 

 

 

 

 

 

 

 

상반기순익20150818.jpg

 

작년에 비해 실적이 많이 좋아져

 

위기를 극복하는 중이야. ㅎㅎ (2015. 상반기)

 

 

 

 

 

 

 

 

2. 해운업 위기 요약

 

1) 화물 물동량에 비해 선복량이 더 많아 공급과잉으로 운임이 운지함.

 

2) 운임 운지로 해운업체의 영업적자가 매우 심각했음. 부채비율도 급상승함.

 

3)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올해 실적이 좋아졌음. 뭐 유가하락도 한몫할듯.

 

 

 

 

 

 

 

 

 

3. 해운업 구조조정

 

세계무역_20150823.jpg

 

중국발 경기침체와 미국 금리인상 우려 등으로

 

세계무역이 감소하는 중으로 (2015)

 

 

 

 

 

 

 

 

 

세계무역.JPG

(World Trade Volume : 세계무역)

 

해운업체들에게 매우 나쁜 소식이야. (2015.08)

 

 

 

 

 

 

 

 

 

전세계물류항.jpg

 

이런 이유로 전세계 컨테이너 물류의

 

대표지수인 (컨테이너 물류항 순위)

 

 

 

 

 

 

 

 

 

컨테이너지수_20151104.jpg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가

 

절반으로 운지하고 (2015.08)

 

 

 

 

 

 

 

 

 

 

컨테이너운임20150614.jpg

유럽노선 운임도

 

엄청나게 낮아졌어. ㄷㄷ (2015.06)

 

 

 

 

 

 

 

 

 

머스크_2014071013.jpg

 

그결과 글로벌 해운업체 1위 머스크(Maersk) 사가 (2014)

 

 

 

 

 

 

 

 

 

MAERSK-LINE-11.jpg

 

해운업 1위의 인지도에 걸맞지 않은

 

 

 

 

 

 

 


 

머스크구조조정.JPG

 

행동을 했을 정도로

 

해운업의 전망이 좋지 않은 편이야. (2015.11)

 

 

 

 

 

 

 

 

 

요청내용20140226.jpg

 

그래서 우리나라 해운업체들이 


정부의 지원을 앙망하고 있는데 (2014)

 

 

 

 

 

 


 

 

해운업지원규모20151105.jpg

 

해운업에 대한 지원규모는

 

형편 없는 상황이고 (2015.11)

 

 

 

 

 

 

 

 

 

구조조정20151101.jpg

정부에서는 기업 합병으로

 

구조조정을 했으면 하는 입장인 것 같아. (2015)

 

 

 

 

 

 

 

 

 

 

구조조정20151102.jpg

 

루머에 불과하지만 정부의 입장은 (2015)

 

 

 

 

 

 

 

 

 

해운업규모20150930.jpg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하나로 합쳐지면

 

세계 3위 급의 해운업체가 나올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매출액 기준)

 

 

 

 

 

 


 

 

 현대그룹20131128.jpg

현대그룹의 지배구조나 중요도에서

 

현대상선이 매우 중요할 것 같고 (2013)

 

 

 

 

 

 

 

 

 

한진그룹20130522.jpg

한진그룹의 자회사 대부분이

 

한진해운 밑에 있어서 (2013)

 

 

 

 

 

 

 

 

 

비교불가20151110.jpg

 

기업합병은 서로에게 부담스러운 일이고

 

선박 보유량과 부채비율을 보면

 

합병해도 그저그럴 것 같아. (2015.11)

 

 

 

 

 

 

 

 

 

합병설주가20151110.jpg

 

뭐 어쨌든 해운업체의 상황이

 

매우 안 좋고 (2015.11. 주가)

 

 

 

 

 

 

 

 

 

합병설.jpg

 

합병설로 주가가 급락한 상황인데 (2015.11)

 

 

 

 

 

 

 

 

벌크해체량.JPG

잉여선박 해체로

 

공급과잉을 줄이고 있으며 (2011. 전세계)

 

 

 

 

 

 

 

 

 

 

대형선박.JPG

조선업의 기술혁신으로

 

초대형 선박이 점점 늘고 있어 (2013)

 

 

 

 

 

 

 

 

 

 

선박대형화.jpg

 

해운업의 생산성이 증가될 것이라

 

 

 

 

 

 

 

 

 

MOL_MOTIVATOR.jpg

 

해운업체들의 어려운 상황이 


언젠가는 나아질 것으로 생각해. 









3. 해운업 구조조정 요약


1) 세계경제 침체로 가뜩이나 낮은 선박 운임이 더 낮아지고 있음. 


2) 정부는 기업 합병을 통해 글로벌 해운사가 하나 만들어졌으면 하는 것 같음. 


3) 기업합병은 양대 그룹에게 큰 리스크이고 부채비율이 둘다 높아 우려스러움.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98089514








3줄 요약


1. 우리나라가 무역을 많이 해서 해운업에 꽤 강한 편임. 선복량 세계 5위.


2. 세계경제 침체로 해상 운임이 운지해서 해운업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  


3. 피나는 구조조정으로 올해 실적이 좋아졌으나 운임이 더 떨어져 전망이 나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