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mzuwk
안녕~ 최근에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장에
IMF가 철수해서, 중요한 이슈로 보고
또 한번 그리스로 글을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그리스의 경제운지
2. 그리스의 회생노력
3.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4. 디폴트 가능성과 향후 영향
이렇게 조금 길게 쓰려고 해.
1. 그리스의 운지

경제운지 전 그리스는 GDP 대비 외채가 많고 (2010)
제조업이 약하고 관광업에 많이 기대는 나라야.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의 여파로
그리스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40%까지 폭등해서
그리스는 GDP보다 많은 구제금융을 받게 되었어. (2011)
우리나라와 그리스의 경제위기를
비교하면 이렇다고 해.
그리스는 구제금융이 있었음에도
경제성장률이 계속 마이너스여서
경제규모가 약 30% 정도 감소했고
실업률은 역운지해서
유럽에서 가장 실업률이 높은 나라가 되었어.
그리고 경제운지에 피해를 본 금융권 구제금융과
실업수당 등의 복지비 지출로
GDP 대비 정부부채가 2배 가까이 증가해 (2013)

그리스는 세계적으로 정부부채가 높은 나라가 되었어.
1. 그리스의 운지 요약
1) 그리스는 경제력이 약하면서 외채가 많아, 대외위기에 취약한 나라임.
2) 경제규모가 약 30% 정도 감소하고, 실업률이 25%로 심하게 망했음.
3) 금융권 구제금융과 복지지출 등으로 정부부채가 더욱 늘어나 위험수준임.
2. 그리스의 회생노력
유로화 도입은 그리스에게 환율의 평가절상이라
달러화로 계산되는 단위노동비용이
약 40% 정도로 크게 증가하게 되었어. (2010)
이는 수출 경쟁력에 큰 장애요인인데
유로화 때문에 환율조작을 못하는지라
임금을 줄이는 직접적인 형태로 대응한거야.
몸에 맞는 옷을 입는게 아니라, 옷에 맞게 몸을 바꾼 것으로
이런 방법은 엄청난 고통이라 생각해.
그리스의 주요 수출국인 유로존 경제가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뼈를 깎는 노력의 결과
그리스는 경상수지 적자를 크게 줄인 상태야.
또 그리스는 긴축정책도 추진해서
정부지출을 크게 줄였는데
2년 전에는 국영방송사도 폐쇄했을 정도라고 해.
이런 노력에 힘입어 그리스의 미래전망은
조금 희망적인 상황이였어.
2. 그리스의 회생노력 요약
1) 임금삭감으로 수출경쟁력 확보에 노력해서 경상수지 적자를 줄였음.
2) 국영 방송사를 한때 폐쇄했을 정도로 재정적자를 줄이는 노력을 했음.
3) 그리스의 노력 덕분에 경제전망이 조금 낙관적인 상태였음.
3.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그리스는 경제위기와 긴축으로
민간소비가 크게 위축되어
디플레이션까지 있고
그리스 국민들의 삶은 매우 어려운 편이야.
그래서 경제위기와 긴축으로 고통받는 국민들에게
극좌파 시리자가 달콤한 공약을 해서 (2014)
긴축반대와 채무탕감을 주장하는 극좌파 시리자가
그리스 총선에 승리하게 되었어.
여기에 때마침 채무만기가 2015년에 몰려 있어서
구제금융과 경제개혁을 주제로
재협상에 들어갔어.
그결과 그랙시트 문제가 다시 큰 이슈가 된거야.
3.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1) 그리스 국민들은 긴축과 고실업에 지쳐있는 상태였음.
2) 부채탕감과 긴축반대를 주장하는 시리자가 총선거에서 승리함.
3) 구제금융 재협상을 하게 되어서, 그렉시트 문제가 재부상함.
4. 디폴트 가능성과 향후 영향
그리스와 채권단의 협상 주제는 크게 이렇고
덤으로 부채를 영구채(만기가 없이 이자만 지급하는 채권)나
물가연동채(금리와 물가를 연동하는 채권)로 바꾸는 것이 있어.
(참고로 그리스는 디플레이션 상태임.)
쟁점사항은 양측이 이념적으로 큰 입장차가 있어서
협상에 진전이 없는 상황이야.
채권단은 GDP 비중이 높은 연금지출을
줄일 것을 요구하는데
가능할 것 같은 이슈지만
그리스 정부는 결사 반대를 외치는 상태야.
그래서 협상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해.
그리고 이런 협상으로 인해
그렉시트(유로존 탈퇴) 가능성이 생겨서
그리스에서 외국자본들이 탈출하고 있고
그리스 국민들은 은행예금을 인출하는
뱅크런을 하는 상태라고 해.
여기에 그리스는 경제위기로
부실채권(NPL)이 급증해서
부실채권비율이 40%로 상당히 어려운 상태야.
따라서 구제금융을 받든, 디폴트를 하던
양자택일은 필연적이라 생각해.
그리스의 미래는 크게 3가지 가능성인데
나는 디폴트와 유로존 탈퇴로 보고 있어. (통까흥을 믿는다. 이기!)
이유는 임금삭감과 긴축보다
통화조작이 쉽고 편리한 방법이라 그래. (2012년 짤)
다만 그리스 국민들이 유로존 탈퇴를 원하지 않아서
그렉시트를 안 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해.
그리스가 디폴트&그렉시트를 한다면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하지만 그리스의 정부부채
대부분을 국제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고
독일의 비중이 크기만
GDP 대비로 보면 분산이 잘된 편이야.
약간 걱정되는 것은 민간부채인데
이것도 유로존 양적완화로
유동성이 풍부해서 괜찮지 않을까 생각해.
9개월 협상연상안도 있지만
올 6월에 그리스 문제가 결착을 보일 것 같아.
4. 디폴트 가능성과 향후 영향 요약
1) 그리스와 채권단은 협상은 상당히 어려운 편임. 그래서 디폴트와 그렉시트 가능성이 높은 편.
2) 부실채권비율이 상당히 높아서, 구제금융이든 디폴트든 필요할 것 같음.
3) 그리스의 정부부채 대부분을 국제금융기관이 보유해 위기전파가 약할듯.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5985949227
3줄 요약
1. 그리스 경제운지로 채무탕감과 긴축반대를 외치는 시리자가 집권함.
2. 그리스의 경제상황이 어려워 디폴트나 구제금융이 필수적임.
3. 9개월 협상연장안도 있지만, 올 6월에 결착을 지을 것 같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