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NSFop
안녕~ 어제 재미난 뉴스를 봐서
중국으로 글을 쓰려고 해. ㅎㅎ
최근 자료라 짤이 좀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중국의 경기부양책
2. 중국의 최근 경기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경기부양책
중국의 신규 주택가격 상승률이 작년 4월쯤부터
하락세여서 중국에 부동산침체가 찾아왔어.
주택가격 침체는 중국 GDP의 50% 를
차지하는 투자에 악영향을 끼치고 (2013)
중국 GDP의 약 20%를 차지하는 건설업과
철강, 시멘트 산업과 밀접한지라 (3개 합치면 GDP의 25%)
부동산 침체로 산업생산이 크게 위축되고
작년 8월에는 전력 생산도 감소했다고 해. ㅋㅋ (2014)
중국 정부는 경제 상황을 심각하게 여겨
작년 7월~10월에 약 350조원의
직접적인 유동성 공급을 했고 (2014)
간접적인 통화정책으로
2015년에 2번의 지급준비율 인하와
6개월 사이에 3번의 금리를 단행했어.
근데 6월 2일에 270조원의
직접적인 유동성 공급을 또 한 것이야. ㄷㄷ
(짤의 지준율 0.1% 은 오타)
중국 정부가 돈풀기 정책을
정말로 자주하는 셈이야. ㅋㅋ
중국이 270조원의 돈 풀기를 한 이유는
광의통화 (M2) 증가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어서
적극적인 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기대보다 효과가 낮은 편이라고 생각해.
따라서 간접적인 통화 정책보다
직접적인 유동성 공급을 하게 된 것 같아.
또 5월 말에 자주 반복된 주가폭락에
우려감을 가져서 그런 것 같아.
270조원 푼 덕분인지, 중국 주가는 5000포인트로
크게 올라갔어. ㅎㅎ
1. 중국의 경기부양책 요약
1) 중국의 부동산 침체로 중국의 건설, 철강, 시멘트 산업이 위축되었음.
2)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해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자주 하고 있음.
3) 6월 2일 270조원의 유동성 공급을 단행함. 매우 직접적인 방법임.
2. 중국의 최근 경기동향
중국의 땅값이 상당히 높은지라
일부지역에선 오락가락이지만
전체적으로 부동산시장이 부진한 편이야. ㅎㅎ
그래서 중국의 부동산투자는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중국의 산업생산 (초록색), 소매판매 (검은색), 고정자산투자 (회색) 증가율도
계속 낮아지는 추세야.
무엇보다 설비가동률 (Capacity Utilization 검은색) 이 하락세로
짤이 부족해서 그렇지
과잉설비, 과잉생산 문제가 심각한 상태라고 해.
또 중국의 전력사용량이
마이너스를 보여서 놀랍다고 생각하고
철도 물류량 (Railway traffic)은 마이너스 성장이고
아까 말한 전력 소비량 (Electricity Consumption)도 꽤나 저조한 상태야. ㄷㄷ
그리고 이렇게 중국 경제가 저조한데
주가는 2배 이상 뛰어서 재미있다고 봐. ㅎㅎ
중국의 부채비율은 위험수준에 도달했고
2014년부터 중국에서 핫머니가 빠져 나가는 중이라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통화정책은 계속 될 것 같아.
과연 누가 이길지 궁금한 상황이라고 생각해. ㅎㅎ
1. 중국의 경기부양책 요약
1) 강력한 유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시장 회복은 더 지켜봐야 할듯 함.
2)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전력소비량, 철도물류량 등의 지표가 하락세임.
3) 과잉생산, 과잉설비 문제도 심각한데, 자동차 산업의 경우 공장가동률이 50%라고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5948599435
3줄 요약
1. 중국 정부가 최근 270조원의 유동성 공급을 단행했음. 사실상 양적완화.
2. 경제의 여러 지표가 저조한데, 주가는 천정부지로 뛰었음. 최근 5000 포인트.
3. 중국의 부채는 위험수준이고 핫머니 유출도 있어서,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계속할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