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Ig8O

 

Baustellen_ITER_21.jpg

 

안녕~ 오늘은 건설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건설업 소개

 

2. 건설업 불황

 

3. 건설업 회복

 

4. 우려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건설업 소개

 

산업구조20091120.jpg

 

건설업은 우리나라 경제에서

 

7% 비중의 산업이고 (2008)

 

 

 

 

 

 

 

 

산업별취업자수.JPG

 

전체 취업자 수의 약 7%를

 

차지하는 산업이야. (2012)

 

 

 

 

 

 

 

 

 

건설업비중.png

 

하지만 건설업은 한때 우리나라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산업으로 (2006)

 

 

 

 

 

 

 

 

성장기여도.PNG

과거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했으며 (2010)

 

 

 

 

 

 

후방효과20150319.jpg

 

다른 산업에 대한

 

건설업의 파급력이 좋아서 (2015)

 

 

 

 

 

 

 

 

건설업종사자수20130221.jpg

 

건설 유관산업을 고려하면

 

건설업은 우리나라 경제에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고 해. (2012)

 

 

 

 

 

 

 

 

 

건설업효과_20050126.jpg

 

그리고 건설업은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매우 좋고 (2005)

 

 

 

 

 

 

 

 

건설업경쟁력20120116.jpg

 

우리나라의 건설업 경쟁력이 

 

매우 우수해서 (2012)

 

 

 

 

 

 

 

 

 

인프라수주20120416.jpg

 

전세계 건설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선전하고 있고 (2010)

 

 

 

 

 

 

 

 

 

해외건설_20120702.jpg

 

해외의 멋진 건축물들을

 

우리나라가 많이 만들고 있어. ㅎㅎ (2012)

 

 

 

 

 

 

 

 

1. 건설업 소개 요약

 

1) 우리나라 경제비중과 취업자 수에서 건설업은 7% 정도를 차지함.

 

2) 건설업이 경제에 끼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높아 꽤 중요한 산업임.

 

3) 우리나라의 건설 경쟁력이 아주 우수해 해외에서 선전하고 있음.

 

 

 

 

 

 

 

 

2. 건설업 불황

 

주택가격.png

 

우리나라 주택가격은 2002년~2008년 사이에

 

3배 정도 상승해서 (2011. 서울 기준)

 

 

 

 

 

 

 

 

부동산개발.PNG

 

부동산 개발 사업이

 

큰 호황을 누렸는데 (2008. 자산총계)

 

 

 

 

 

 

 

 

 

공사물량20130630.jpg

2008년 이후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건설업이 크게 위축되었어. (2013)

 

 

 

 

 

 

 

 

 

 

순이익_20130520.jpg

 

심각한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업체의 순이익이 운지하면서 (2012)

 

 

 

 

 

 

 

 

 

한계기업20130122.jpg

(한계기업: 재무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

 

건설업에 한계기업이 많이 생겨나 (2012. 상반기)

 

 

 

 

 

 

 

 

구조조정20130710.jpg

많은 건설업체들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했고 (2013)

 

 

 

 

 

 

 

 

 

해외건설20131126.jpg

 

살아남기 위해서 해외건설을

 

미친듯이 많이 했다고 해. ㅎㅎ (2013)

 

 

 

 

 

 

 

 

경제성장률과건설업.PNG

 (출처: 한국은행 BOK 이슈노트 No.2012-6)

 

 

그리고 건설업경제성장률보다

 

성장을 많이 못한 편으로 (2011)

 

 

 

 

 

 

 

신규주택수주액.PNG

부동산 버블로

 

신규주택 건설이 많이 위축되고 (2011. 수주액)

 

 

 

 

 

 

 

 

도로포장율.PNG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거의 완료되면서 (2010. 도로포장률)

 

 

 

 

 

 

 

 

공공부문비중.PNG

공공부분의 건설수주도 점차 줄어들어

 

건설업의 미래전망이 많이 어두워졌어.  (2010)

 

 

 

 

 

 

 

 

2. 건설업 불황 요약

 

1) 부동산 버블 이후 부동산시장이 침체되면서 건설업이 매우 어려웠음.

 

2) 순이익률이 운지하고 한계기업이 많이 생겨나 구조조정이 많았음.

 

3) 국내 건설시장이 나빠서 해외 건설수주를 엄청나게 많이 했음.

 

 

 

 

 

 

 

 

 

3. 건설업 회복

 

부동산3법.png

 

부동산 3법 개정과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서울거래량20150831.jpg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데 (2015.08)

 

 

 

 

 

 

 

 

 

거래동향.png

 

실제로 주택매매 가격과

 

거래량이 증가추세라고 해. (2015. 1분기)

 

 

 

 

 

 

 

 

주택수주.png

그덕분에 주택수주가 회복해서 (2015. 2분기)

 

 

 

 

 

 

 

 

 

건설수주증가율.png

 

건설수주가 크게 증가해 (2015.05)

 

 

 

 

 

 

 

 

 

 

건설업성장률20151024.jpg

 

오랬동안 부진했던 건설업

 

회복하는 중이야.ㅎㅎ  (2015.03)

 

 

 

 

 

 

 

 

 

지가변동20151028.jpg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토지가격이 2% 정도 상승했고 (2015. 3분기)

 

 

 

 

 

 

 

 

 

증가폭20150720.jpg

 

수도권의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좋아졌으며 (2015. 상반기)

 

 

 

 

 

 

 

 

 

건설업현황20151028.jpg

 

주요 건설사들의 영업이익이

 

흑자 상태라 (2015. 3분기. 삼성은 적자)

 

 

 

 

 

 

 

 

 

 

건설업짤.jpg

 

건설업이 이대로 쭈욱 좋아졌으면 참 좋겠어.

 

 

 

 

 

 

 

 

3. 건설업 회복 요약

 

1) 부동산 3법 개정과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부동산시장이 좋아졌음.

 

2) 부동산 활성화로 건설업 경기도 회복되고 있음. 건설수주가 크게 증가함.

 

3) 주요 건설업체의 영업이익이 증가했는데, 삼성의 건설부문은 적자임.

 

 

 

 

 

 

 

 

4. 우려사항

가계부채1402.jpg

 

우려스러운 점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로 (2013. 4분기)

 

 

 

 

 

 

 

 

 

가계부채.jpg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천조 원 정도로 상당히 많고 (2014)

 

 

 

 

 

 

 

 

 

미국금리인상.jpg

 

미국 금리인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조금 우려스러워. ㅎㅎ (2015)

 

 

 

 

 

 

 

 

 

주택보급률20150831.jpg

 

또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고 (2014)

 

 

 

 

 

 

 

 

가구증가율.PNG

 

저출산으로 

 

인구 전망이 매우 나빠 (2011)

 

 

 

 

 

 

 

 

인구와부동산-한국.PNG

우리나라는 2018년도 쯤에

 

인구절벽이 예상되어 (2011)

 

 

 

 

 

 

 

인구와부동산-일본.PNG

일본처럼 운지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는 편이야. (2011)

 

 

 

 

 

 

 

 

 

해외-수주20150616.jpg

 

그리고 최근 저유가로

 

우리나라의 해외 건설수주가 위축되어 (2015. 06)

 

 

 

 

 

 

 

 

 

해외-수주20150430.jpg

 

우리나라 주요 건설사의

 

해외 수주가 크게 운지했는데 (2015. 1분기)

 

 

 

 

 

 

 

 

 

국내수주20150604.jpg

이문제는 국내 건설수주로 해결되었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2015.04)

 

 

 

 

 

 

 

 

미분양주택20150627.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미분양 주택은

 

5년 사이에 꽤 많이 줄었는데 (2015.04) 

 

 

 

 

 

 

 

 

 

분양물량추이.PNG

 

올해 분양물량이 메가톤급으로

 

역운지하면서 (2015. 예정)

 

 

 

 

 

 

 

 

 

분양물량20150817.jpg

 

감소했던 미분양 주택이

 

최근 소폭 증가추세야. (2015.06) 

 

 

 

 

 

 

 

 

 

부동산결정요인2012.PNG

 

그런데 부동산과 건설업의

 

결정요인이 매우 다양해서

 

전망을 말하기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해. ㅎㅎ

 

 

 

 

 

 

 

 

4. 우려사항 요약

 

1) 저출산으로 우리나라의 인구전망이 장기적으로 나쁜 편임.

 

2) 저유가로 건설업체의 해외 건설수주가 크게 운지했음.

 

3) 올해 분양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미분양 가능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03656159

 

 

 

 

 

 

 

3줄 요약

 

1. 건설업의 경제비중은 7% 정도지만, 파급효과가 상당히 커서 중요한 산업임.

 

2. 부동산 버블 이후 발생한 부동산 침체로 건설업체들이 매우 어려웠음.

 

3. 최근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건설업체들의 실적이 좋아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