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LStkN

 

아세안짤AEC2.jpg

 

안녕~ 오늘은 동남아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자료가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동남아 소개

 

2. 동남아 최근 경제

 

3. 경기침체의 원인

 

4. 위기 가능성

 

이렇게 쓰려고 해.

 

 

 

 

 

 

 

1. 동남아 소개

 

 아세안20141210.png

 

동남아는 한반도의 약  20배 크기이고

 

인구 6억 명의 경제권으로 (2014)

 

 

 

 

 

 

 

 

 

1인당소득.png

 

상당히 낮은 국민소득 때문에 (2013)

 

 

 

 

 

 

 

asean-economy-infographic.jpg

 

경제규모는 형편없이 작지만 (2012)

 

 

 

 

 

 

 

 

 

 

asean-market-infographic.jpg

 

6억 명의 상당히 많은 인구와 (2012)

 

 

 

 

 

 

 

 

 

 

 아세안-10개국-경제성장률-GDP-인구-구성-전망.jpg

 

높은 경제성장률 덕분에 

 

유망하다고 평가받는 곳이야. (미래전망)

 

 

 

 

 

 

 

 

 

 

2015050302418_1.jpg

 

동남아의 낮은 임금, 풍부한 천연자원, 미래시장 등을 생각해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고 (2015)

 

 

 

 

 

 

 

 

 

주요지역수출비중.jpg

 

중국 다음으로

 

동남아와 무역을 많이 하고 있으며 (2015)

 

 

 

 

 

 

 

 

 

 

익스포져.jpg

 

우리나라 은행들이

 

동남아에 많이 투자하고 있어. (2014)

 

 

 

 

 

 

 

 

 

 

화폐가치20150908.jpg

 

그런데 최근 동남아의 화폐가치 하락이 심하고 (2015)

 

 

 

 

 

 

 

 

 

신용부도스와프.jpg

 

부도위험 가능성이 크게 올라가서 (8월 13일 기준)

 

 

 

 

 

 

 

 

동남아위기20150906.jpg

 

외환위기 경고가 나오는 중이야. (2015)

 

그래서 동남아 경제로 글을 쓰려고 해. ㅎㅎ

 

 

 

 

 

 

 

 

1. 동남아 소개 요약

 

1) 동남아는 한반도의 약 20배 크기, 인구 6억명의 신흥시장임.

 

2) 낮은 국민소득으로 경제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경제성장이 빠른 곳임.

 

3) 우리나라의 기업, 금융이 많이 진출했고 교역도 많이해서 중요한 곳임.

 

 

 

 

 

 

 

 

 

2. 동남아 최근 경제

 

BOI-ASEAN-Q3-2015-Infographic.jpg

동남아는 최근 여러지표에서

 

부정적인 편인데 (2015)

 

 

 

 

 

 

 

 

구매력평가기준.png

 

경제규모 등에서

 

동남아 대표국가라 할 수 있는 (2013. 구매력평가 GDP)

 

 

 

 

 

 

 

 

 

 

아세안.jp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만 쓸 생각이야.

 

(동남아 전체는 무리인지라 ㅎㅎ)

 

 

 

 

 

 

 

 

소비지출감소_20150825.jpg

 

동남아 3국은 최근 소비지출이

 

감소세이고 (2015)

 

 

 

 

 

 

 

 

 

화폐가치하락.jpg

 

화폐가치가 하락세인데 (2015)

 

 

 

 

 

 

 

 

 

GYH2015081800110004400_P2.jpg

 

태국의 경우 미국발 경제위기

 

수준까지 갔다고 해. ㄷㄷ (2015)

 

 

 

 

 

 

 

 

 

말레이시아서머리.jpg

 

또 실물경제도 안 좋은 편인데

 

말레이시아는 수출, 자동차 판매 등의 지표가 나쁘고 (2015)

 

 

 

 

 

 

 

 

인도네시아경상수지.jpg

 

인도네시아는 경상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으며 (2015)

 

 

 

 

 

 

 

 

 

태국산업생산.gif

 

태국은 산업생산이 마이너스 8%까지 운지하고 (2015년 7월)

 

 

 

 

 

 

 

 

 

 

태국소비.gif

 

소비지출도 마이너스인 상태라 (2015년 7월)

 

 

 

 

 

 

 

 

 

 

 태국최근성장률.jpg

 

태국의 2분기 성장률이 무척 안 좋았어. (2015. 전기 대비)

 

 

 

 

 

 

 

 

 

수출감소20150825.jpg

 

이렇게 동남아의 상황이 나쁘다 보니

 

우리나라의 동남아 수출이 크게 감소했고 (2015)

 

 

 

 

 

 

 

 

 

과거비교20150824.jpg

 

과거의 아시아 외환위기 경험 때문에  

 

 

 

 

 

 

 

 

신흥국위기20150906.jpg

 

혹시라도 동남아에 문제가 생길까

 

걱정하는 중이야.

 

 

 

 

 

 

 

2. 동남아 최근 경제 요약

 

1) 동남아에서 경제규모가 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을 주로 살펴봄.

 

2) 동남아 3국의 여러 지표에서 나쁜 부분이 많이 있음. 태국이 꽤 심함.

 

3) 우리나라의 동남아 수출 운지해서 동남아에 문제가 있나 우려하는 중.

 

 

 

 

 

 

 

 

3. 경기침체의 원인

 

산업비중.png

 

동남아의 경제구조가 서로 다르지만

 

대체로 산업비중이 높은 편에 (2011)

 

 

 

 

 

 

 

 

 

수출의존도.png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제외하면

 

우리나라보다 수출의존도가 높고 (2010)

 

 

 

 

 

 

 

 

 

중국비중.png

 

중국과 일본에 무역을 많이 하는 편이야.

 

 

 

 

 

 

 

 

 

중국침체20150908.jpg

 

동남아가 중국과 수출에 많이 의존하는 편인데

 

중국 경제가 최근 나쁘고 (2015)

 

 

 

 

 

 

 

 

 

세계교역량.jpg

 

세계교역량이 급감하자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출의존도 때문에

 

동남아가 피해를 더 보고 있으며 (2015)

 

 

 

 

 

 

 

 

 

What_did_Thailand_export_in_2013_.png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제조업화학제품 수출이 많은 태국을 제외하면 (2013년도 수출구조)

 

 

 

 

 

 

 

 

 

What_did_Indonesia_export_in_2013_.png

 

광물자원농업 수출이 많은 인도네시아나 (2013년도 수출구조)

 

 

 

 

 

 

 

 

 

What_did_Malaysia_export_in_2013_.png

 

제조업도 많지만

 

광물자원 수출이 꽤 많은 말레이시아는 (2013년도 수출구조)

 

 

 

 

 

 

 

 

 

 

말레이시아수출.gif

 

원자재 가격 하락의 피해도 보는 편이야. (2014. 말레이시아 광물 수출)

 

 

 

 

 

 

 

 

 

the-future-of-automotive-in-aec-era-2-638.jpg

 

그리고 태국은 동남아 최대의 공업국가로

 

원자재 수출과는 거리가 멀지만 (자동차 생산)

 

 

 

 

 

 

 

 

 

태국수출.jpg

 

높은 수출의존도 때문에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해. (수출감소)

 

 

 

 

 

 

 

 

 

태국위기20140219.jpg

 

뭐 사실 태국은 예전부터

 

조금 이상한 편이었어. ㅎㅎ (2013)

 

 

 

 

 

 

 

3. 경기침체의 원인 요약

 

1) 동남아는 내수시장이 비교적 작고,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임.

 

2) 자원 수출이 많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원자재 가격하락에 피해를 봄.

 

3)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은 태국은 세계경제 침체에 영향을 많이 받음.

 

 

 

 

 

 

 

 

4. 위기 가능성

 

자본유출.jpg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세계적인 자본이동으로 (2015)

 

 

 

 

 

 

 

 

말레이시아외환보유고.png

인도네시아외환보유고.png

태국외환보유고.png

 

동남아 3국 모두 외환보유고가 감소 중인데

 

하락 폭은 말레이시아가 가장 심한 편이야. (2015년 8월)

 

 

 

 

 

 

 

 

 

 

외환보유액20150906.jpg

외환필요액보다

 

외환보유고가 많은 것은 태국이지만

 

 

 

 

 

 

 

 

 

외국자본유입.png

 

태국에 투자된 외국자본이

 

경제력에 비해 많아서 그런지 (2012)

 

 

 

 

 

 

 

 

 

 

 

위기가능성.jpg

 

위험 가능성은 태국이 가장 높다고 해.

 

 

 

 

 

 

 

 

 

 

 말레이시아단기외채.jpg

그리고 말레이시아는

 

단기외채가 상당히 많고 (2015)

 

 

 

 

 

 

 

 

 

말레이시아외환20150804.jpg

 

통화가치 하락 폭과 외환보유고 감소가

 

가장 심해서 걱정스럽고 (2015)

 

 

 

 

 

 

 

 

 

아시아부채비율20150422.jpg

 

인도네시아는 부채 비율이

 

상당히 적은 점이 긍정적인데 (2015)

 

 

 

 

 

 

 

 

 

외국인채권비중.png

 

국채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가장 높은 점이 단점이야. (2015. 인도네시아)

 

 

 

 

 

 

 

 

 

New Picture (10).png

 

요즘 세계경제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자본이동이 우려스러운데 (2015)

 

 

 

 

 

 

 

 

 

연쇄위기.png

 

동남아 경제에

 

별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어. ㅎㅎ

 

 

 

 

 

 

 

4. 위기 가능성 요약

 

1) 외환필요액 대비 외환보유고가 많은 나라는 태국이나, 위험 가능성이 제일 높다고 함.

 

2) 말레이시아는 단기외채가 너무 많고 외환보유고 감소와 화폐가치 하락이 제일 심함.

 

3) 인도네시아는 원자재 수출의존도가 높고 국채시장에 외국인 비중이 높은 점이 단점.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530252843

 

 

 

 

 

 

3줄 요약

 

1. 동남아는 우리나라에게 중요한 시장으로 교역과 투자가 활발한 곳임.

 

2. 최근 원자재 가격하락과 대규모 자본이동에 동남아도 피해를 보고 있음.

 

3. 위기취약성은 태국이 가장 높고, 단기외채는 말레이시아가 가장 많고 원자재 수출은 인도네시아가 제일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