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1c4b

세계경제.jpg

 

안녕~ 오늘은 세계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최근 동향 위주로 쓸거라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중국과 세계경제

 

2. 미국과 세계경제

 

3. 세계경제 상황

 

4. 기타 요인들

 

이렇게 쓰려고 해.

 

 

 

 

 

 

 

1. 중국과 세계경제

 

중국경기지표.jpg

 

중국 경제가 점점 둔화되고 있는데 (2015)

 

 

 

 

 

 

 

 

 

중국자원소비.jpg

 

중국은 전세계 원재재를

 

많이 수입해주는 주요 소비처라 (연도 모름)

 

 

 

 

 

 

 

 

 

중국수출_2015.jpg

 

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

 

많은 나라들의 대중국 수출이 급감했어. (2015)

 

 

 

 

 

 

 

 

 

주요국손실규모-0831-15.jpg

이로 인해 많은 나라들이

 

경제 부진을 겪고 있어서 (2015)

 

 

 

 

 

 

 

 

 

 

중국과신흥국20150410.jpg

 

브라질이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2015)

 

 

 

 

 

 

 

 

 

 

중남미성장률20150710.jpg

 

중남미 전체 성장률도

 

몹시 나쁜 상황이야. ㄷㄷ (2015)

 

 

 

 

 

 

 

 

 

원자재시장.jpg

 

그리고 중국의 원자재 수요가 급감하자

 

원자재 가격이 운지하게 되어서 (2015)

 

 

 

 

 

 

 

 

 

국제원자재20150824.jpg

 

주요 원자재 가격이 최저점 상태라고 해. (2015)

 

 

 

 

 

 

 

 

 

세계경제권.png

 

이는 자원을 많이 수입하는

 

선진국과 우리나라에 큰 이득이지만

 

 

원자재를 수출해서 먹고사는

 

원자재 수출국에게 큰 위협이야.

 

 

 

 

 

 

 

 

1. 중국과 세계경제 요약

 

1) 중국 경제가 많이 나빠져서 원자재 수입을 줄이고 있음.

 

2) 원자재 수출국들의 대중 수출이 급감하고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음.

 

3) 원자재 가격이 크게 낮아져 신흥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음.

 

 

 

 

 

 

 

 

2. 미국과 세계경제

 

미국원유생산량.jpg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원유 생산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나 (2014)

 

 

 

 

 

 

 

 

 

국제유가20150825.jpg

 

공급과잉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하락해서 (8월 24일)

 

 

 

 

 

 

 

 

 

러시아운지.jpg

 

원자재 수출이 수출의 60%를 차지하는

 

러시아 경제가 운지하고 (2015)

 

 

 

 

 

 

 

 

 

베네수엘라운지.png

 

석유 수출이 수출의 90%를 차지하는

 

베네수엘라는 폭망해버렸어. ㅋㅋ (2015)

 

 

 

 

 

 

 

 

 

미국전기연율성장률.png

(전기 대비 연율로 왜곡이 조금 있음. )

 

 

이에 반해 미국 경제는 상당한 회복세라 (2015)

 

 

 

 

 

 

 

 

 

우리나라영향.jpg

 

우리나라의 해외 수출 중

 

유일하게 대미 수출만 좋은 상황이야. ㅎㅎ (2015)

 

 

 

 

 

 

 

유동성회수.jpg

 

뭐 어쟀든 미국 경제가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서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푼

 

유동성을 회수하려고 하는데 (2014)

 

 

 

 

 

 

 

 

양적완화_규모.jpg

 

여러 선진국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다보니 (2014)

 

 

 

 

 

 

 

 

 

글로벌유동성.jpg

 

글로벌 유동성이 5년 사이에

 

3배 정도 불어나서  (2013)

 

 

 

 

 

 

 

 

 

천조원자본이동.jpg

 

미국의 유동성 회수는

 

신흥국 경제를 크게 위협하는 일이라고 해. (2015)

 

 

 

 

 

 

 

 

 

 

신흥국주가.jpg

 

이런 미국의 유동성 회수 정책으로

 

신흥국 주가가 크게 흔들리고 있고 (2015)

 

 

 

 

 

 

 

 

 

주가20150903.jpg

 

8월 한달 동안 많은 나라들에서

 

주가가 하락했으며 (2015)

 

 

 

 

 

 

 

 

 

동남아외환상황.jpg

 

외환보유고가 부실한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2015)

 

 

 

 

 

 

 

 

 

동남아외환위기.jpg

 

외환위기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나오는 상황이야. (2015)

 

 

 

 

 

 

 

2. 미국과 세계경제 요약

 

1)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국제유가가 하락해 산유국들이 운지하고 있음.

 

2) 미국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하자 4천조 원 규모의 과잉 유동성을 회수하려고 함.

 

3) 신흥국들에서 자본유출이 발생해  주가와 경제가 흔들리고 있음.

 

 

 

 

 

 

 

3. 세계경제 상황

 

미국중국크로스.jpg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기침체의

 

양방향 공격으로 (2015)

 

 

 

 

 

 

 

 

 

세계교역량.jpg

 

세계 교역량이 크게 감소해서 (2015)

 

 

 

 

 

 

 

 

 

발틱운임지수.png

(발틱운임지수 : 원자재와 곡물을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로, 전 세계 교역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됨.)

 

 

발틱 운임 지수가 2008년 경제위기 때보다

 

나쁜 상황이야. ㄷㄷ (2015)

 

 

 

 

 

 

 

 

 

 

미국무역수지20150507.jpg

 

또 미국 경제가 좋아졌으면 해외 수입이 많아져

 

미국의 무역적자가 증가해야 하는데 (2015)

 

 

 

 

 

 

 

 

 

미국무역적자20150904.jpg

 

셰일가스 생산으로 원유 수입이 줄어들어서 그런지

 

미국의 무역적자가 크게 늘지 않았어. (7월)

 

 

 

 

 

 

 

 

 

미국중국20150826.jpg

 

중국이 과잉공급으로 경제가 부진한데

 

미국이 확실한 호경기가 아니라 (2015)

 

 

 

 

 

 

 

 

 

9월위기설_2015.jpg

 

미국의 금리인상 유보로 한물 갔지만

 

9월 위기설이 있었고 (2015)

 

 

 

 

 

 

 

 

 

9월위기설.jpg

 

 신흥국들의 화폐가치가 하락세이며 (2015)

 

 

 

 

 

 

 

 

 

부도위험.jpg

 

부도위험이 많이 증가한 상황이야. (2015)

 

 

 

 

 

 

 

 

3. 세계경제 상황 요약

 

1)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중국의 경기침체로 세계 교역량이 감소했음.

 

2) 미국 경제가 좋아진다고 하지만 무역수지 적자가 크게 늘지 않았음.

 

3) 신흥국 경제가 나빠져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부도위험이 증가했음.

 

 

 

 

 

 

 

 

4. 기타 요인들

 

CHT_R_eur_ipi_1968ADEC-3504-4105-BA36-9E8D24730520.gif

 

유로존의 산업생산이 증가 추세이고 (7월)

 

 

 

 

 

 

 

 

CHT_R_eur_unemp_4EC47D4B-DCBE-48D8-8125-B0FB21F522FC.gif

 

실업률이 소폭 하락해서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7월)

 

 

 

 

 

 

 

 

 

유로존성장률.jpg

유로존 성장률이 너무 낮아서

 

세계경제를 이끌기에 부족한 편이야. (2015)

 

 

 

 

 

 

 

 

 

Fitch-Global-House-prices.jpg

 

또 세계 각국의 부동산 버블로 (2013)

 

 

 

 

 

 

 

 

총부채비율.jpg

전세계의 부채비율이 크게 증가했으며 (2013)

 

 

 

 

 

 

 

 

 

글로벌주택가격.jpg

 

지금은 부동산 침체로

 

여러 나라가 고통 받고 있어. (2014)

 

 

 

 

 

 

 

 

 

소득격차_20121004.gif

 

그리고 여러 나라에서

 

소득불평등 문제가 있는데 (2011. 미국)

 

 

 

 

 

 

 

 

 

 

소득분배20150616.jpeg

 

 

소득 불평등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평가 받고 (2015. IMF)

 

 

 

 

 

 

 

 

 

 

d02-1.jpg

 

소득 분배가 불평등할때

 

경제위기가 일어났다고 해. (2010)

 

 

 

 

 

 

 

 

 

 

20141122_FNC300.png

 

마지막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생산가능인구 감소 현상이 있고 (2014)

 

 

 

 

 

 

 

 

 

세계경제중국비중.png

 

세계 경제의 큰 축인 중국에  문제가 생기면

 

세계경제가 더 나빠질 확률이 높고 (2015)

 

 

 

 

 

 

 

 

 

중국경착륙20150720.jpg

여러 나라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해서

 

별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어. ㅎㅎ (2015)

 

 

 

 

 

 

 

 

4. 기타 요인들 요약

 

1) 유럽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성장률이 너무 낮은 편임.

 

2) 세계 각국에 부동산 버블이 발생해 부채 문제가 있고 최근엔 부동산 침체 중임.

 

3) 소득 불평등과 인구 고령화 문제도 세계경제 침체에 한 몫한다고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601001049

 

 

 

 

 

3줄 요약

 

1.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기침체로 세계경제가 요동치고 있음.

 

2.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신흥국들의 수출이 감소하고 경제가 나빠짐.

 

3. 세계 교역량이 감소하고 신흥국들 외환위기 가능성이 증가 추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