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eMqr
안녕~ 오늘은 홍콩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스압인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홍콩 소개
2. 홍콩과 중국
3. 홍콩 경제
4. 홍콩의 우산혁명
5. 홍콩의 경제상황
이렇게 쓰려고 해.
1. 홍콩 소개
홍콩은 중국에 있는 큰 항구도시로
싱가포르에 버금가는 국제도시라고 해. (2012)
홍콩의 인구는 720만명이고 (2015)
면적은 서울의 1.8배로 상당히 큰 편이고
1인당 GDP는 38,123 달러로 꽤 잘 사는 편이야. (2013. 세계은행)
홍콩은 영국령으로 발전한 도시인데
1997년에 중국에 반환되어서 (2014)
홍콩의 제도와 자치(?)를 중국이 존중하는
일국양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홍콩은 세계 20개 경제자유구역에서
2위를 하는 우수한 국제도시로
높은 경제력과
아름다운 야경을 자랑하는 도시야.
1. 홍콩 소개 요약
1) 홍콩은 중국에 속한 국제도시로 일국양제에 따라 자치권(?)이 있음.
2) 싱가포르 다음으로 경쟁력이 높은 세계 2위의 경제자유구역임.
3) 홍콩의 면적은 서울의 1.8배, 인구는 720만명이고 야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함.
2. 홍콩과 중국
홍콩과 중국은 긴밀하게 잘 연결되어 있고 (2014)
광둥성과 홍콩은 매우 밀접한 관계로
홍콩은 중국을 등에 업고 성장 중이야.
또 홍콩을 마카오, 선전, 기타 도시들과
긴밀하게 연결하는
주강 삼각주 클러스터 도시 발전 계획을
중국 정부가 시행했어.
그리고 홍콩을 찾아오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매우 많아
홍콩은 높은 관광수입을 거두고 있어서 (2014)
홍콩과 중국의 통합으로
홍콩은 많은 이득을 얻는 편이야. (2012)
2. 홍콩과 중국 요약
1) 홍콩과 중국의 긴밀한 경제교류로 홍콩은 많은 이익을 얻었음.
2) 홍콩과 주변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도시권 사업을 중국이 시행했음.
3) 엄청나게 많은 중국인 관광객들로 홍콩의 관광수입이 쏠쏠함.
3. 홍콩 경제
홍콩은 세계 3위의 무역항으로
무역에 있어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고 (2011)
경제자유지수가 세계 최상위권이라 (2013)
많은 금융회사들이 홍콩에 진출해 있어서 (2013)
세계금융의 중심지 중 하나가 홍콩이야. (2013)
(IPO: 기업공개. 기업의 주식을 투자자들에게 공매하여 자금을 모으는 것.)
그리고 많은 중국 기업들이 홍콩에 상장을 해서
홍콩은 어마어마한 증권거래의 장소이고 (2014)
외환거래도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이 한다고 해. (2014)
홍콩의 경제구조는 빨간색의 서비스업이 압도적으로 많고
노란색의 제조업은 매우 작은 편이야. (농업이 없음. ㅎㅎ)
홍콩의 경제는 무역과 금융업, 서비스업이 주축인데 (2012)
자료가 부족해서 GDP 비중을 못 올렸지만
홍콩의 관광산업이 매우 유명하다고 하고
세계적인 관광명소인
디즈니 랜드도 홍콩에 있어서
수 많은 관광객들이 홍콩을 찾아오고 있어. (2013)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또 홍콩은 교육도 수준급이라
명문대학교가 꽤 많이 있어서 (2013)
싱가포르보다 홍콩에 유학을 더 많이 간다고 해. (2013)
3. 홍콩 경제 요약
1) 홍콩은 세계적인 무역항이고 아시아의 금융중심지 중 하나임.
2) 싱가포르와 다르게 제조업이 거의 없는 편임. 서비스업 중심.
3) 홍콩은 관광업도 유명하고 교육수준도 우수하다고 함.
4. 홍콩의 우산혁명
중국의 놀라운 경제성장으로
홍콩의 경제비중이 갈수록 작아져서 (2013)
홍콩은 경제규모에서 상하이에게 완전히 밀렸고 (2013)
홍콩 정부가 부동산시장 관리를 못해서
홍콩의 부동산 버블이 매우 심각하다고 해. (2015)
홍콩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PIR)은 17로
OECD 권고수치 6을 한참 초월했고 (2014)
가계소득(Household Income)과
부동산 가격(Property Price)의 괴리가 매우 심한 편이야. (2015)
홍콩은 세계최악의 인구밀도를 자랑하는
구룡성채가 있었던 도시지만
인구 720만명이 서울의 1.8배 면적에서 거주하는데 (2015)
닭장 같은 집에서 산다는게
참 신기한 일이라고 생각해. ㅎㅎ
여기에 홍콩은 부유층의 부가 크게 증가하고 (2014)
부유층의 숫자도 크게 증가하는 등 (2014)
홍콩의 소득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해져서 (2014)
지니계수가 0.53으로 아프리카 급이야. (2013)
홍콩의 상황이 이렇다보니
홍콩 시민들의 불만이 하늘을 찔러서 (2014)
진실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2014)
우산혁명(홍콩 민주화 시위)이 일어나게 되었어.
홍콩의 우산혁명은 강력한 공권력 때문에 아쉽게 끝났지만
홍콩의 민의를 중국 정부와 세계에 보여주었다고 생각해.
4. 홍콩의 우산혁명 요약
1) 홍콩은 부동산버블 문제가 심각하고 소득불평등 문제도 매우 심각함.
2) 상하이의 고성장으로 홍콩이 2위로 밀려나고 홍콩 정부가 일을 잘 못하는 편.
3) 진정한 민주주의를 원하는 홍콩시민들이 우산혁명(민주화 시위)을 벌였음.
5. 홍콩의 경제상황
중국의 경기침체 때문인지
홍콩의 경제상황도 나빠졌고 (2014)
중국인 관광객 수 증가도 많이 나쁜 편이야. (독감 탓도 있을듯...)
중국인 관광객 수 감소는
홍콩의 소매판매에 심각한 악영향이고 (2014)
홍콩의 무역 상당수가 중국에 관련되어 있고 (2012)
홍콩이 중국에 투자한 것이 매우 많아서 (2013)
중국의 경기침체는
홍콩 경제에 심각한 위협요인이라고 생각해.
5. 홍콩의 경제상황 요약
1) 중국의 경기침체 탓인지 홍콩의 경제지표도 나쁜 편임.
2) 중국인 관광객 수의 감소로 홍콩 경제가 영향을 받을 것 같음.
3) 홍콩과 중국이 매우 밀접해서 중국의 경기침체는 홍콩 경제에 큰 위험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463331614
3줄 요약
1. 홍콩은 세계적인 무역항으로 금융업과 관광업도 우수함. 1인당 GDP 3만 8천 달러.
2. 홍콩의 부동산 버블과 소득불평등 문제가 심각해서 우산혁명이 일어났음.
3. 중국에 너무 밀접한 경제라 중국의 위기는 홍콩의 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