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쇼크.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빈집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일본의 빈집 현황


2. 일본의 빈집 대책


3. 우리나라의 빈집 현황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일본의 빈집 현황


저출산고령화_20170616_조선.jpg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는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상태로 (2017)







저출산고령화__20160229_조선.jpg

출생자보다 사망자 수가 훨씬 많다고 해. (2016)







인구감소_20170407_한국경제.jpg

이렇게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 때문에 


일본의 총인구가 조금씩 감소 중으로 (2017)








빈집.jpg


인구 감소 때문에 빈집 문제가 심화되고 있어. 







일본_20160507_조선.jpg


일본의 빈집은 빠르게 증가해서 


820만채가 빈집이 되었고 (2016)







일본빈집비율_201704_중앙.jpg


전체 주택의 13.5%가 빈집으로 


집계되는 중이야. ㄷㄷ (2017)







일본지방_201707007_서울.jpg


일본의 지방 인구 감소가 심각해서 (2017)







일본_201409_매경.jpg


일본의 빈집 비율에서 지방 쪽이 많이 높다고 하지만 (2014)








도쿄.jpg


일본 도쿄도의 빈집도 굉장히 많다고 해. 







도쿄도_20160703_파이넨셜.jpg


일본 도쿄도의 빈집이 80만채를 넘었고 


빈집비율이 11%나 나오고 있으며 (2016)







도쿄도_2014-12-29_중앙.jpg


도심 외 지역뿐만 아니라 도심지역에서도


쇠퇴 현상이 전망되고 있어. (2014. 집값 전망)







1. 일본의 빈집 현황 요약


1)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가 심각해서 빈집 문제가 심화되었음. 


2) 일본의 빈집은 820만채, 전체 주택의 13.5%이며, 지방에 많이 있음. 


3) 일본 도쿄도의 빈집 문제도 심각해서 주택의 11%가 빈집이라고 함. 







2. 일본의 빈집 대책


일본_20161225_서울경제.jpg


일본의 빈집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고 


앞으로 더 심각해질 전망이라 (2016)







일본제도.JPG


일본 정부에서 빈집에 관한 제도를 마련 중이야. 







빈집이유.jpg


철거 비용 때문에 방치된 빈집이 많아서 







보조금.jpg


일부 지자체에서 철거 비용을 보조해주고 


철거에 관한 세금 면제를 시행 중이며 







빈집은행_20170403_중앙.jpg 


빈집을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빈집은행이란 것을 만들었어. (2017)


 





빈집재생사례2_국토연구원.JPG

(리모델링 : 건축물을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


또 빈집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해주어서 







빈집재생사례1_국토연구원.JPG

(사진 출처 : 국토연구원)


빈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중이야. 







20170103_한겨레.JPG


일본의 빈집이 하도 많아서 


효과를 잘 볼지는 미지수이지만 (2017)








빈집2.jpg


도시 흉물로 전락한 빈집을 제거하고 







빈집정비사업.jpg

(사진은 우리나라의 빈집정비사업)


방치된 빈집은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해. 







2. 일본의 빈집 대책 요약


1) 철거비용 때문에 방치된 빈집이 많아서 철거 보조금을 지원 중임. 


2) 빈집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해서 빈집 재사용을 장려하고 있음.  


3) 빈집 거래 사이트를 만들어서 빈집이 거래될 수 있도록 보조 중임. 







3. 우리나라의 빈집 현황

우리나라_20170210_한겨레2.JPG

우리나라의 빈집은 106만채, 빈집 비율 5.59%로 (2017)







일본빈집비율_201704_중앙.jpg


일본보다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야. (2017)







고령화율_20171006_중앙.jpg


하지만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상당히 심각해서 (2017)







우리나라2.jpg


앞으로 빈집 문제가 심화될 것이라고 해. 







우리나라_201707_중앙.jpg

(세종은 행정 신도시라 예외로 생각함.)


우리나라의 빈집 비율은 전남, 경북, 


전북 지역이 꽤 높으며 (2015년도 기준) 







20160907_뉴스1.jpg

서울, 경기, 수도권의 빈집비율이 


매우 낮게 나오고 있어. (2016)








서울_20170227_이데일리.jpg


수도권의 빈집비율이 매우 낮지만 


빈집 가구수가 꾸준히 증가 중이라 (2017. 서울)







계획_20170609_서울경제.jpg


빈집 증가에 대한 대책이 


수도권에도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7)







3. 우리나라의 빈집 현황 요약


1) 우리나라의 빈집은 106만채, 빈집 비율은 5.59%라고 함. 


2) 전남, 경북, 전북 지역의 빈집 비율이 매우 높게 나오고 있음. 


3) 수도권의 빈집 비율이 낮은 편이지만, 빈집 수가 계속 증가 중임.







4. 내 생각 


생산가능인구_20120614.jpg


우리나라의 생산가능 인구는 


빠르게 줄어들 전망으로 (2012)







저출산고령화_201707_한경.jpg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앞으로 심화될 전망이야. (2017)







마을소멸1.jpg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동네가 생겨나고 있고 







감소_20171108_세계2.jpg


지역 쇠퇴가 여기저기서 예상되는 중이라 (2017) 







마을소멸2.jpg


빈집 증가에 대한 대책을 


슬슬 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 







20171123_.jpg


실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빈집 매입을 늘리고 있고 (2017)







토지은행.JPG


토지은행, 연금 제도를 확대 개편해서


빈집 대책을 준비 중이야. (2017)







빈집_20170210_한겨레.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빈집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면 좋겠으며 







리모델링.jpg


쓸 만한 빈집은 바로바로 리모델링해서


임대주택으로 쓰였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내 생각 요약


1)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2) 빈집 문제에 대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3) 빈집을 재활용한 임대주택 사업을 많이 했으면 좋겠음. 







과거 글 링크 : https://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저출산 고령화 때문에 일본의 빈집 문제가 심화되었음.


2. 빈집 820만채, 빈집 비율 13.5%로 상당히 심각함.  


3. 우리나라의 빈집 문제는 양호하나, 미래에 심각해질 전망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