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lycs


중국전차부대.PNG

 

안녕~ 오늘은 중국과 한반도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약간 설레발인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중국과 북한의 관계

 

2. 중국의 경제상황

 

3. 한반도 영향

 

이렇게 쓰려고 해.

 

 

 

 

 

 

1. 중국과 북한의 관계

 

동북아군사력.jpg

 

중국은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어서


동아시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2013)

 

 

 

 

 

 

 

 

 

중국대북투자.jpg

 

북한과 무역과 투자를 많이 하는 나라야. (2005)

 

 

 

 

 

 

 

 

 

 

2011071800066_0.jpg

 

그리고 중국은 우리나라 주도의 통일을 하면

 

미국의 영향력이 더 커질까 우려해서 (2011)

 

 

 

 

 

 

 

 

 

동북아지정학20150121.jpg

 

우리나라 주도의 통일에 대해

 

껄끄러워하는 모양세라 (2015)

 

 

 

 

 

 

 

 

 

중국과한반도통일.jpg

 

중국은 남북 분단의 현상 유지를

 

지지한다고 평가 받고 있어.

 

 

 

 

 

 

 

 

 

조중상호방위조약.jpg

 

또 중국은 조중상호방위조약을 통해

 

한반도에 개입할 명분이 있고 (북한이 공격받을 시)

 

 

 

 

 

 

 

 중국4분할계획.jpg

유사시 한반도 문제에 개입해서


북한을 4분할 통치할 계획까지 있다고 해.

 

 

 

 

 

 

 

 

 

한중갈등_20111122.jpg

 

그래서 우리나라와 중국이 경제적 협력자이지만

 

북한 문제에 대해선 골치 아픈 사이라

 

 

 

 

 

 

 

 

 

중국전차부대.PNG

 

중국의 대규모 부대이동은

 

우리나라에게 민감한 이슈인거야.

 

 

 

 

 

 

 

1. 중국과 북한의 관계 요약

 

1) 중국은 경제적, 정치적으로 북한에게 많은 지원을 해주었음.

 

2) 중국은 우리나라 주도의 통일을 미국의 영향력 확대로 보고 껄끄러워함.

 

3) 중국은 조중상호조약을 통해 북한이 공격받으면 개입할 명분이 있음.

 

 

 

 

 

 

 

 

2. 중국의 경제상황

 

중국둔화20150822.jpg

 

최근 중국에서 경기침체 현상이

 

많이 발견되고 있는데

 

 

 

 

 

 

 

 

 

중국증시하락2015072816.jpg

 

주가폭락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중국자동차판매20150817.jpg

 

자동차 판매가 크게 감소하고

 

 

 

 

 

 

 

 

 

 

중국수출20150810.jpg

 

중국의 해외 수출도 많이 나빠진 상태야.

 

 

 

 

 

 

 

 

 

중국에너지소비20120419.jpg

 

하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는

 

중국의 주요 에너지 자원인 석탄 소비가 (2012)

 

 

 

 

 

 

 

 

 

 중국올1-5월누적석탄수입량38.2%감소.png

 

엄청나게 감소해서 중국의 많은 광산들이 폐업하고

 

중국의 올 1-5월 석탄 누적수입량이 38.2%나 감소했어.

 

 

 

 

 

 

 

 

 

 

China real activity.PNG

 

중국의 석탄 소비의 급감에는 유가하락도 있지만

 

전력, 철강, 시멘트 생산이 침체된 점이 가장 크다고 생각해.

 

 

 

 

 

 

 

 

중국경기침체-20150714.jpg

 

이런 중국의 경제상황 때문에

 

경기침체가 확실하게 전망되지만

 

 

 

 

 

 

 

 

철도물류량.gif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 때보다

 

상황이 더 나쁜 철도 물류량 때문에

 

 

 

 

 

 

 

 

 

 

중국성장률.jpg

 

일부에서는 중국의 7% 성장 발표도

 

 믿기 어렵다는 입장이야.

 

 

 

 

 

 

 

2. 중국의 경제상황 요약

 

1) 중국의 주가폭락과 경제지표 악화로 경기침체 우려가 많아짐.

 

2) 일부 경제지표의 하락 폭이 너무 커서 7% 성장도 믿기 어렵다는 말이 있음.

 

3) 그래서 중국의 경제운지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음.

 

 

 

 

 

 

 

 

3. 한반도 영향

 

중국경제운지.jpg

 

만약에 중국에서 경제운지가 발생하면

 

엄청나게 큰 일인데

 

 

 

 

 

 

 

 

 

중국석유소비.jpg

 

중국의 원자재 소비 감소로

 

신흥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고

 

 

 

 

 

 

 

 

 

 

article_18172227460814.jpg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경제운지가 동시에 발생하면

 

세계 경제의 대폭풍이 생길지도 몰라.

 

 

 

 

 

 

 

 

 

 

대중수출비중20150819.jpg

 

그리고 우리나라의 GDP에서

 

대중수출이 상당한 규모여서

 

 

 

 

 

 

 

 

20150727031044296wdiy.jpg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나라 경제가

 

더 나빠질 우려가 있다고 생각해.

 

 

 

 

 

 

 

 

 

북한대중국의존도.jpg

 

무엇보다 대중의존도가 90%에 달하는

 

북한이 엄청난 타격을 받는 일로 (2013)

 

 

 

 

 

 

 

 

 

북한시나리오20141007.png

 

북한의 붕괴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질 일이야. (2014)

 

 

 

 

 

 

 

 

 

 

htm_201508111321740104011.jpg

 

마지막으로 중국에 경제운지가 발생하면

 

미국의 자신감이 한층 올라가서

 

 

 

 

 

 

 

 

 

 미국아시아진출.jpg

 

미국이 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에 개입할수도 있는지라 (연도 모름)

 

 

 

 

 

 

 

 

 

 

2015가능성.png

2015가능성2.jpg

 

2015 통일대전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해.







3. 한반도 영향 요약


1) 중국의 경기침체는 대중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경제에 악영향임.


2) 하지만 대중의존도가 90%에 달하는 북한에게 더욱 치명적임.


3) 중국의 동북아 영향력이 감소하면 미국이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올라감.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429575395






3줄 요약


1. 중국은 우리나라의 경제적 동반자지만, 우리나라 주도의 통일을 껄끄러워함.


2. 최근 중국의 여러 경제지표가 나빠 경제운지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음.


3. 중국의 경제운지는 대중의존도가 90%에 달하는 북한의 생명줄이 끊기는 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