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ZfbW

 

한국과중국.jpg

 

안녕~ 요즘 중국 이슈가 많아서

 

오늘은 한중 경제관계에 대해서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

 

2. 우리나라와 중국의 투자

 

3. 중국인 관광객

 

이렇게 쓰려고 해. 





 

1.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

 

중국수출증가20120810.jpg 

우리나라와 중국의 교역으로

 

대중국 수출이 크게 늘어났고 (2010)









수출비중20150114.jpg 

우리나라 수출의 중국 비중도 점점 증가해서 

 

미국+일본+유럽을 합친 수준이야. (2014)









무역수지흑자20120810.jpg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비중이 높아

 

중국에서 많은 무역흑자를 거두고 있어서 (2010)









중국시나리오.jpg

 

만약에 중국이 운지하면

 

중국과 밀접한 관계의 우리나라도

 

큰일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아. 










대중수출의존도20120810.jpg 

 

실제로 우리나라의 10대 수출품목에서

 

중국의존도는 비교적 높은 편인데 (2011)










중국수출감소.jpg 

 

우리나라의 2014년도 중국 수출은 0.4% 감소로 

 

원자재 수출국보다는 양호한 편이야.

 








대중수출품목_20140707.jpg

 

그이유는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품목이 주로 (2014)










중국수출비중20140905.jpg 
중간재(원료와 부품)와 자본재(기계와 설비)이고

 

소비재와 농산품 수출은 매우 적어서 그래. (2013)










수출구조.jpg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은 

 

우리나라가 중국에 부품을 수출하고 

 

중국이 선진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2008)










중국가공무역.jpg

가공무역이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2013)










수출크로스.png 

그래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과

 

중국의 대미 수출이 유사하고 (2013)










수출증가율.jpg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과

 

중국의 가공무역 수출이 매우 비슷해. (2014)










대중수출액20120614.jpg

이렇게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은

 

대부분이 중간재인데










수출운지.jpg

세계경제 침체로 중국의 수출이 운지하면서

 

우리나라의 중국수출도 운지했고 (2014)





 

 

 

 


 

최근대중수출20150709.jpg

 

올해의 대중국 수출증감율은 

 

작년보다 나쁜 마이너스 2.7%라고 해. (1~5월)

 



 

 

 

 

 

 

 

 

 

 

중국가공무역.jpg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이 주로 가공무역이면

 

피해가 적지 않나? 싶지만 (2013)

 

 

 

 

 

 

 

 



한중교역구조.png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 중에

 

자본재(기계와 설비)와 내수용 중간재(원료와 부품)도 꽤 많아서 

 

만약에 중국이 운지한다면 피해가 클거야.(2012)










중국소비재시장.jpg 

그리고 우리나라와 중국과 가깝다고 생각했는데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점유율이 상당히 낮고 (2013)










중국소비재시장201506010.jpg 

유럽이 생각보다 저력이 큰거 같아. 갓독일 ㄷㄷ. (2014) 








1.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 요약

 

1)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비중은 25%로 상당히 크고 중국에서 무역흑자를 많이 거둠. 

 

2) 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은 주로 가공무역으로 부품을 수출하는 형태임.

 

3) 원자재 수출국들보다는 중국 경기둔화의 피해가 적은 편임. 








2. 우리나라와 중국의 투자

 
한일대중투자액20140730.jpg
우리나라는 중국에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고 (2014)









우리나라대중투자_20140827.jpg
 
우리나라 전체 투자의 약 20% 정도가 중국 투자야. (2013)









한중투자_20150610.jpg 

중국이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것보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투자하는 것이 훨씬 많고 (2014)









중국우리나라투자액20141125.jpg 

중국이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것은

 

 그저그런 수준이라고 생각해. (2012)










중국우리나라주식투자20150416.jpeg 

중국계 자금의 우리나라 주식 보유액은 


10조원 수준이고 (2014) 










중국제주도20150629.jpg 

제주도에 중국인들이 토지를 많이 샀지만 (2015) 










외국인부동산20150212.jpg 

외국인 전체로 보면 중국은 일본보다 작아. (2014) 











국가별외채_20100608.jpg 

또 짤이 조금 옛날이지만 

 

채권시장에선 중국자금이 매우 적은 것 같아. (2009) 










 

우리나라중국주식_20150710.jpg 

반면 우리나라는 중국에 투자를 많이 했는데

 

만약에 중국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나라의 증권사와 

 

주식투자자들이 손해를 많이 볼 것이고 (2015)











은행중국익스포저.PNG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도 손실 가능성이 있고

 

은행권들도 25조원 정도의 위험가능성이 있어. 










중국익스포저_20140811.jpg

그외에도 다른 나라가 중국에 영향을 받고

 

우리나라가 간접영향을 받을지도 몰라. (2014)









외국인탈출.PNG 

실제로 중국의 주가폭락 이후

 

외국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순매도를 기록하고 있어.





 

 

 

 

우리나라해외투자.PNG

 

다만 우리나라의 해외직접투자 (Outward FDI)나

 

외국인직접투자(FDI) 모두 GDP 비중이 작아서

 

그럭저럭 견딜 수 있을거야. (2010)



 

 

 

 

 


2. 우리나라와 중국의 투자 요약

 

1) 중국의 우리나라 투자는 생각보다 많이 작음. 큰 영향이 없을듯.

 

2) 우리나라 해외 투자의 약 20%가 중국 투자로 비중이 큰 편. 

 

3) 하지만 우리나라가 해외투자를 많이 하는 금융강국이 아님.








3. 중국인 관광객 

 

중국관광객.jpg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중국인 해외관광객 수가 엄청나게 많아졌고 (2012)










유커.jpg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중국인 관광객 수도 크게 늘었어. (2014) 










유커매출.jpg

중국인 관광객들이

 

백화점과 면세점에서 물건을 많이 사고 (2014)







관광객20150215.jpg

우리나라 경제에 쏠쏠한 기여를 하는 중이야. (2014)







관광업비중20150319.jpg

하지만 우리나라 GDP에서

 

관광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많이 작고 (2014)










메르스.jpg

메르스 사태로 중국인관광객들이 크게 줄어서

 

만약에 중국 경제에 문제가 생겨도

 

이미 충격을 받은지라 관광업에 더 큰 충격은 없을 것 같아.






3. 중국인 관광객 요약

 

1)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크게 늘었고 우리나라 관광업에 큰 기여를 함.

 

2) 우리나라 GDP 대비 관광업 비중이 크지 않고 생산유발효과는 약 20조 정도.

 

3) 메르스 사태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크게 줄어서 관광업이 타격받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255418029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비중이 매우 높지만,  수출의 약 50%는 선진국으로 가는 가공무역임.


2. 우리나라의 해외투자 약 20%가 중국 투자지만, 우리나라가 투자를 많이 하는 나라가 아님.

 

3. 우리나라 관광업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대부분이지만, 관광업의 GDP 비중이 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