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짐바브웨 경제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짐바브웨 소개
2. 짐바브웨 경제
3. 하이퍼 인플레이션
4. 짐바브웨 최근 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짐바브웨 소개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남부에 위치한 나라로
땅 면적이 우리나라의 4배 정도에
인구는 1,400만 명 정도 되는 나라야. (2015)
(2017년도 IMF 기준 짐바브웨의 1인당 GDP는 1,149 달러)
짐바브웨는 엄청나게 가난한 막장 국가로
1인당 GDP가 천 달러 밖에 안 되며 (2013)
국민 대부분이 빈곤에 허덕이고 있어.
짐바브웨의 수도 하라레는 (2017)
도시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조금 사람답게 살고 있지만
뭐 어쨌든 짐바브웨는 빈곤율(Poverty Ratio)이
70% 이상으로 매우 높다고 해. (2015)
1. 짐바브웨 소개 요약
1)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남부에 위치한 나라로 남아공 옆에 있음.
2) 땅 면적이 우리나라의 4배 정도이고, 인구수는 1,400만 명임.
3) 빈곤율 70% 이상, 1인당 GDP 1,149달러의 몹시 가난한 나라임.
2. 짐바브웨 경제
짐바브웨는 1980년에 독립한 신생국으로
광산업과 담배 농사를 주로 하며
막장 독재정권 때문에 경제발전이 매우 더딘 나라야.
짐바브웨의 공장은 오랜 시간 설비투자를 안 해서
매우 노후화되었고
광산업도 설비투자가 부실해서
매우 열악하다고 해.
(백금 매장량 세계 2위, 크롬 매장량 세계 3위로 추정 중.)
짐바브웨는 광물 매장량이 풍부한 편이나
생산량이 많지는 않아서 (2015)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담배 등의 상품작물이 짐바브웨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2014)
짐바브웨는 산이 많은 지형이라 농사짓기에
조금 안 좋아 보이는데
(더운 지역은 산이 그나마 시원해서 그런 듯.)
담배, 면화, 설탕, 옥수수, 차 등의 농사를
의외로 많이 하는 편이야.
하지만 짐바브웨의 기아 문제가
비교적 심각하게 나와서 (2012)
농사를 잘하는 나라인지
조금 의심스럽다고 생각해.
그 외에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과 무역을 주로 하며 (2014)
유명한 빅토리아 폭포를 끼고 있어서
관광객이 나름 방문하는 편이야.
또 야생동물 사냥이 합법인 나라라
'트로피 사냥'을 하기 위해 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아온다고 해. (2015)
2. 짐바브웨 경제 요약
1) 금, 백금, 니켈, 크롬, 석면 등의 광산업을 주로 하고 있음.
2) 담배, 면화, 설탕 등의 상품작물 농사와 옥수수 농사를 주로 함.
3) 빅토리아 폭포를 끼고 있어서 관광객이 나름 방문하고 있음.
3. 하이퍼 인플레이션
짐바브웨는 2000년에 백인 농장을 몰수하고
흑인들이 대신 농장을 경영했는데 (2017)
이게 농업 생산성을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불행을 야기했어. (2012)
이로 인해 짐바브웨의 경상수지가 적자로
전환되었고 (2017)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으로 바뀌었다고 해. (2008)
짐바브웨 경제가 2000년을 기점으로
퇴행하게 되었고 (2012)
경제위기 때문에 물가상승이 심각했는데,
너무 심해서 문제였어. (2006. 짐바브웨 달러)
짐바브웨의 인플레이션은 우주를 향해 날아가는
나로호 수준으로 심각해서 (2016)
식사 한 끼를 하기 위해 돈 뭉치를
들고 와야 할 정도였다고 해. ㅋㅋ (2015)
짐바브웨의 인플레이션은 너무 유명해져서
관광 상품이 되었고
짐바브웨 국민들이 자국 돈을 안 쓰고
미국 달러를 화폐로 대신 사용하니깐 (2015)
(미국 달러, 위안화, 유로화 등을 사용함.)
짐바브웨 정부가 화폐 발행을 결국 포기해버렸어. ㅋㅋ (2015)
3. 하이퍼 인플레이션 요약
1) 백인 농장 몰수 이후 짐바브웨의 상품작물 농업이 크게 위축되었음.
2)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인해 경제위기와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3) 짐바브웨 화폐는 관광 상품이고 외국 돈을 짐바브웨 화폐로 사용함.
4. 짐바브웨 최근 동향
위축되었던 짐바브웨의 상품작물 농사가
회복되어서 (2017. 담배)
짐바브웨 경제가 2000년대 수준으로
다시 성장했다고 해. (실질 GDP)
그리고 올해 11월 달에 짐바브웨에서
군부 쿠데타가 발생해서
37년 장기독재 무가베 대통령이 사임을 하는
좋은 일이 발생했어. (2017)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고 무가베 대통령이
사임하게 된 이유는
그가 부인에게 권력을 넘겨주려고 한 것에 대해
집권 여당과 군부가 반발해서 그런 것이라고 해. (2017)
이번 쿠데타의 주역인 치웬가 장군과 음난가그와 부통령은
무가베의 오랜 동료들로 (2017)
사실 이번 쿠데타로 인해 짐바브웨가
크게 바뀔 일은 없다고 알려졌어. ㅋㅋ (2017)
뭐 어쨌든 이번 일로 무가베 대통령이
사임한 것은 좋은 일로 (2013)
(중국이 쿠데타에 개입했다는 말이 있음.)
짐바브웨가 외국 투자를 많이 받아서
발전했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4. 짐바브웨 최근 동향 요약
1) 11월 군부 쿠데타로 무가베 대통령이 전격 사임했음.
2) 음난가그와 전 부통령이 임시대통령이 되었다고 함.
3) 집권여당이 일으킨 쿠데타라 짐바브웨가 바뀔지는 잘 모르겠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남부에 있는 몹시 가난한 나라임.
2. 광산업과 상품작물 농사로 먹고살고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유명함.
3. 군부 쿠데타로 37년 독재의 무가베 대통령이 사임했다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