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k0I6
안녕~ 오늘은 중국의 평가절하 이슈가 나와서
중국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중국의 평가절하
2. 중국의 경제동향
3. 우리나라와 중국
이렇게 쓰려고 해.
1. 중국의 평가절하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화폐가치가 올라가고
미국이 중국의 무역흑자가 너무 많다고 압박해서
위안화는 꾸준히 평가절상되었어.
그런데 어제 하루 변동폭의 10배 이상의 평가절하를
인민은행이 공시하고 (관리변동환율제)
오늘 두번째 위안화 평가절하를 발표한 상태야.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갑작스럽게 이런 조치를 취한 이유는
최근 중국의 수출이 부진이 너무 심해서
환율조작으로 수출 촉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그런거 같아.
평가절하의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1달러 당 1000원에서 1달러 당 1200원으로 만들면
1달러어치 상품을 수출할때 200원의 환차익을 보게 만드는거야.

대신 1달러 어치 밀가루를 1000원에서
1200원으로 비싸게 수입하는 것이라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은 피해를 보는 부작용이 있어. (MB때 고물가)
그다음으로 평가절하의 효과는
자본유출 억제와 자본유입 촉진으로
최근 중국에서 크게 발생 중인 핫머니 유출에
대항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각해.
자본유출 억제, 자본유입 촉진을 쉽게 설명하자면
1000원이 아닌 1200원을 들고와야
1달러로 환전해 나갈 수 있어서 환차손을 보고
1달러를 1000원이 아닌 1200원에 환전 받는거라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투자하기 좋아지는 것이야.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세계 1위로 엄청나게 많지만
최근 수출 부진과 외국자본 유출로 (2011)
7분기 연속 외환보유고 감소와
올해 발생한 국제수지 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이런 대대적인 평가절하를 시행한 것 같아.
1. 중국의 평가절하 요약
1) 수출부진과 핫머니 유출로 7분기 연속 외환보유고 감소와 국제수지 적자가 발생했음.
2) 중국 인민은행이 2일 연속 대대적인 평가절하를 공시했음. (관리변동환율제)
3) 평가절하로 수출 촉진과 자본유출 억제를 기대하는 것 같음.
2. 중국의 경제동향

중국의 경기침체로 소매판매(Retail Sales)와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감소 중인데

중국의 철도 물류량(Railway Freight)이
2008년 수준으로 크게 운지하고
전력 소비량(Power Consumption)이
2번이나 마이너스를 보였고

대표적인 내구제 지표인
자동차 판매(Auto sales)도 감소한 상태야. ㄷㄷ
또 중국 GDP의 50%를 차지하는 투자(Investment)가

주택 공급과잉과
소득 대비 너무 높은 집값 때문에
(고정자산투자 Fixed Asset Investment : 건물, 기계, 장치, 토지 등의 유형고정자산)
중국의 투자지표가 크게 감소했는데

이것도 중국 정부의 토건 사업이 없었으면
더 크게 감소했을거라고 생각해.
그리고 중국은 과잉생산 문제가 있는데
전세계 철강과 시멘트 생산의 50% 이상이
중국일 정도로 엄청난 규모이고

지속적으로 재고가 증가하고 설비가동률이 하락 중이야. (2013)
이처럼 중국의 과잉생산-과잉설비가 너무 많아서

중국의 생산자물가는 41개월 연속 감소세라고 해. ㄷㄷ
이렇게 중국 경제가 나쁘다보니
통화량 증가율이 부진하고
은행의 부실대출이 늘어나고 있어.

중국 정부도 이런 경제상황에
위기감을 느끼고 여러가지 노력 중인데
중국 판매 부진으로 애플 주가가 꽤나 감소해서
매우 놀랍다고 생각해.
2. 중국의 경제동향 요약
1) 중국의 경기침체로 전력 소비량, 자동차 판매, 철도 물류량 등 여러지표가 나쁨.
2) 중국의 과잉설비, 과잉생산 문제가 여기저기서 많이 나오고 있음.
3) 중국의 통화량 지표가 부진하고 부실대출이 조금씩 늘고 있음.
3. 우리나라와 중국
중국의 전격적인 위안화 평가절하는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과 부정적인 측면이 있어.
긍정적인 측면은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25%로 정도로
미국+일본+유럽을 합친 정도로 많은데

최근 중국의 경기침체로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이 많이 나쁜 상태라고 해.
또 우리나라의 대중수출 대부분이 중간재(부품과 원료)라
중국의 수출이 늘어야 우리나라의 대중수출이 느는 구조야.

그리고 중국은 세계적인 원자재 소비처로
중국의 경기침체는 신흥국 경제위기인지라
중국 경제가 좋아야 우리나라의 신흥국 수출이 좋아질 수 있어.
부정적인 측면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술격차가 조금 작은 편이고 (2010)
저가품 시장에서도 중국과 경쟁을 하는지라
중국의 환율조작으로 우리나라가 불리할 수 있어.
특히 중국의 건설업 부진으로
철강 재고가 썩는 수준이라
중국이 싸게 수출을 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이 큰 어려움을 겪는 중이야.
하지만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심상치 않은 경제상황으로
외국자본이 우리나라에서도 빠지는 중이라
중국이 큰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어.
3. 우리나라와 중국 요약
1) 우리나라의 대중수출이 중간재라 중국의 해외 수출이 많을수록 좋음.
2) 중국과 경쟁하는 산업은 중국의 환율조작으로 피해를 볼듯.
3) 중국이 경제운지를 하면 우리나라도 피해를 볼 수 있어 문제가 잘 풀렸으면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48189635
3줄 요약
1. 중국 인민은행이 대대적인 평가절하를 단행했음. 수출 부진과 핫머니 유출이 원인인듯.
2. 중국의 여러가지 경제지표가 부진하고 과잉생산 문제가 많이 나오고 있음.
3. 중국의 환율조작은 우리나라에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