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CPglo


사우디짤.jpg


안녕~ 오늘은 사우디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생각보다 자료가 부족해서 글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사우디 소개


2. 사우디 경제


3. 유가하락


이렇게 쓰려고 해. 







1. 사우디 소개


sa-area.gif


사우디는 중동에 위치한 나라로










사우디지도.jpg


국토 대부분이 사막인 황량한 나라야. (2009)









사우디짤3.jpg

하지만 사우디의 땅 속에는 석유가 많이 매장되어 있고










오펙20141005.jpg


사우디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서 


산유량이 가장 많은 나라여서 (2014)









Who_exported_Petroleum_oils_crude_in_2013-.png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름국이 


사우디 아라비아라고 생각해. (2013. 원유 기준) 









al-abrar-mecca-15078_640.jpg


또 사우디 아라비아는 메카의 카바 신전이 있는 


이슬람 수니파 종주국이라









사우디지정학.jpg


터키, 이란과 함께


중동을 대표하는 나라 중 하나야. 









1. 사우디 소개 요약


1) 사우디는 중동에 위치한 사막국가로 석유 생산량이 엄청나게 많음.


2) 석유수출국기구의 맹주이며, 메카의 카바 신전이 있는 이슬람 수니파 종주국임.


3) 사우디 아라비아는 터키, 이란과 함께 중동을 대표하는 나라라고 생각함. 








2. 사우디 경제


사우디개요.PNG


사우디는 외국인이 많은 나라로


자국인이 2천만명, 외국인이 약 1천만명이고










사우디실업률.PNG


민간 부분의 대부분을 외국인에 의지하고


자국인은 높은 실업률이라 참 희한하다고 생각해. (2014)










원유생산량2014.png


뭐 어쨌든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이  


세계 탑 3에 속할 정도로 많아서 (2014)










사우디석유소비.jpg

사우디 국민들은 석유를 펑펑 쓰는 수준이야. 










What_did_Saudi_Arabia_export_in_2013-.png


그래서 수출의 대부분이 진한 갈색의 원유 수출이고 (2013)










What_did_Saudi_Arabia_import_in_2013-.png


파란색의 제조업, 갈색의 철강제품, 노란색의 농산품 등등을 수입하고 있어. (2013)










사우디경제구조.png


사우디 아라비아는 제조업이 거의 없는 나라인데


경제구조를 보면 서비스업보다 산업 비중이 높은데 









사우디산업구조.PNG


이는 GDP의 약 50%를 차지하는 광산업 때문이야. (2012)










사우디제조업.png


사우디의 제조업은 GDP의 10% 수준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고 









사우디제조업2.PNG


사우디 제조업은 주력 수출품인 원유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유산업이라고 해. (2011)









사우디정유산업.jpg


그결과 사우디의 석유정제능력은


우리나라 급으로 상당한 수준이야. (2013)








세계자유지수.jpg


그외에 사우디의 특징은 종교원리주의 때문에


자유가 많이 없는 나라이고 (2015)










부패지수.png


비교적 부패한 나라에 속하고 있어. (2014)











평화지수.jpg


하지만 사우디 아라비아는 평화지수가 높은 편이고 (2014)










경제자유지수.jpg


생각보다 경제자유지수가 좋아서 


중동에서는 비교적 좋은 나라라고 생각해. 








2. 사우디 경제 요약


1) 사우디는 세계 3대 산유국으로 수출의 대부분이 석유 수출임.


2) 사우디의 주요 산업은 광산업과 정유 산업이고 서비스업 비중이 작은 편임.


3) 자유도가 끔찍하게 낮지만, 평화지수 등을 보면 중동에서는 좋은 나라라 생각함. 








3. 유가하락


국재유가.jpg


국제유가가 작년 11월에 크게 운지했고


지금까지 50-60선에 있는 중이야. 










주요_산유국의_원유_생산량_-_2014.jpg


이유는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미국세일가스.png


미국의 원유 생산량이 갑자기 역운지해서 (2014)









World-Oil-Production-by-Country.png


미국이 전세계 산유국 1위가 되는 셰일 혁명으로 










원유공급과잉_201506012.jpg


전세계 원유시장이 공급과잉 상태라 그런거라고 해. 









유가위너루저.png


이런 갑작스런 유가하락으로 


대표적인 산유국인 사우디도 손해를 보고 있는데 










원유수출입.jpg


원유 수출대금의 급격한 감소로 










사우디무역수지.PNG


사우디 아라비아의 무역수지 흑자가 크게 줄어들었고 










경상수지.PNG


경상수지는 놀랍게도 적자 상태야. ㅎㅎ










사우디외환보유고20150326.jpg


이때문에 사우디의 외환보유고가 많아 


큰 문제는 전혀 아니지만 









사우디외환보유고감소.jpg


사우디의 외환보유고는 


2014년 말부터 꾸준히 감소하는 중이라고 해. 










원유생산비용20141212.jpg


또 사우디의 원유 생산비용이 매우 작지만










국가재정석유의존도.PNG


사우디가 국가재정의 대부분을 


원유 수출에 의존하는지라 










균형재정유가20150811.jpg


균형재정유가 이하인 국제유가로 


사우디는 큰 위협에 처해 있어. 









국방예산20150212.jpg


사우디 아라비아는 국방비 지출을 


심하게 많이 하는 나라이고 









세계무기수입.jpg


제조업 생산능력이 부족한지라


세계 1위의 무기수입국인데 (2014)









예멘내전20150327.jpg


예멘 내전에 사우디 아라비아가 개입하고 있고










saudi-arabia-is-building-a-600-mile-great-wall-to-shield-itself-from-isis.jpg


이라크와 시리아 내전 때문에 


국경선도 강화하는지라 










사우디재정적자20150523.png


사우디 재정적자가 GDP의 20% 까지 내려간 상태야. ㄷㄷ










유가하락지정학.jpg


그리고 사우디는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을 저지하려고


원유 생산량을 크게 늘리는 치킨게임을 했는데 










미국체굴건수_20150527.jpg


유가하락으로 채굴 건수가 운지했지만


원유 생산량은 더욱 증가했고










손익분기점.jpg


미국의 혁신적인 기술개발로 


셰일가스 생산비용이 날로 감소하고 있어서









PHO1358b92a-8a86-11e4-b2ac-602afd021a91-805x453.jpg


사우디의 근심이 커질 것으로 생각해. ㅋㅋ










사우디석유-2014-08-13.png


하지만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이 매우 많으면서


러시아보다 인구가 많이 적은 편에









사우디정부부채.jpg

정부부채가 거의 없는 나라라 


국채를 발행하는데 부담이 없고











국부펀드20140324.jpg


세계적인 국부펀드를 보유하고 있고 (2014)









산업다각화정책.PNG


사우디 정부가 산업다각화에 


여러가지로 많이 노력하고 있어서 









사우디태양광.jpg


사우디가 경제운지를 하지는 않을 것 같아. ㅎㅎ








3. 유가하락 요약


1)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공급과잉이 발생해 국제유가가 50달러 수준으로 운지함. 


2) 유가하락으로 사우디의 무역흑자가 감소하고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했음.


3) 원유수출이 국가재정의 90%인지라 올해 재정적자가 GDP의 20% 수준일거라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48189635







3줄 요약


1. 사우디 아라비아는 세계 3대 원유 생산국으로 대표적인 중동 기름국임.


2. 유가하락으로 사우디에 경상수지와 재정수지 적자가 발생하고 있음.


3. 하지만 사우디가 돈이 많고 정부부채가 거의 없는 나라라 망하진 않을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