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sWwl9


GIF.png


안녕~ 오늘은 상반기 통계가 많이 나와서


우리나라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우리나라 수출


2. 우리나라 산업


3. 우리나라 경제


이렇게 쓰려고 해. 








1. 우리나라 수출


수출입증가율20150803.jpg


우리나라 수출입이 계속 감소하고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줄어서 


불황형 흑자라는 말이 많이 나오고 있어. 









수출물량지수.PNG 

하지만 수출감소는 금액 기준이고


수출물량은 오히려 증가한 편에 








수입물량지수.PNG


수입도 물량이 증가하고 액수만 감소했어. 



자료를 살펴보면 수출입 감소는 


주로 석탄 및 석유제품 때문에 생긴거야.










What_did_Korea_Rep_export_in_2013-.png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수출입의 이런 변화는 우리나라의 수출구조에서 


진한 갈색의 석유가 은근히 많고 (2013) 










What_did_Korea_Rep_import_in_2013-.png


해외 수입에서 가장 큰 부분이 원유 수입이라 (2013)










원자재가격.PNG


국제유가 하락에 우리나라가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런거라고 생각해. 









 

주요국경기지표.PNG

다만 주요국의 경기지표가 썩 좋지가 못해서 (전기대비)










주요국수출증감률20150803.jpg

전세계적으로 교역이 둔화된 측면이 있어. 











주요산업별수출입.PNG


산업별 수출 증감률은 이러한데 


전체적으로 수출 감소가 많이 있고 (액수 기준)











수출증가율.PNG


큰 틀에서 보면 원자재와 밀접한 


소재산업군의 감소가 두드러지고


자동차, 가전, 디스플레이의 수출감소도 조금 큰 편이야. 










수출단가지수.PNG 


다만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수출단가가 


크게 내려간 점을 고려해야하고 











Oil_drop_winners_losers.png

우리나라가 유가하락의 가장 큰 수혜자란 점이


문제가 심하지 않다고 생각해. 









1. 우리나라 수출 요약


1) 우리나라 수출입이 크게 감소하고 수입이 수출보다 크게 줄어 불황형 흑자라고 함.


2) 수출입 감소는 액수 기준으로 물량은 오히려 증가한 편임. 유가하락이 가장 큰 이유.


3) 하지만 세계경제 둔화로 자동차와 가전 등의 제조업 수출도 많이 감소함. 









2. 우리나라 산업


산업생산5월.PNG

우리나라 산업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감소추세이고 (5월)











산업생산20150724.jpg


전월대비로도 산업생산이 침체 중이야. 











PMI지수6월.PNG


산업생산의 침체 때문에 


제조업 경기동향지수인 PMI지수도 운지했어.  (6월) 










제조업가동률20150725.jpg


또 제조업 평균가동률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고










산업별생산동향.PNG


산업별로 보면 조선업, 자동차, 철강, 


섬유, 통신장비 업종이 감소 중이야. 










실물경제주요지표7월호.PNG


상반기 실물경제지표를 보면


산업생산의 둔화가 경제성장률 하락을 이끌어서 











경제성장률전망20150709.jpg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이 


조금씩 낮아지고 있어. 









2. 우리나라 산업 요약 


1) 세계경제 침체로 우리나라 산업생산이 감소 중임. 공장 가동률도 하락세.


2) 산업별로 보면 조선, 자동차, 철강, 섬유, 통신장비 업종이 주로 감소함. 


3) 산업생산의 둔화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의 하락을 이끌고 있음. 








3. 우리나라 경제


우리나라경제성장률.png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의 둔화로










실업률.PNG


공식적인 실업률과 실업자 수도 작년보다 더 증가했어. 


 








금리인하20150804.jpg


이런 경기침체에 우리나라 정부가 


금리인하로 대응 중이라










주택담보대출_20150703.jpg


가계대출이 작년의 같은 기간보다


2배 정도 더 많이 늘어났고










통화량.PNG


가계대출 증가로 우리나라 통화량도 증가추세야. 











주택가격.PNG


그리고 금리인하와 부동산활성화 정책 덕분에


주택가격과 거래량이 증가했고 











건설수주증가율.PNG


건설수주가 크게 증가해서


건설업이 회복될지 기대하고 있어.









소비자물가.PNG


다만 금리인하와 통화량 증가치고 


소비자물가의 상승률이 낮은데 











소비자물가2.PNG


이는 유가하락 때문에 그런 것으로


에너지를 제외하면 2006년과 비슷한 수준이야. 










민간소비.PNG


하지만 소비 증가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어서 


소비감소가 물가인하를 견인하고 있고 










소매판매20150728.jpg


메르스 사태로 올 6월의 소매판매와 


서비스업지수가 크게 하락해서 아쉬워. 











주가.PN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주가는 


2000선에서 등락 중인데











주식시장외국인.PNG


최근 중국의 주가급변동으로 외국자본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도 빠져나가는 중이야.










환율.PNG


그러나 우리나라의 환율은 매우 안정되어 있고










경상수지2.PNG


경상수지도 엄청나게 흑자상태라











중국운지시.jpg


우리나라는 꽤나 탄탄한 나라라고 생각해. 










3. 우리나라 경제 요약


1) 경기침체로 실업자 수가 증가하고 가계부채는 기록적으로 증가함.


2) 금리인하와 부동산활성화 덕분에 주택시장과 건설업의 회복이 기대됨.


3) 물가상승이 낮아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으나 유가하락 때문임. 소비감소는 조금 우려.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311434712







3줄 요약 


1. 수출입 감소와 불황형 흑자는 유가하락에 의한 왜곡 탓임.


2. 산업생산, 민간소비 둔화가 우려스러우나 건설수주 증가는 긍정적.


3. 환율이 안정되고 경상수지 흑자에 경제지표가 크게 나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