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vwsn
안녕~ 오늘은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의 한 축인
남아공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남아공 소개
2. 남아공 경제
2. 남아공 단점
이렇게 쓰려고 해.
1. 남아공 소개
남아공은 아프리카 최남단에 있는 나라로
백인이 꽤 많은 나라야. (2012)
한반도의 5.5배 크기, 인구 5300만명으로 꽤 큰 나라이고
1인당 GDP는 5,902달러로 (2015. IMF)

환율 때문에 과거보다 많이 떨어진 것 같아. ㄷㄷ (2009)
남아공은 1인당 GDP에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최상위권이고 (2005)
교육, 소득, 생활수준 등의 인간개발지수에서도
아프리카에서 가장 우수한 나라라고 해. (2005)
그래서 남아공의 국력이 강하지 않지만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 맴버에 속할 정도로
남아공은 꽤 높은 평가를 받는 나라야. (2013)
무엇보다 2010년에 남아공 월드컵을 해서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인지도가 높다고 생각해. ㅋㅋ
1. 남아공 소개 요약
1) 남아공은 한반도의 5.5배 크기, 인구 5천만의 아프리카 국가임.
2) 1인당 GDP, 인간개발지수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 아프리카의 대표국가.
3) 경제력이 강하지 않지만, 브릭스 (신흥경제 5개국)의 맴버에 속함.
2. 남아공 경제
남아공은 광물자원이 매우 많은 나라로 (2013)
광산업이 발달한 나라라고 해. (남아공의 금광)
남아공의 2013년 수출구조를 보면 (출처: http://atlas.cid.harvard.edu/)
갈색이 광산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란색이 농업, 분홍색이 화학산업, 초록색이 의류산업이야.
뭐 광산업이 주류지만, 아프리카치고는 제조업이 꽤 있다고 봐. ㅎㅎ
남아공의 수출 대상국은 아시아, 유럽, 미국, 아프리카 순이고 (2013)
수입구조를 보면 전자제품과 석유를 주로 수입하는 편이야. (2013)
(금과 다이아몬드를 생산하면서 수입도 하는건 조금 희한함. ㅋㅋ)
그리고 남아공의 산업구조는
3차 산업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보여. (2014)
남아공의 실업률은 나이지리아보다 높고
경제규모와 성장률도 한참 밀리고 있지만 (2013)
산업구조에 있어서 남아공이
나이지리아보다 발전된 나라야. ㅋㅋ (2012)
비록 광산업이 수출의 절반 가까이 되지만
GDP 비중은 약 10% 이고 (2012)
남아공의 수출의존도는 30%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으로 보여. (2011)
그리고 남아공하면 중산층 증가를 빼놓을 수 없는데 (2015)
전체적으로 보면 흑인의 소득이 한참 낮지만 (2013)
흑인 중산층의 꾸준한 증가로
관심을 받고 있어. ㅎㅎ (2011)
페이스북 유저 수에서
남아공은 아프리카 상위권이고 (2013)
수출(Net Exports)보다 소비증가(Consumer Spending)가
남아공의 성장동력이야. (2012)
2. 남아공 경제 요약
1) 남아공은 광물자원이 많은 나라로 원자재 수출을 많이함.
2) 아프리카 국가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비교적 발전되었음.
3) 흑인 중산층 증가로 소비지출이 경제를 이끌고 있음.
2. 남아공 단점
남아공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경제발전이 많이 더딘 편이야. (2013)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은 15년 동안 평균 3% 수준이라
고도성장을 한 우리나라와 많이 비교되는 편이고 (2011)
석유버프를 받은 나이지리아에게 밀려서
남아공의 위상이 많이 추락한거 같아. ㅋㅋ
그리고 남아공하면
빈부격차를 빼놓을 수 없는데 (2012)
슬럼가 많기로 유명한 나라라 (2007. 파란색=슬럼가)
영화 디스트릭트 9의 촬영지가 남아공이기도 해. ㅋㅋ
또 남아공의 실업률은 26%를 넘는데 (2015)
흑인의 실업률이 가장 높고
백인과 황인은 비교적 적은 편이야. (2014)
재미있게도 남아공은 빈부격차와
높은 실업률에 대한 불만을 같은 흑인에게 풀고 있어. ㄷㄷ
이는 비교적 발전된 남아공에 살려고 하는
주변국 흑인 이민자들이 많아서 그런거 같아. (2010)
남아공의 인플레이션은 6% 수준으로
아주 심하지는 않지만
빈부격차와 높은 실업률 등으로
경제고통지수가 세계 3위로 높은 나라야. (2015)
남아공의 정치는 비교적 안정된 편이지만
부정부패가 좀 있는 편이고 ㅎㅎ
무엇보다 금 생산 감소와 (2010)
원자재 값 하락에 (2014)
어마어마한 규모의 광산 파업 등으로 (2014)
남아공의 경제여건이 악화된 편이야. ㅎㅎ (2013)
그래서 남아공의 랜드화가 심하게 평가절하되어서
1인당 GDP가 크게 하락한 원인이라고 봐. (2015)
남아공의 경제상태는 상당히 나빠보이고 (2014)
경상수지 적자와 단기외채가 좀 있어서 (2013)
대외위기에 취약하다고 평가받는 편이야. (2014)
10년 전과 비교해서 개선된 부분도 많지만
변함없거나 오히려 악화된 부분도 많고 (2013)
올해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이
개도국치고 매우 낮은 2%로 예상되어서
참 아쉬운 동네라고 생각해. ㅎㅎ (2015)
2. 남아공 단점 요약
1) 남아공의 지니계수는 0.63으로 빈부격차가 매우 심각함.
2) 남아공의 실업률이 25%로 상당히 높고 경제고통지수는 세계 3위를 기록함.
3) 금 생산량 감소와 원자재 가격하락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것 같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043989165
3줄 요약
1. 남아공은 브릭스(신흥경제 5개국)의 맴버로 아프리카+광물자원이 특징임.
2. 아프리카 중에서 상당히 발전된 나라로 흑인 중산층이 많이 나왔음.
3. 높은 실업률과 낮은 성장률의 고질병이 있어서, 최근 취약국가로 평가받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