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956vG


브라질짤.jpg


안녕~ 오늘은 브라질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최근 자료들이라 글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브라질 현재상황


2. 브라질 경제위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라질 현재상황


브라질경제규모.jpg


브라질은 남미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큰 나라로 


 







브릭스-20140722.jpg

신흥경제 5개국(브릭스)의 맴버이며


상당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야. (2014)










브라질개요.PNG

브라질의 인구는 2억 명이 넘고 


면적은 한반도의 38배로 어마어마하게 커. 










브라질룰라.jpg

우리나라에도 유명한 룰라 대통령 때


브라질은 초고속 성장을 했고 (2009)










브라질지니계수.jpg


빈부격차가 많이 낮아지고 


국민소득도 꾸준히 증가해서 (2009)










브라질자본투자.png


브라질의 투자매력도가 높아져 외국인투자금을 많이 받았어. (2010)










브라질짤.PNG


하지만 요즘 브라질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 중이고










브라질폭동20150316.jpg

3월 달에 100만명 이상의 대규모 폭동이 일어나서









브라질지지율.jpg

(http://www.ilbe.com/6124179782 브라질.....머통령....능욕.....유행....jpg)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9%로 엄청나게 낮아졌어. 








브라질환율20150211.jpg

호세프 정부 4년 동안 브라질 헤일화의


화폐가치는 50% 나 폭락했고 (2015년 2월 11일 기준)









브라질GDP.gif


경제성장률은 4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중이야. 











브라질대통령.jpg


전임 룰라 대통령과 비교되는 경제 때문에 


호세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운지한 것으로 생각해. 








1. 브라질 현재상황 요약


1) 브라질은 남미의 경제대국으로 룰라 대통령 때 고성장을 했음.


2) 후임 호세프 대통령 때 경제가 운지하고 대규모 폭동이 발생함. 


3) 호세프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9%로 지지율이 운지함. 








2. 브라질 경제위기


What_did_Brazil_export_in_2013-.png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브라질의 2013년도 수출구조는 


진한 갈색이 철광석, 노란색이 농업,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플라스틱 산업이고









What_did_Brazil_import_in_2013-.png


2013년도 브라질의 수입구조를 보면


전자제품과 석유, 화학제품을 많이 수입하고 있어.  









브라질원자재수출.png

중국의 경제성장과 원자재 붐으로


브라질의 원자재(Primary Commodities) 수출비중이 


꾸준히 증가해서 수출의 50% 정도야. (2012)









중국원자재수입.jpg


중국은 브라질의 대표 수출품인 


철광석과 콩을 어마어마하게 많이 수입하고 (2014)









중국자원소비.jpg


전세계 철광석의 약 60% 를 소비할 정도라고 해. 










중국철광석생산.png


그런 중국의 철강 생산이 


세계경제 둔화와 부동산 침체로 위축되었고 









중국철광석수입.png


철강 산업의 침체로 


중국의 철광석 수입도 감소 중이야. 










철광석가격.png


전세계 철광석의 50% 이상을 소비하는 중국이


철광석 수입을 줄이자 철광석 가격도 크게 운지했고 









브라질짤20150218.jpg


이는 브라질 경제에 큰 위협이 되었어.









2014년대중국수출.jpg


브라질의 대중국 수출이 크게 감소했고 (2014)









브라질무역수지.png


브라질의 무역수지 흑자도 크게 감소해서










브라질경상수지.png


브라질의 경상수지 적자가 엄청나게 불어난 상태야. 








브라질대두.jpg

브라질에 철광석만 있는게 아니고


브라질이 세계적인 농업 대국이기도 한데 (2012)










브라질저수량.jpg


극심한 가뭄으로 브라질의 농부들이 고통받고 있고 










Soybean-No1-Yellow-Prices-2015-06-25.jpg


대두 가격하락으로 브라질 농업에 타격이 클 것 같아. 









0702-11-3-01 (1).jpg

최근 기상이변으로 곡물가가 조금 상승했지만


원자재 버블에 비하면 가격이 많이 내려간 것으로 생각해. 









브라질소비자심리지수.png


뭐 어쨌든 이런저런 이유로


브라질의 소비자심리지수가 크게 하락했고 (2014)











브라질산업생산.png


브라질의 공장가동률이 하락하고 (2014)









브라질산업생산2.png


산업생산이 마이너스 성장 중인데











브라질산업생산3.gif


브라질의 산업생산 침체는 특히 심한 편이야.









브라질실업률.png


그리고 룰라 대통령 이후 감소하던 실업률이 


경기침체 때문에 다시 늘어났고 










브라질물가와실업률.png


환율 탓인지 물가상승률이 8%로 많이 올라갔어. 










재정적자.png 

여기에 브라질의 2014년 재정적자가 


GDP의 5%로 꽤 높은 편이라 관리가 필요하고 










브라질성장률20150706.jpg


올해 브라질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1.6%로 예상되어서










호세프대통령.jpg


브라질과 호세프 대통령이


경제위기를 잘 극복할지 흥미로운 상황이야.








2. 브라질 경제위기 요약


1) 대중수출 감소와 원자재 가격하락 등으로 무역수지 흑자가 크게 감소함.


2) 산업생산 침체, 물가 상승, 실업률 증가, 재정&경상수지 적자등의 문제가 있음.


3) 올해 브라질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1.6%로 예상됨. 경제운지 중.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224061313






3줄 요약 


1. 대중수출 감소와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브라질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음. 


2. 극심한 가뭄과 대규모 폭동도 발생해서 브라질 경제가 불안정함. 


3. 경기침체로 호세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운지함. 국정운영 긍정평가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