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NSFop


미국짤.PNG

안녕~ 오늘은 재미난 뉴스를 봐서


미국 주식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급히 쓰느냐 글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미국 양적완화


2. 미국 주식시장


3. 미국 경제상황


4. 미국 금리인상


이렇게 쓰려고 해. 








1. 미국 양적완화


미국경제성장률.png


미국의 부동산 버블과 금융부실로 


2008년에 미국발 경제위기가 발생했는데










양적완화.png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이하 연준)









미국금리인상.png


기준금리를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낮추는 통화정책과 










양적완화규모.jpg


4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라는 


어마어마한 유동성 공급으로 경기부양을 했어. 










양적완화의효과.jpg


양적완화에는 여러가지 효과가 있는데











양적완화와다우지수.jpg


주식과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 상승 효과가 확실한 편이야. (2014)









양적완화와주식시장.PNG

S&P500지수: 스텐다드 엔드 푸어사가 선정한 500개 대형기업 주가지수)



S&P 500 지수의 상승과


양적완화 효과가 일치해 보이는 그래프가 있고 










중국주식버블20150626.jpg


중국의 주식버블이 경기부양을 위한 


중국 정부의 유동성 공급과 관련이 높다고 해.









1. 미국 양적완화 요약


1) 미국에서 경제운지가 발생하자 연준은 4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를 했음. 


2) 양적완화의 여러 효과들 중에 자산가격 상승효과가 가장 확실한 편임.


3) 미국의 주가상승에 양적완화의 유동성 공급이 크게 기여함. 








2. 미국 주식시장


주식시장우려SP-500-Index-Feb-2015.jpg


2008 부동산버블 때보다 


주가보다 높은 현재 주식시장 때문에 









유명인발언20150522.jpg


운지 우려가 종종 나오는 편이야. 









미국경제대비주식시장.jpg


자료마다 차이가 조금 큰 편인데 (100%~130%)


어쨌든 미국의 시가총액이 미국 GDP보다 큰 편이라 








주식과실물경제.jpeg


실물경제보다 덩치가 큰 주식시장으로 


주가폭락 우려가 있어. 









주가수익비율.jpg 

(CAPE지수: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 



또 미국 주식시장의 CAPE지수가  


닷컴버블 급은 아니지만 부동산버블 수준으로 높고 










나스닥지수20150424.jpg

(나스닥 지수: IT기업과 벤처기업의 종합주가지수)



나스닥 지수가 닷컴 버블 때와 비슷한 수준에 도달했고 










바이오태크버블2010-2015.png


생명공학 산업(biotechnology) 쪽에서 버블 우려가 있는 편이야. 










미국과유럽산업생산.jpg


하지만 미국의 산업생산이 


제조업 회귀 정책으로 2008년 수준을 넘어섰고 









미국기업수익.jpg


미국 기업의 이익이 꾸준히 증가한 점도 고려해야 해. 










나스닥톱10-20150225.jpg


실제로 나스닥 10대 기업들의 주가수익비율은


닷컴버블 때에 비해 훨씬 양호하고









주가수익비율2015050.jpg

(PER :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



미국의 실제 주가수익비율은 딱 선진국 평균 수준이야. 










미국중국주가상승.jpg


미국 주가보다 중국 주가가 걱정되는 것이


중국 주가의 그래프가 가파르고 









중국수익-20150726.jpg


중국 기업들의 수익성(Profits)이 매우 나쁘고 









미국통화량변화20141002.jpg


중국의 M2(광의통화) 증가량이 매우 커서


과잉부채 우려가 있고









미국중국신용대출.png


중국의 신용대출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서 그래. 








2. 미국 주식시장 요약


1) 미국의 꾸준한 주가상승으로 버블 우려가 여기저기서 나오는 편임.


2)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지수)과 GDP 대비 시가총액을 보면 꽤 높은 편임.


3) 미국의 산업생산과 수익성이 부동산 버블 때보다 좋고, 신용대출이 적은 편임. 









3. 미국 경제상황 


미국자동차판매.png


미국 경제는 어느정도 호전된 상태로


자동차 판매가 경제운지 이전으로 회복했고 









미국건설업.png


건설업 지표도 많이 좋아졌고 











실업수당신청건수.png


실업수당신청건수(Jobless Claims)가 크게 감소했어. 









미국GDP구성.png


무엇보다 미국경제에서 가장 큰 축인 


개인소비(Personal Consumption)가 긍정적인데









 미국가계부채비율.png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많이 줄어들고










미국가처분소득.png


가처분소득(Disposable Personal Income)이 증가해서


개인소비가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어. 









산업생산july15.png


다만 최근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지표가 부진하고 










설비가동률.png


회복했던 설비가동률이 소폭 줄어들고 










미국신규주문.png


제조업 신규주문이 감소하고










미국기업수익증가율.png


미국 기업의 수익 증가율이 나쁜 점은 조금 단점이야. 








3. 미국 경제상황 요약


1) 자동차 판매, 건설업 지표, 실업수당신청건수 등을 보면 미국 경제가 회복한거 같음.


2) 가처분소득이 증가하고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해서 소비여력이 증가함.


3) 최근 산업생산, 설비가동률, 신규주문 등의 지표가 조금 나쁜 편임. 








4. 미국 금리인상


금리와주식시장.png


금리와 주가는 반대의 상관관계라 하고 









양적완화와주식시장.PNG


미국의 양적완화와 미국 주식시장이


유사한 상관관계를 가진 점을 고려하면 










연준요정.jpg


미 연준의 양적완화 회수조치와 


금리인상이 미국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로버트쉴러.jpg


하지만 이점을 미 연준도 잘 알기에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이라 



주식시장 운지(로버트 쉴러)와 노 운지(유진 파마)로 


팽팽한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어. 









스트레스테스트.jpg


그리고 설령 주가폭락이 발생해도


미국 경제가 견딜 만한게










스트레스테스트2.jpg

(스트레스 테스트: 재무건전성, 자본적정성 평가)



미 연준의 강도높은 스트레스 테스트로










미연준스트레스테스트20150312.jpg


자기자본비율이 불량한 은행들을 수시로 압박하고 있어서










미국금융안정성.PNG


미국 금융권의 재무건전성이 높은 편이라


미국은 상당히 튼튼한 나라라고 생각해.








4. 미국 금리인상 요약


1) 미 연준이 금리인상과 양적완화 회수조치를 하면 미국 주가가 하락할 수 있음.


2) 주가폭락은 경제에 매우 나쁘기에 연준도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임.


3) 미국 금융권의 건전성이 높기에 주가변동에 잘 견딜 것으로 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11434712







3줄 요약 


1. 미국의 주가가 많이 상승해서 운지 우려가 조금씩 나오고 있음.


2. 여러 경제지표들을 통해 주식시장 운지 vs 노운지의 입장이 팽팽함.


3.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미국 주가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조심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