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V4Bo

 

그리스운지.jpg

 

안녕~ 오늘 그리스로 글을 쓸 생각이야.  

 

이번에는 그리스가 왜 망했냐를 주제로 쓰려고 해.

 

 

 

 

 

 

목차는

 

1. 그리스의 복지지출

 

2. 그리스의 경제

 

3. 그리스의 경제운지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그리스의 복지지출

 

그리스20110915.jpg

 

그리스의 경제운지에는

 

복지지출 때문이다. VS  유로화 때문이다. 라는

 

주장이 아주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2011)

 

 

 

 

 

 

 

 

그리스복지지출20121217.jpg

 

그리스의 GDP 대비 복지지출은

 

EU 평균수준으로 아주 심하지는 않은 편이야. (2010)

 

 

 

 

 

 

 

 

 

그리스재정적자3.PNG

 

하지만 정부수입보다 정부지출이 많아서

 

그리스는 만성적인 재정적자를 보이고 있어. (2008)

 

 

 

 

 

 

 

 

 

그리스지하경제.jpg

 

이는 그리스의 지하경제가 유럽에서 가장 심하고 (2013)

 

 

 

 

 

 

 

 

 

 

남유럽조세부담율20110812.jpg

 

조세부담률이 평균보다 낮아서 그런거야. (2008)

 

 

 

 

 

 

 

 

 

 

복지체계20110125.jpg

 

고복지-저부담 시스템이라

 

재정적자는 만성적일 수 밖에 없어. ㅎㅎ (2011)

 

 

 

 

 

 

 

 

 

그리스정부역량20130317.jpg

 

또 그리스는 정부 역량 점수에서

 

매우 나쁜 평가를 받는 나라로 (2013)

 

 

 

 

 

 

 

 

 

그리스재정20100415.gif

 

정치권이 부패하기 때문에

 

국가재정을 낭비할 가능성이 높은 나라야. (2010)

 

 

 

 

 

 

 

 

 

유럽공적연금.jpg

 

무엇보다 그리스는 연금지출에 있어서

 

비교적 많이 지출하고 있어. (2010)

 

 

 

 

 

 

 

 

 

복지모델20111115.jpg

 

뭐 어쨌든 남유럽 복지시스템은 단점이 매우 많고

 

 

 

 

 

 

 

 

그리스재정적자20120621.jpg

그리스의 GDP 대비 재정적자는

 

마이너스 10% 수준으로 매우 심해서 (2011)

 

 

 

 

 

 

 

 

 

그리스의취약성.png

 

재정건전성에서 그리스가

 

유럽 최하위권이라고 해. ㄷㄷ (2010)

 

 

 

 

 

 

 

1. 그리스의 복지지출

 

1) 그리스의 사회복지지출 비중은 유럽 평균수준임.

 

2) 하지만 조세부담률이 낮아서 고복지-저부담 시스템임.

 

3) 재정적자가 매우 심해서 그리스가 유럽에서 재정건전성이 가장 나쁨.

 

 

 

 

 

 

 

 

2. 그리스의 경제

 

유로화도입.jpg

 

그리스 경제에 있어서

 

유로화를 빼놓을 수 없다고 생각해. (2007)

 

 

 

 

 

 

 

유로존맴버.png

 

유로화는 유로존 국가들 상당수가 쓰는 통화로 (진한 파란색)

 

 

 

 

 

 

 

 

 

유로존통화연합.png

 

 

여러가지 장단점이 있는 통화시스템이야.

 

 

 

 

 

 

 

 

 

그리스국력2012.png

 

단일통화는 유로존 경제위기로 단점이 더 부각되었는데

 

 

서로 다른 국력의 나라를 하나로 합친 후

 

평균을 내어 유로화 환율을 만든 것이라 (2012. 유로화)

 

 

 

 

 

 

 

 

독일남유럽경상수지.png

 

유로존 평균치 이상의 국력을 가진 독일은

 

평가절하로 수출에 크게 혜택을 보고

 

 

유로존 평균치 이하의 국력을 가진 남유럽은

 

평가절상으로 수출에 크게 불이익을 받고 있어. (2011)

 

 

 

 

 

 

 

 

그리스디폴트시나리오.jpg

 

그리스가 얼마만큼 고평가를 받았는지

 

자세히 모르지만 (2012)

 

 

 

 

 

 

 

 

단위노동비용상승.jpg

달러화로 계산되는 단위노동비용이

 

약 40% 쯤 올라갔으니 (2010)

 

 

우리나라에 비유하자면 1달러에 1000원하는 환율이

 

1달러에 600원 쯤으로 바뀐 것 같아. ㅋㅋ

 

 

 

 

 

 

 

 

그리스무역수지.png

그러면 수출은 1달러어치 물건을 600원에 파는거라 울상이고

 

수입은 1달러어치 밀가루를 600원에 사는 것에 비유할 수 있어.

 

 

그래서 2010년도에 그리스의 수입이

 

수출의 4배 정도 많았던 것으로 생각해. (2012)

 

 

 

 

 

 

 

 

 

환율변동.PNG

또 이런 환율 불균형은 환율 메커니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균형을 잡게 되어있는데

 

 

 

 

 

 

 

 

 

그리스재정수지무역수지적자.jpg

 

그리스는 유로화에 묶여 있어서 바꿀 수 없고

 

무역수지 적자가 매우 심하고 오래 지속되었어. (2012)

 

 

 

 

 

 

 

 

 

그리스외채.png

 

경상수지 적자는 외채로 매울 수 밖에 없는지라

 

그리스의 외채는 상당히 많은 편이야. ㅎㅎ  (2010)

 

 

 

 

 

 

 

 

 

 

What_did_Greece_export_in_2013-.png

 

(2011년 경제운지로 짤이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그리스의 2013년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진한 갈색이 정유산업, 갈색이 철강산업, 노란색이 농업,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화학-플라스틱, 초록색이 의류산업으로

 

 

 

 

 

 

 

 

 

 

 

그리스제조업.PNG

 

그리스는 제조업이 약하고 1차산업 비중이 높은 편으로

 

이러면 고부가가치를 통한 환율 페널티 극복이 어려운 것 같아. (2010)

 

 

 

 

 

 

 

 

 

Where_did_Greece_export_to_in_2013-.png

 

또 유로존 역내무역 의존도가 높아서

 

영향을 받기도 쉬운 점도 한몫한다고 봐. ㅎㅎ

 

 

 

 

 

 

 

 

 

그리스관광업.png

 

그외에 그리스는 관광업 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인데

 

세계경제 위기로 관광업이 큰 타격을 받고 (2012)

 

 

 

 

 

 

 

 

 

전세계해운업20121202.jpg

 

그리스가 중국의 2배 정도되는 재화중량톤수(DWT)를

 

가진 해운업 강국인데 (2012)

 

 

 

 

 

 

 

 

 

발틱운임지수.png

 

세계경제 위기로

 

발틱운임지수가 크게 운지한 상태야. ㄷㄷ (2015)

 

 

 

 

 

 

 

 

 

 

Cover_Story_18.02.2015_Main _Image 2.jpg

 

이런저런 이유로 그리스 경제가 매우 약해졌고

 

 

 

 

 

 

 

 

 

Greece-2.jpg

 

2011년에 금융위기가 찾아와서 운지하게 되었어. ㅎㅎ (2015)

 

 

 

 

 

 

 

 

 

남유럽경제위기원인.png

 

남유럽이 운지한 이유는 크게 이렇다고 해.

 

 

 

 

 

 

 

2. 그리스의 경제 요약

 

1) 유로화 도입으로 그리스가 환율 고평가로 수출경쟁력이 매우 약해졌음.

 

2) 그리스의 산업경쟁력이 환율 패널티를 극복할 정도로 강하지 않아서 무역적자가 매우 심했음.

 

3) 세계경제 위기로 관광산업과 해운업 경기가 크게 위축된 것도 한몫함.

 

 

 

 

 

 

 

3. 그리스의 경제운지

 

그리스긴축안20111019.jpg

 

그리스는 경제위기로 구제금융을 받고

 

긴축정책과 구조개혁을 추진했는데 (2011)

 

 

 

 

 

 

 

 

Greek-crisis-graph-297894.jpg

 

그리스의 경제규모는 30% 정도 감소해서 (2014)

 

 

 

 

 

 

 

 

FT (2015-06-19).png

 

세계에서 손꼽히는 운지사례가 되었어. ㅋㅋ (2015)

 

 

 

 

 

 

 

 

 

그리스운지20150415.jpg

 

그래서 그리스 국민들은 어마어마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이야. (2015)

 

 

 

 

 

 

 

 

 

그리스한국비교.gif

 

그리스의 노력이 조금 부족한 것도 있고

 

유로화 페널티가 너무 심한 탓도 있다고 생각해.

 

 

 

 

 

 

 

 

 

부실채권증가.jpg

 

여기에 그리스는 심각한 경제운지로

 

부실채권이 급증해서 (2014)

 

 

 

 

 

 

 

 

 

부실채권비율.png

 

부실채권비율이 약 40%로 어마어마하게 많아져서

 

 

 

 

 

 

 

 

 

그리스빚.png

 

금융권 구제금융과 복지지출 등으로

 

그리스 정부부채는 GDP의 175% 까지 증가하게 되었어. ㄷㄷ (2013)

 

 

 

 

 

 

 

 

 

부채의이론.jpg

 

유로존은 부채문제 해결을 위해 긴축처방을 내렸는데

 

 

 

 

 

 

 

 

 

재정긴축.jpg

 

정부지출이 많은 그리스가

 

긴축정책의 피해가 가장 심해서

 

 

 

 

 

 

 

 

 

crisis.jpg

 

그리스인들은 긴축정책에 반감이 많은 편이야.

 

 

 

 

 

 

 

 

 

그리스한짤요약.png

 

그리스의 경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

 

참 안타깝다고 생각해. ㅎㅎ

 

 

 

 

 

 

 

3. 그리스의 경제운지 요약

 

1) 긴축정책과 구조개혁을 추진했으나 경제규모가 30% 정도 감소함.

 

2) 경제위기로 부실채권이 크게 증가하고 정부부채도 심하게 늘어났음.

 

3) 정부지출이 많은 그리스는 긴축정책의 피해도 심해서, 긴축반대가 심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043989165

 

 

 

 

 

3줄 요약

 

1. 그리스의 복지지출이 유럽 평균수준이나, 정부수입보다는 많은 편임.

 

2. 그리스는 유로화 페널티를 가장 심하게 받은 나라이나, 원래 경제력이 취약했음.

 

3. 그리스는 구제금융 이후에도 경제회복을 하지 못하고 운지했음. 폭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