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무안공항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무안공항 소개


2. 무안공항 적자


3. 무안공항 고속철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무안공항 소개


위치_20141125_국민.jpg


무안공항은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에 있는 공항으로 (2014)







소개_201612_세계여행.jpg


2007년 11월에 개항한 국제공항이야. (2016)







건설비_201409_한경.jpg


무안공항은 건설비 3천억 원을 들여 만들었으며 (2014)







활주로1개_무안신문.jpg


활주로 1개의 작은 공항이라고 해. (2016)







개장초.jpg


무안공항은 개항 초에 사람이 진짜로 없어서 


무인공항, 대테러훈련장이라는 놀림을 받았고 (2009)








개항10년_하루이용객880명.jpg


개항을 한지 10년이 된 지금도 


하루 평균 이용객이 880명밖에 안 되어서 (2017)






국제노선없음.JPG

정기 국제노선이 1개도 없는 국제공항으로 


조금 안타까운 공항이야. (2017)







1. 무안공항 소개 요약


1) 무안공항은 2007년에 개항한 전라남도 무안군의 국제공항임. 


2) 개항 초 이용객이 정말 없어서 무인공항이라는 비판을 받았음. 


3) 지금도 하루 이용객이 천명 이하이고, 정기 국제노선이 없음. 







2. 무안공항 적자


적자_20100716_조선.jpg


우리나라는 공항을 많이 지어서 


지방공항 대부분이 적자를 보는 편인데 (2010)







적자_20160919_MBC.jpg


무안공항의 적자가 유독 심해서


문제가 되었다고 해. (2016)







인구밀도.jpg


무안공항의 적자가 심한 이유는


호남지역의 인구가 비교적 적고 (2014)







지역별GDP.jpg


지역 GDP가 비교적 낮은 편이라


공항 이용객 수가 많지 않은데 (2015)







 호남_20110328_조선.jpg

호남지역에 공항을 과도하게 많이 건설해서


수요-공급 상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이야. (2011)







적자_20170119_세계.jpg


또 무안공항이 거점공황 역할을 하기엔


조금 외진 곳에 있어서 (2017)







무인공항.jpg

(광주와 목포와 애매하게 먼 위치임.)


손님이 찾아오기에 안 좋은 점도 한몫했다고 봐. 







이용객_20131011_조선.jpg


이런 이유로 무안공항의 2012년도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263명으로 굉장히 적었으며 (2013)







시설이용률.jpg


시설이용률이 10% 이하로 매우 낮았고 (2012)







이용률_20140911_조선.jpg


활주로 활용률이 0.9%로 터무니없이 


적었다고 해. ㄷㄷ (2014) 







환전소.JPG

(2014년도에 무단 탈주할 뻔했다가 실패함.)


문제가 이렇게 심하다 보니 농협은행이 


환전소 운영을 포기할 뻔했고 



 




수요예측_20160710_세계.jpg


공항 수요예측의 최대 실패 사례로 


불리고 있어. (2016)







2. 무안공항 적자 요약


1) 주변에 공항이 많고 외진 곳에 있어서 무안공항의 적자가 심함. 


2) 시설이용률, 활주로 이용률이 14대 지방공항 최하위권이었음.  


3) 매출 부진으로 농협은행이 탈주할 뻔했다가 실패함. 







3. 무안공항 고속철


이용객_20170925_아주경제.jpg

무안공항 이용객 수는 전라남도와 광주시의 노력으로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로 (2017)







SSI_20151018_서울.jpg

(2016년도 무안공항 이용객 수는 32만 명)


예전에 비하면 이용객 수가 정말 많이 증가했다고 해. (2015)







적자_20161214_조선.jpg

하지만 이용객 수 200만 이상의 공항에 비하면 


한참 적은 편으로 (2016)







국제선_20170531_매일.jpg

국제공항이라고 하기엔 


굉장히 부족한 수준이야. (2017.05)







l_20171130_경향.jpg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호남고속철도를 무안공항과 연결해서 (2017)







20161230_건설.jpg 


무안공항을 광주와 목포와 가깝게 


하려고 하고 있어. (2016)






광주목포KTX.jpg

정부 변경 수용안 대로면 무안공항을 살리고 


정부 당초안보다 KTX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지만







3가지안.jpg


건설비가 2조 원 이상 많이 들어가고 


나주시를 거치지 않는 점이 단점이라고 해. 






무안공항.jpg


마지막으로 무안국제공항을 살리겠다는 


정부의 취지를 이해하지만 







난잡_20120327_뉴시스.jpg 

사업 타당성을 잘 따져보고 


심사숙고해서 결정했으면 참 좋겠어. (2012)







3. 무안공항 고속철 요약


1) 전라남도와 광주시의 노력으로 무안공항 이용객 수가 32만으로 증가함. 


2) 청주공항 이용객 수가 273만 명이라 무안공항은 한참 적은 편임. 


3) 무안국제공항을 살리기 위해 고속철도를 무안공항과 연결한다고 함. 


4) 3조 원 어치의 사업 타당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생각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무안공항은 활주로 1개, 연간 이용객 수 32만 명의 작은 공항임.  


2. 이용객이 너무 적어서 무인공항이라는 비판을 받았음. 


3. 위치 조건이 안 좋고 주변에 공항이 많아서 성공하기 힘든 구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