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C0osU
(브금이 투명해서 미안하당. 클릭 후 재생 정지시켜야함.)

안녕~ 오늘은 일본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아베노믹스 소개
2. 최근 일본 경제
3. 아베노믹스 문제점
이렇게 쓰려고 해.
1. 아베노믹스 소개
저번 글 (http://www.ilbe.com/6254071950 일본 경제를 araboja)에서
일본을 좋게 묘사했지만
일본은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있는 나라야. (2010)
일본 경제는 다양한 문제에 시달려서
수출경쟁력이 갈수록 약화되었고
버블붕괴 이후 투자가 크게 위축되어서
경제가 무척 침체되었어. (2010)
일본의 여러 정권들이 경기부양에 노력했으나
다 실패했고 (2013. 1조엔=약 10조원)
위기를 극복하고자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등장해서
가장 강력하고 공격적으로 경제회복을 추진하고 있어. (2014)
아베노믹스는 3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양적완화로
1800조원+@의 어마어마한 돈을 풀어서

매우 강력한 엔저정책을 시행하는 중이야. (2013)
환율조작을 통해 일본 수출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을 올려주어서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어.
두번째 정책은 재정투입으로
130조원(GDP의 2.7%)의 추경예산를 풀었고
세번째 정책은 성장전략으로
여러가지 규제완화와
일본의 부족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2013)
초대형 자유무역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TP)로 만회하려고 하고 있어.
이렇게 일본 경제의 엔진에 시동을 걸려는 노력 덕분에

(GDP 디플레이터 :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반영하는 물가지수)
일본은 디플레이션(물가하락)에서 탈출 했고
주가는 2배나 상승했고 실업률이 하락했어.
1. 아베노믹스 소개 요약
1) 잃어버린 20년 동안 경기부양을 위해 여러 노력이 있었으나 실패했음.
2. 최근 일본 경제

2. 최근 일본 경제
(http://www.ilbe.com/5862740549 초딩 줄어드는 속도 사범대 구조조정 + 임용대란)
일본처럼 인구구조론적 현상을 겪을 수 있어. ㄷㄷ
일본의 국채 대부분은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지만 (2011)
일본 국민들의 실질소득 감소와 고령화로
국채매입의 근원인 저축률이 감소했고
2009년부터 일본의 공적연금이
자산을 팔아 연금부족분을 충당하는 형편이라
일본 국채 선물시장 거래량의 50%를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는 중이야.
국내 소화여력 하락, 해외 비중 증가가
어느정도 이루어진 상태라
일본 정부는 채권시장 관리에
신경을 많이 써야한다고 생각해. (2012)
3. 아베노믹스 문제점 요약
1) 물가상승으로 실질소득이 감소해서 저축률이 운지함. 국채매입 여력의 감소.
2) 아베노믹스의 양적완화는 일본의 경제력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큼.
3) 일본 국채 대부분을 일본인이 보유하나, 최근 거래량의 50%를 외국인이 차지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255418029
3줄 요약
1. 아베노믹스의 환율조작으로 일본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2. 소비가 크게 나빴으나 최근 회복했음. 다만 투자지표들이 생각보다 약함.
3. 양적완화로 인한 채권시장 교란으로 일본 국채시장에 불안감이 약간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