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Ig8O
안녕~ 오늘은 건설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건설업 소개
2. 건설업 불황
3. 건설업 회복
4. 우려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건설업 소개
건설업은 우리나라 경제에서
7% 비중의 산업이고 (2008)
전체 취업자 수의 약 7%를
차지하는 산업이야. (2012)
하지만 건설업은 한때 우리나라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산업으로 (2006)
과거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했으며 (2010)
다른 산업에 대한
건설업의 파급력이 좋아서 (2015)

건설 유관산업을 고려하면
건설업은 우리나라 경제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고 해. (2012)
그리고 건설업은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매우 좋고 (2005)
우리나라의 건설업 경쟁력이
매우 우수해서 (2012)
전세계 건설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전하고 있고 (2010)
해외의 멋진 건축물들을
우리나라가 많이 만들고 있어. ㅎㅎ (2012)
1. 건설업 소개 요약
1) 우리나라 경제비중과 취업자 수에서 건설업은 7% 정도를 차지함.
2) 건설업이 경제에 끼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높아 꽤 중요한 산업임.
3) 우리나라의 건설 경쟁력이 아주 우수해 해외에서 선전하고 있음.
2. 건설업 불황
우리나라 주택가격은 2002년~2008년 사이에
3배 정도 상승해서 (2011. 서울 기준)
부동산 개발 사업이
큰 호황을 누렸는데 (2008. 자산총계)
2008년 이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건설업이 크게 위축되었어. (2013)
심각한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업체의 순이익이 운지하면서 (2012)
(한계기업: 재무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
건설업에 한계기업이 많이 생겨나 (2012. 상반기)
많은 건설업체들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했고 (2013)
살아남기 위해서 해외건설을
미친듯이 많이 했다고 해. ㅎㅎ (2013)
(출처: 한국은행 BOK 이슈노트 No.2012-6)
그리고 건설업은 경제성장률보다
성장을 많이 못한 편으로 (2011)
부동산 버블로
신규주택 건설이 많이 위축되고 (2011. 수주액)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거의 완료되면서 (2010. 도로포장률)
공공부분의 건설수주도 점차 줄어들어
건설업의 미래전망이 많이 어두워졌어. (2010)
2. 건설업 불황 요약
1) 부동산 버블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되면서 건설업이 매우 어려웠음.
2) 순이익률이 운지하고 한계기업이 많이 생겨나 구조조정이 많았음.
3) 국내 건설시장이 나빠서 해외 건설수주를 엄청나게 많이 했음.
3. 건설업 회복
부동산 3법 개정과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데 (2015.08)
실제로 주택매매 가격과
거래량이 증가추세라고 해. (2015. 1분기)
그덕분에 주택수주가 회복해서 (2015. 2분기)
건설수주가 크게 증가해 (2015.05)
오랬동안 부진했던 건설업이
회복하는 중이야.ㅎㅎ (2015.03)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토지가격이 2% 정도 상승했고 (2015. 3분기)
수도권의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좋아졌으며 (2015. 상반기)
주요 건설사들의 영업이익이
흑자 상태라 (2015. 3분기. 삼성은 적자)
건설업이 이대로 쭈욱 좋아졌으면 참 좋겠어.
3. 건설업 회복 요약
1) 부동산 3법 개정과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부동산시장이 좋아졌음.
2) 부동산 활성화로 건설업 경기도 회복되고 있음. 건설수주가 크게 증가함.
3) 주요 건설업체의 영업이익이 증가했는데, 삼성의 건설부문은 적자임.
4. 우려사항
우려스러운 점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로 (2013. 4분기)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천조 원 정도로 상당히 많고 (2014)
미국 금리인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조금 우려스러워. ㅎㅎ (2015)
또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고 (2014)

저출산으로
인구 전망이 매우 나빠 (2011)
우리나라는 2018년도 쯤에
인구절벽이 예상되어 (2011)
일본처럼 운지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는 편이야. (2011)
그리고 최근 저유가로
우리나라의 해외 건설수주가 위축되어 (2015. 06)
우리나라 주요 건설사의
해외 수주가 크게 운지했는데 (2015. 1분기)
이문제는 국내 건설수주로 해결되었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2015.04)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미분양 주택은
5년 사이에 꽤 많이 줄었는데 (2015.04)
올해 분양물량이 메가톤급으로
역운지하면서 (2015. 예정)
감소했던 미분양 주택이
최근 소폭 증가추세야. (2015.06)
그런데 부동산과 건설업의
결정요인이 매우 다양해서
전망을 말하기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해. ㅎㅎ
4. 우려사항 요약
1) 저출산으로 우리나라의 인구전망이 장기적으로 나쁜 편임.
2) 저유가로 건설업체의 해외 건설수주가 크게 운지했음.
3) 올해 분양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미분양 가능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03656159
3줄 요약
1. 건설업의 경제비중은 7% 정도지만, 파급효과가 상당히 커서 중요한 산업임.
2. 부동산 버블 이후 발생한 부동산 침체로 건설업체들이 매우 어려웠음.
3. 최근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건설업체들의 실적이 좋아지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