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vi8l
안녕~ 오늘은 아프리카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개별 국가가 아닌 아프리카 전체로 쓸거라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아프리카 소개
2. 아프리카 경제
3. 아프리카 위기
이렇게 쓰려고 해.
1. 아프리카 소개
아프리카는 전세계 20%의 광활한 땅에
9억 명의 사람들이 사는 곳이야. (2010)
아프리카의 국가 수는 53개로 매우 많은데
이는 아프리카가 엄청나게 커서 그런거 같아.
우리가 주로 보는 메르카토르 지도 (항해용)에선
아프리카가 작아 보이지만

페터스 지도 (실면적)로 보면
아프리카는 놀라울 정도로 큰 대륙으로
미국, 중국, 서유럽, 멕시코, 인도, 일본을
합친 크기라고 해. ㄷㄷ
하지만 아프리카는 매우 가난한 동네로
많은 사람들이 기아에 허덕이고 있으며 (2013)
전기, 인터넷 같은 문명의 혜택을
못 보는 사람들도 많은 실정이야.
따라서 아프리카에 약 10억명의 많은 사람들이 살지만
경제규모로 보면 매우 작다고 봐. ㅋㅋ (2012)
또 아프리카는 부정부패, 내전 같은 불행이
매우 많은 곳이라 안타깝다고 생각해. (2014)
1. 아프리카 소개 요약
1) 아프리카 대륙은 세계의 20% 면적에, 인구 약 9억명의 거대한 지역임.
2) 기아, 빈곤, 부정부패, 내전 등의 고통이 많은 저개발지역임.
3) 따라서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규모는 매우 작은 편임.
2. 아프리카 경제
아프리카의 기후와 지형은
사하라 사막 이남과 이북이 매우 다른 곳이야.
북쪽은 사막 기후이고, 남쪽은 열대 기후라서
사하라 사막을 기점으로 농업이 서로 다른지라

UN보고서에서도
두지역을 크게 구분해서 보고 있어.
그리고 사람은 기후에 영향을 받는지라
아프리카의 인구밀도도 재미있는 형태야. ㅋㅋ
전세계 국가의 주요수출품 지도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주요수출품은 천연자원이라고 봐.
(빨간색이 자원수출국, 초록색이 자원수입국)
다른 짤에서도 아프리카는
주로 자원수출국이야. (2013)
(수출구조 링크 : http://atlas.cid.harvard.edu/)
아프리카 국가들의 수출구조(2013)를 보면
남아공은 다이아몬드, 금, 철광석, 석탄 같은 광물 수출이 많고
나이지리아는 석유수출이 대부분이고 ㄷㄷ
에티오피아는 주로 농산물 수출이야.
짤을 보면 수출구조가 상당히 극단적이라고 생각해. ㅎㅎ

이처럼 아프리카는 석유도 많이 나오고

광물자원도 엄청나게 풍부한 곳이야. (2015)
그래서 서방 선진국들이 수 많은 리스크를 무릅쓰고
아프리카의 부(자원)를 노리고
투자를 엄청나게 늘리고 있었어. ㅎㅎ (2013)
그덕분에 내전이 있는 리비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나라들이 경제상태가 좋아졌다고 해. (2013)
그외에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규모는 이렇다고 하고 (2013. 추정치)
15년 후에 유망할 아프리카 나라들은 이렇다고 해. ㅋㅋ
2. 아프리카 경제 요약
1) 아프리카는 석유와 광물 자원이 많은 대륙임.
2) 인프라와 기술력이 부족하다보니 원자재 수출비중이 매우 높음.
3) 아프리카 탑국가들은 나이지리아, 남아공, 이집트, 앙골라 등임.
3. 아프리카 위기
중국은 전세계 원자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중국과 아프리카의 교역액은
날이 갈수록 증가했어. (2012)
그래서 중국의 아프리카 무역규모는
미국의 2배 정도로 엄청나게 많고 ㄷㄷ (2013)
아프리카의 자원을 얻고자
중국이 어마어마하게 투자했었어. (2014)
그래서 중국이 아프리카를 먹는다는
우려가 많았는데
실제 비율을 보면
중국의 비중은 낮은 편이야. ㅋㅋ (20120
하지만 중국은 아프리카의 광물자원을
수입하는 소비처로 (2010)
아프리카에게 있어서
중국은 매우 중요하다고 봐. ㄷㄷ (2010)
이처럼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들이
중국 경제에 매우 의존하는데
부동산 침체 등을 이유로
중국의 생산가동률이 하락하면서 (2014)
중국의 해외-수입은 꾸준히 감소 중이라고 해. (2015)
그래서인지 원자재가격지수도 하락추세인데
뭐 유가하락이 가장 크지만 (2015)
철광석 가격하락이 꽤나 심하고 (2015)
석탄가격도 꾸준히 낮아지고 있어. (2014)
이러면 자원수출이 많은 아프리카의 매력이 없어지는거라
외국인직접투자(FDI)가 2014년에 크게 감소해서 (2015)
아프리카 경제에 꽤나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해. (2015)
자료가 부족해서 아쉽지만
최근 아프리카의 주가가 하락추세이고 (2015)
아프리카 난민이 엄청나게 증가하는 중라
아프리카의 경제가 나빠지고 있다고 생각해. ㅎㅎ
3. 아프리카 위기 요약
1) 아프리카의 자원 대부분을 중국이 수입함.
2) 중국 경제가 부동산 침체 등으로 매우 부진함. 중국의 해외-수입이 급감.
3) 아프리카의 외국인투자금이 감소했고, 난민은 크기 증가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043989165
3줄 요약
1. 아프리카는 인프라와 기술력 부족으로 자원수출을 많이 함.
2. 중국 경기침체 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크게 운지 중.
3. 원자재 수출감소로 아프리카 경제가 나빠지지 않을까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