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tdfL

 

Federalreserve.jpg

 

안녕~ 오늘은 미국 금리인상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긴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미국의 금리인상

 

2. 금리인상 영향력

 

3. 우리나라의 영향 (1)

 

4. 우리나라의 영향 (2)

 

이렇게 쓰려고 해.

 

 

 

 

 

 

 

1. 미국의 금리인상

 

다우지수와양적완화.jpg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4천조원이 넘는 돈을 풀었고 (2012)

 

 

 

 

 

 

 

 

 

 

image.jpg

 

그런 노력 덕분에 경제위기로 역운지했던

 

미국의 실업률이 다시 낮아졌어. (2015)

 

 

 

 

 

 

 

 

 

 

NA-CG964_GDP_16U_20150827184825.jpg

 

 

그리고 이제 미국의 경제지표가

 

아주 좋은건 아니지만 (8월 27일자 기사)

 

 

 

 

 

 

 

 

 

 

금리인상20150524.jpg

 

미국 연준이 올 9월에

 

금리인상을 할거라고 해.

 

 

 

 

 

 

 

 

 

 

본원통화.png

 

미 연준의 금리인상 이유는 

 

경기부양을 위해 푼 어마어마한 유동성과

 

회복한 경제가 결합해 버블이 생길까 우려해서 (파란색이 본원통화)

 

 

 

 

 

 

 

 

 

 

달러화시나리오.jpg

 

금리인상으로

 

과잉유동성을 회수하려고 그러는거야. 

 

 

 

 

 

 

 

 

 

 

주요인사발언20150907.jpg

 

금리인상을 할지 말지는

 

미국 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고

 

 

 

 

 

 

 

 

 

 

미국소비자물가.PNG

 

소비자물가가 연준의 목표치에

 

조금 미흡하지만

 

 

 

 

 

 

 

 

 

 

금리인상과실업률.PNG

 

실업률 지표와 과거 사례를 보면

 

금리인상을 할거라 생각하고

 

 

 

 

 

 

 

 

 

 

미국일정20150901.jpg

 

금리인상의 시기는

 

9월 16~17일 쯤으로 예상된다고 해.

 

 

 

 

 

 

 

 

 

1. 미국의 금리인상 요약

 

1)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4천조원이 넘는 돈을 풀었음.

 

2) 미국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해서 슬슬 유동성 회수를 하려고 함.

 

3) 금리인상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올 16-17일 쯤에 발표할거라 함.

 

 

 

 

 

 

 

 

 

2. 금리인상 영향력

 

자본유출파워_2015.jpg

 

미국 금리인상을 앞두고

 

신흥국에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하고 있는데

 

 

 

 

 

 

 

 

 

신흥국달러유출_20150820.jpg

 

이 금액이 약 1천조 정도로 추정되고 있어. ㄷㄷ (8월 20일자)

 

 

 

 

 

 

 

 

 

신흥국위기_20150826.jpg

 

그리고 자본유출과 함께

 

여러 나라에서 화폐가치가 폭락했고 (6.12~8.26)

 

 

 

 

 

 

 

 

 

 

신용부도스와프20150817.jpg

 

신흥국들의 부도위험이 커지는 중이야. (8월 13일 기준)

 

 

 

 

 

 

 

 

중국외환보유고20150908.jpg

 

또 중국에서도 자본유출이 발생해서

 

지금까지 약 600조원 정도가 빠져나갔고 (9월 8일 기준)

 

 

 

 

 

 

 

 

 

 

중국주가20150825.jpg

 

이런 자본유출 때문에 중국 경제와

 

주식시장 상황이 나쁜 편이라고 해. (8월 25일 기준)

 

 

 

 

 

 

 

 

 

 

US-Economy-News.jpg

 

그외에 달러화 강세 현상도 있는데

 

 

 

 

 

 

 

 

 

 

달러강세20150807.jpg

 

미국이 금리인상을 아직 안했는데도

 

계속 상승 중이야. (8월 7일 기준)

 

 

 

 

 

 

 

 

 

 신흥국해외차입금.PNG

 

달러화 강세가 문제가 되는 이유는

 

달러 가치 상승으로

 

신흥국들의 외채 부담이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달러강세와신흥국위기.PNG

 

실제로 달러화 강세일때

 

신흥국에서 외채위기가 자주 발생했어.

 

 

 

 

 

 

 

 

2. 금리인상 영향력

 

1) 1천조원 규모의 자본유출로 신흥국의 환율이 요동치고 부도위험이 증가했음.

 

2) 중국에서 600조원 규모의 자본유출이 발생해서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줌.

 

3) 달러화 강세는 신흥국의 외채 부담을 증가시켜 외환위기 가능성을 올려줌.

 

 

 

 

 

 

 

 

 

3. 우리나라의 영향 (1)

 

외국인순매도20150907.jpg

 

우리나라도 3개월 연속

 

자본유출이 발생하고 있고

 

 

 

 

 

 

 

 

 

 

 순매도20150907.jpg

 

자본유출의 규모가 비교적 큰 편이야.

 

 

 

 

 

 

 

 

 

주가하락20150908.jpg

 

또 이런 자본유출로 우리나라 주가가 하락세이고

 

원-달러 환율이 1200원까지 올라가서

 

 

 

 

 

 

 

 

 

금리인상20150619.jpeg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편이라고 해.

 

 

 

 

 

 

 

 

 

 

우리나라금리20150614.jpg

 

우리나라 금리보다 미국 금리가 더 높으면

 

신용도가 더 좋은 미국으로 돈이 몰리기 마련이라

 

 

 

 

 

 

 

 

 

외자유출.jpg

 

자본이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어

 

우리나라 경제에 악영향이 있을지 몰라.

 

 

 

 

 

 

 

 

 

기준금리20150830.jpg

 

이런 자본이탈을 막으려면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보다 올라가야 하는데

 

 

 

 

 

 

 

 

 

가계부채_201505272.jpg

 

금리인상은 가뜩이나 높은 가계부채와

 

 

 

 

 

 

 

 

 

 

주택시장20150701.jpg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우리나라금리20150820.jpg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할거야.

 

 

 

 

 

 

 

 

 

image_readtop_2015_814231_14404174282089630.jpg

 

그리고 미국 금리인상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크게 줄 것 같은데

 

 

 

 

 

 

 

 

 

 

nysemargindebtgdp1.jpg

 

미국 주식시장이

 

양적완화의 영향으로 버블끼가 조금 있고

 

 

 

 

 

 

 

 

 

 

금리와주가.png

 

역사적으로 볼때

 

금리주가가 반대로 가는 경향이 있어서

 

 

 

 

 

 

 

 

 

연준.jpg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은

 

미국 주가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DJIA_blackmonday2015.gif

 

최근의 미국 다우존스 하락은

 

위험한 조짐일 수 있다고 생각해.

 

 

 

 

 

 

 

 

 

3. 우리나라의 영향 (1)

 

1) 우리나라에서도 3개월 연속 자본유출이 발생해 환율과 주가가 영향을 받음.

 

2)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어 신중히 생각해야함.

 

3) 미국 주가가 흔들리는 조짐이 있어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을지 모름.

 

 

 

 

 

 

 

 

 

 3. 우리나라의 영향 (2)

1분기우리나라주가.png

 

미국 금리인상이 끼치는 영향이 무척 크지만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는 버블끼가 없어서

 

 

 

 

 

 

 

 

 

 

우리나라PER201508122.jpg

 

(PER : Price Earning Ratio. 주당수익비율.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주가수익비율이 낮은 편이고 (8월 12일 기준)

 

 

 

 

 

 

 

 

 

 

 순자산비율20150819.jpg

 

(PBR : (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

 

 

주가순자산비율(PBR)도 낮아서

 

주식시장이 비교적 튼튼하다고 생각해.

 

 

 

 

 

 

 

 

 

 

 

 우리나라경상수지.png

 

그리고 우리나라는 경상수지 흑자가 무척 많아

 

 

 

 

 

 

 

 

 

 

우리나라단기외채.PNG

 

단기외채 비중이 많이 낮아졌고

 

 

 

 

 

 

 

 

 

 

신흥국위기.PNG

 

 

우리나라의 국채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10%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에

 

 

 

 

 

 

 

 

 

OECD외국인투자통계.JPG

 

우리나라(KOR)의 투자매력도가 낮아

 

외국인투자금 비중이 매우 낮은 편이야. (GDP 대비)

 

 

 

 

 

 

 

 

 

 

세계교역량20150903.jpg

 

하지만 세계교역의 둔화가

 

수출이 많은 우리나라 경제를 위협하고 있고

 

 

 

 

 

 

 

 

 

 

 

신흥국경보음20150906.jpg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인

 

동남아에서 외환위기 가능성이 있어서

 

 

 

 

 

 

 

 

 

 

과거와비교20150824.jpg

 

경제위기 가능성을 경계해야할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해. (8월 24일자 기사)

 

 

 

 

 

 

 

 

 

 

시나리오.jpg

 

마지막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나라 경제의 회복력보다 급격할 가능성도 있고

 

 

 

 

 

 

 

 

 

 

이중충격20150810.jpg

 

중국의 경기침체가 우리나라에 큰 위협이라

 

 

 

 

 

 

 

 

 

 

이중악재.png

 

혹시 있을지 모르는 미국과 중국의 이중악재에

 

단단히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진짜 최악의 경우라면 주가가 1000포인트 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고 봐.

 

 

 

 

 

 

 

3. 우리나라의 영향 (2)

 

1) 우리나라의 주가가 저평가되어서 비교적 운지력이 약할 것으로 생각함.

 

2) 경상수지 흑자, 낮은 단기외채 비중 등으로 우리나라 경제는 비교적 튼튼함.

 

3) 하지만 미국 금리인상과 중국 경제위기라는 이중악재의 가능성이 있어서 조심해야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530252843

 

 

 

 

 

 

3줄 요약

 

1) 미국은 경기부양을 위해 4천조원이 넘는 돈을 풀었고 이제 회수하려고 함.

 

2) 대규모 자본이동이 발생해 신흥국의 환율과 자본시장이 영향을 받고 있음.

 

3)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고 있으나 비교적 튼튼한 편. 매우 조심해야하기는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