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oVnz

 

Former-Toyota-Exec-gets-nominated-for-Bank-of-Japan-Policy-Board-770x503.jpg

 

안녕~ 낮에 쓴 일베 글이 호응이 너무 좋아서 기쁘다. 이기!

 

이제 2부로 일본 국채에 관해 쓸 생각이야.

 

이부분이 짤이 부족해서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께~ ㅎㅎ

 

 

 

 

 

 

목차는

 

1. 아베노믹스의 다른 필요성

 

2. 일본 채권시장의 우려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아베노믹스의 다른 필요성

 

경상수지.JPG

 

일본의 경상수지 구성을 살펴보면

 

투자부문수지가 무역수지보다 높을 정도로

 

 

 

 

 

 

 

 

chosunbiz_20150526085416417.jpeg

 

일본은 해외투자로 많은 돈을 버는 나라야. ㅎㅎ

 

 

 

 

 

 

 

 

일본해외투자20150526.jpeg

 

일본의 GDP 대비 해외투자 비중은 69%로

 

미국보다 GDP 대비 해외투자 비중이 높아서 (2015)

 

 

 

 

 

 

 

 

한중일점유율20150505.jpg

 

일본은 수출에 크게 목매지 않고

 

내수경제로 그럭저럭꾸려나갈 수 있었던 나라로 생각해. ㅎㅎ

 

 

 

 

 

 

 

 

 

불타는타코아키.jpg

 

하지만 불행하게도 끔찍한

 

동일본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반핵시위20150513.jpg

 

일본 국민들이 방사능 공포를 겪어야 해서

 

원자력 발전소들은 가동중단을 하게 되었어.

 

 

 

 

 

 

 

 

 

일본에너지20150513.jpg

 

원자력 발전이 사라지자

 

일본의 에너지 수입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경상수지.JPG

 

에너지 수입 증가로 무역수지가 운지하게 되자

 

 

 

 

 

 

 

 

한일경상수지.jpg

 

그럭저럭 굴러가는게 어렵게 되었어. ㅎㅎ (2013)

 

 

 

 

 

 

 

 

일본인구감소20140923.jpg

 

또 일본은 내수가 강한 나라인데

 

인구가 고령화-저출산으로 2008년부터 꺾이기 시작하자 (2015)

 

 

 

 

 

 

 

 

인구구조론.png

 

인구구조론에 따르면

 

일본의 내수도 침체를 면치 못할 것 같고

 

내수규모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생산성 향상은 패스~)

 

 

 

 

 

 

 

 

일본인구위기20141007.jpg

 

이런 인구구조론적 문제는

 

앞으로 점점 심해질 전망이고

 

 

 

 

 

 

 

 

 

일본장기재정.png

 

내수침체로 인한 세수감소+고령화 복지비 지출증가로

 

일본의 재정상황은 더욱 나빠질 수 있다고 해. (2010)

 

(2010년 국채이자=20조엔, 2025년=48조엔 예상)

 

 

 

 

 

 

 

 

20140611210900676.jpg

 

일본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출산율 증대 대책을 논하고 있는 중이고 (2014)

 

(우리나라보다 출산율이 양호하나 뾰족한 대책이 없음.)

 

 

 

 

 

 

 

 

아베정책20140625.jpg

 

아베 정부가 경제개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큰 정책은 수출 촉진이야.

 

고령화-저출산으로 일본의 내수가 앞으로 약해질 것 같고

 

무엇보다 무역수지를 회복해서 경상수지 적자를 피해야 하거든. ㅎㅎ

 

 

 

 

 

 

 

1. 아베노믹스의 다른 필요성 요약

 

1)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일본의 무역수지가 폭망하고, 경상수지가 심하게 오그라 들었음.

 

2) 고령화-저출산으로 일본의 내수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그럭저럭 굴러가기가 힘듬.

 

3) 아베 정부는 경제개혁을 추진 중이고, 수출촉진으로 위기를 극복할 생각임.

 

 

 

 

 

 

 

2. 일본 채권시장의 우려사항

 

일본국채규모.jpg

 

일본의 정부부채는 GDP의 246%로 (2014)

 

우리나라 돈 1경원(1만조)이 넘어가서 ㄷㄷ

 

 

 

 

 

 

 

 

일본정부부채.jpg

 

세계에서 일본의 정부부채가 가장 높다고 하고 (2014)

 

 

 

 

 

 

 

 

일본신용등급2.jpg

 

일본의 최대약점으로 평가받는 것이

 

정부부채로 인한 재정건전성이라고 해. ㅎㅎ

 

 

 

 

 

 

 

 

 

일본국채20110923.jpg

 

 

하지만 일본의 국채 90% 이상이

 

내국인이 보유해서 안정성이 좋다는 말이 많아.

 

 

 

 

 

 

 

 

 

채권시장교란.png

 

"엥? 그러면 아무 문제 없겠네" 싶지만

 

약간의 우려사항이 있어. 이제 그걸 설명할께.

 

 

 

 

 

 

 

 

채권유통시장.jpg

채권은 자금수요자인 발행주체(정부, 기업, 은행 등)와

 

자금공급자인 채권투자자가 직접 거래하는 발행시장과

 

 

채권투자자들이 자유롭게 채권을 매매하는

 

유통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본채권유통시장외국인.png

 

근데 일본의 국채 유통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상당히 높아진 편이야. ㅎㅎ (선물시장 거래량 50%)

 

 

 

 

 

 

 

 

jgb-trading-volume-by-foreigner.jpg

 

(JGB가 일본국채임. Japanese Government Bond)

 

이렇게 일본국채 거래량에서 외국인 비중이 높아진 이유는

 

 

양적완화가 중앙은행이 채권(종이)를 사고

 

채권시장에 채권값(돈)을 주는 방식으로 돈을 푸는 것이라

 

채권 매도세보다 매수세가 훨~씬 강해서 (4배)

 

 

 

 

 

 

 

 

채권가격.jpg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오르는

 

수요-공급 법칙에 의해

 

 

 

 

 

 

 

sed012014102417513484.jpg

 

일본의 국채는 상당히 고평가이고 (마이너스 금리)

 

지속적인 양적완화로 채권가격이 더 오를 수 있어서

 

 

 

 

 

 

 

 

BOJLiquidity.jpg

일본 국채의 매도가 많지 않아

 

일본 국채시장 거래량이 매우 적은 편이야. ㅎㅎ

 

 

 

 

 

 

 

 

채권가격과금리.jpg

 

이렇게 거래량이 적으면, 약간의 변화에도 

 

가격이 급변동하기 쉬워진다고 해. ㅎㅎ

 

 

 

 

 

 

 

일본채권금리.jpg

 

국채시장의 변동으로 국채금리가 변하게 되면

 

일본 정부에게 심각한 위기이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야. (2012?)

 

 

 

 

 

 

 

 

일본국채외국인9.3%.png

 

일본 국채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9.3%로 여전히 작지만

 

 

 

 

 

 

 

 

일본단기채권2014.jpg

 

국채 선물시장에서 약 50%이고

 

단기채권 시장에서 30% 수준으로 좀 위험이야. ㅎㅎ (2013)

 

 

 

 

 

 

 

 

 일본국채구조.png

그다음으로 일본 국채의 본질적인 문제인데

 

일본 국채는 가계의 현금을

 

금융&연금기관이 받아 투자하는 것이라

 

 

 

 

 

 

 

 

 일본가계저축.png

고령화와 아베노믹스로 인한 내수침체로

 

가계 저축률이 마이너스 성장인 것은

 

채권수요에 있어 꽤 문제라고 생각해.

 

 

 

 

 

 

 

 

일본공적연금.png

 

 일본의 공적연금은

 

2009년부터 적립금을 까먹는다고 하고  

 

 

 

 

 

 

 

 

 

 일본연금20141227.jpg

 

점점 늘어가는 연금수령자를 위해

 

채권보다 주식에 투자하는 편이야. (2014)

 

 

 

 

 

 

 

 

 일본국채20150526.jpg

 

그래서 올 5월 일본 국채발행을 할때

 

입찰비율이 매우 낮았다고 해. ㅋㅋ (5대 1에서 2대 1로 바뀜.)

 

 

 

 

 

 

 

 

 일본세출입구조.jpg

 

그리고 일본의 예산구조는

 

파란색이 정부수입 약50조엔, 빨간색이 정부지출 약90조엔

 

초록색이 국채발행 약 40조엔이고

 

 

 

 

 

 

 

 

 일본2015예산.jpg

 

정부예산 약 24%를 국채비(이자지출)로

 

사용할 정도라고 해. ㅎㅎ

 

 

 

 

 

 

 

 

아베노믹스시나리오20130603.gif

 

때문에 국채시장의 변화가 일본경제에 중요하고

 

아베노믹스 성공을 위해서 잘 관리할 필요성이 있어.

 

 

 

 

 

 

 

 

일본시나리오.jpg

 

해외비중 증가, 국내 소화여력 하락(중앙은행 빼고)

 

이 발생한 상황이라 조금 걱정되고

 

 

 

 

 

 

 

 

일본소비세.jpg

 

일본 경제회복을 위해 소비세 인상도 보류해

 

재정건전성 강화를 포기해서

 

 

 

 

 

 

 

일본신용등급.jpg

국제신용평가 기관들이 2015년 5월에도

 

일본의 신용등급을 낮추게 된 것이야. ㅋㅋ  (짤은 2014)

 

 

 

 

 

 

 

 

그리스20150501.jpg

 

또 그리스의 경제운지로

 

디폴트&유로존 탈퇴 공포감이 약간 있어서

 

 

 

 

 

 

 

 

 

최근채권시장20150513.jpg

 

최근 세계각국에 금리변동이 있어서

 

조금 걱정스러운 상황이야.

 

 

 

 

 

 

 

2. 일본 채권시장의 우려사항 요약

 

1) 일본 국채 90% 이상은 내국인이 보유하지만, 단기국채와 유통시장에서 외국인 비중이 증가함.

 

2) 일본 가계 저축률 운지로 채권의 국내 소화여력이 감소했음.

 

3) 국채 거래량이 급감해서 약간의 변동에도 금리가 움직일 수 있음. 취약성 증가.

 

 

 

 

 

3줄 요약 : http://www.ilbe.com/5859202693

 

 

 

 

 

3줄 요약

 

1. 아베노믹스(일본의 양적완화)는 일본 채권시장 왜곡이라는 단점이 있음.

 

2. 일본 국채 90% 이상은 내국인이 보유하나, 최근 외국인들이 단기&유통시장에 많음.

 

3. 국채금리가 만약에 급상승하면 일본의 국가재정은 파탄에 빠질 수 있음. 신용등급 강등의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