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yeS6

 

1.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인지 araboja 에 이어서

 

우리나라의 문제점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우리나라 생활수준

 

2. 우리나라 스트레스

 

3. 우리나라 사회문제

 

이렇게 쓰려고 해.

 

 

 

 

 

1. 우리나라 생활수준


 
2.png
 

우리나라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은

 

세계 최상위권인데 (2010)


 
 
 
 
 
 
 
3.jpg
4.jpg

 

우리나라 국민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는

 

전쟁 국가 수준이야. ㄷㄷ

 
 
 
 

 
 
 
 
 5.jpg
 

이렇게 사람들이 불만이 많은 이유를

 

이제 찾아보려고 해.


 
 
 
 
 
 
 
6.jpg
 

우리나라가 제조업 강국으로 평가받지만

 

부가가치 창출이 낮은 편이라 (2011년 기준)


 
 
 
 
 
 
 
 
7.jpg
 

근로시간이 매우 길면서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나쁘고 (2012)

 


 
 
 
 
 
 
 
8.jpg
 

높은 근로시간 때문에

 

수면시간이 짧고 자살율이 높은 나라야. (2004)

 


 
 
 
 
 
 
 
 
9.jpg
 

또 평균적으로 볼때

 

노동권리 보장도 약해서 (2014)


 
 
 
 
 
 
 
 
10.jpg
 

우리나라 사람들은

 

휴가를 쓰기 참 힘들고 (2014)

 


 
 
 
 
 
 
 
11.jpg
 

최저임금 이하의 급여를 받는

 

노동자가 OECD에서 가장 많고


 
 
 
 
 
 
 
 
12.jpg
 

산업재해로 죽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고 해. (2011)


 
 
 
 
 
 
 
 
13.jpg
 

그리고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가 낮지만

 

체감물가는 꽤 높은데


 
 
 
 
 
 
 
 
 
14.jpg
 

이는 우리나라의 상품들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많이 있고


 
 
 
 
 
 
 
 
15.jpg
 

우리나라의 최저임금 대비 물가가

 

상당히 높아서 그런건데 (2013)


 
 
 
 
 
 
 
 
16.jpg
 

우리나라가 지니계수는 낮지만 상대적 빈곤율은 높아서

 

소득 대비 물가가 높다고 체감하는 사람들이 많을거야. (2012)


 
 
 
 
 
 
 
 
17.jpg
 

그외에 부동산침체로 거품이

 

조금씩 빠지는 편이지만 (2013)


 
 
 
 
 
 
 
 
18.jpg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집값이

 

상당히 높은 편에 (2014) 


 
 
 
 
 
 
 
19.jpg
 

생활수준 전반에서

 

문제가 있는 통계들이 많이 있다고 해. (2013)

 

 

 

 

 

 

1. 우리나라 생활수준 요약

 

1)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무척 길고 수면과 여가시간이 짧음.

 

2) 우리나라의 체감물가와 소득 대비 집값이 상당히 높음.

 

3) 우리나라의 삶의 질이 높은 편이지만 만족도는 세계 최악 수준임.

 

 

 

 

 

 

 

2. 우리나라 스트레스

 
20.jpg
 

우리나라의 학습시간이 매우 길어서


 
 
 
 
 
 
 
21.jpg
 

우리나라 학생들이 느끼는 스트레스가 크고


 
 
 
 
 
 
 
22.png
 

청소년들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편이야. (2010)


 
 
 
 
 
 
 
23.jpg
 

그리고 어른들은 높은 체감실업률에

 

많은 고통을 받고 있고 (2012)


 
 
 
 
 
 
 
 
24.png
 
특히 청년층의 취업 스트레스가 심해서

 
 
 
 
 
 
 
25.jpg
 

인생의 상당 부분을 포기한

 

5포 세대라는 신조어가 나오고


 
 
 
 
 
 
 
 
26.jpg
 

여기에 꿈과 희망도 포기한 

 

7포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나오고 있어.

 
 
 
 
 
 
 
 
27.png 

이런  청년실업 문제 때문에

 

30대 미혼율이 50% 선에 육박해서 (2010)


 
 
 
 
 
 
 
28.jpg
 
출산율이 엄청나게 나쁜 편이야. (2012)
 
 
 
 
 
 
 
 
 
29.jpg
 

또 우리나라는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도 있어서 (2008)


 
 
 
 
 
 
 
30.png
 

노인자살율이 OECD에서

 

어마어마하게 높은 편이라고 해. (2011)


 
 
 
 
 
 
 
31.gif
 

이렇게 다양한 사회문제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도가 나쁜 편이고 (2012)


 
 
 
 
 
 
 
32.png
 

세계적으로 높은 사기, 무고 범죄로 (2007)


 
 
 
 
 
 
 
 
33.png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인신뢰도가

 

무척이나 낮은 편이야. (2012) 


 
 
 
 
 
 
 
34.jpg
 

거기다 우리나라는

 

다양성 존중에 매우 인색하고


 
 
 
 
 
 
35.png
 

타인에 대한 관용과 존중도

 

OECD 최하위권에 속하고 있어.

 

 

 

 

 

 

2. 우리나라 스트레스 요약

 

1) 학업스트레스, 청년실업, 노인빈곤 등으로 삶의 행복도가 낮음.

 

2) 세계적으로 높은 무고, 사기 범죄로 대인신뢰도도 나쁨.

 

3) 타인에 대한 다양성, 관용, 존중의 부족이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

 

 

 

 

 

 

3. 우리나라 사회문제

 
36.jpg
 

태어나서 자라기까지 많은 문제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어서


 
 
 
 
 
 
 
37.jpg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알콜 소비가 세계적으로 많고 (2012)


 
 
 
 
 
 
 
 38.png

사회적 고립도도 높은 편이야. (2011)


 
 
 
 
 
 
 
 
 39.jpg
 

이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에

 

어려움이 참 많은데


 
 
 
 
 
 
 
 40.jpg
 

덤으로 비리와 부패가 자잘하게 많이 있고


 
 
 
 
 
 
 
41.jpg  
 

정부의 업무태만과 안일한 의지로


 
 
 
 
 
 
 
 42.jpg
 

예산 낭비가 은근히 많이 있다고 해. (2014)


 
 
 
 
 
 
 
 
43.png
 

그리고 우리나라의 정보 공개는 무척 훌륭한데

 

정책 투명성이 대단히 나쁘고


 
 
 
 
 
 
 
 44.gif
 

사법부에서 전관예우 관행이 있어서 (2013)


 
 
 
 
 
 
 
45.jpg
 

우리나라는 정부신뢰도와

 

사법신뢰도가 무척 나쁜 편이야. (2015)


 
 
 
 
 
 
 
 46.gif
 

또 우리나라는 탈세와 지하경제 문제도

 

그리스, 이탈리아 급으로 심각한데 (2013)


 
 
 
 
 
 
 
 47.png
 

역외탈세 규모는 중국, 러시아

 

다음으로 세계적인 규모라고 해. ㄷㄷ (2012)


 
 
 
 
 
 
 
48.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빈부격차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49.png
 

자수성가가 매우 없는 편이라

 

개천에서 용이 못 나온다는 말이 많고 (2014)


 
 
 
 
 
 
 
 50.jpg
 

OECD에서 사회갈등지수가

 

상당히 높은 편이야. (2012)


 
 
 
 
 
51.jpg
 

이렇게 우리나라에 문제가 많이 있어서

 

국민들의 불만이 많아지고 있는데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어.

 

 

 

 

 

 

 

3. 우리나라 사회문제 요약

 

1) 정부의 업무태만과 비리로 인한 예산낭비 때문에 정부신뢰도가 낮음.

 

2) 빈부격차 점점 증가하고 자수성가 부자가 매우 적게 나오고 있음.

 

3) 사회적 고립도와 사회갈등지수가 OECD에서 상당히 높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99443884

 

 

 

 

 

 

3줄 요약

 

1. 소득 대비 높은 집값과 물가 때문에 생활하기에 어려움이 많음.

 

2. 고용문제로 결혼과 출산이 기피되고 꿈과 희망이 없는 사람들이 많음.

 

3. 다양성과 관용, 존중의 부족으로 사회갈등이 심하고 고립감이 높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