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대만 기업 폭스콘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폭스콘 소개


2. 폭스콘 성장


3. 폭스콘 특징


4. 홍하이 그룹의 사업 확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폭스콘 소개


짤.jpg

(홍하이 말고 훙하이, 혼하이로 많이 표기됨.)


폭스콘은 대만 홍하이 그룹의 자회사이자


해외 상표명이라고 해. 







소개_20160401_조선.jpg


폭스콘은 매출 150조 원, 


직원 수 130만 명의 대기업이며 (2016)







위탁생산_20120522_디지털타임즈.jpg


세계 1위 전자제품 위탁생산 업체로 


유명한 기업이야. (2012)







161_foxconn.jpg


폭스콘은 품질관리와 비밀유지를 철저히 해서


글로벌 대기업의 하청을 많이 받는 기업으로 






애플_201305_한경.jpg

애플, 휴렛팩커드(HP), 델 등의 글로벌 대기업을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2013)







대만_2013.jpg

대만의 전자기기 생산 점유율에 


큰 기여를 하고 있어. (2013)







중국_20170922_이투데이.jpg


폭스콘의 생산 공장은 


대부분 중국에 있으며 (2017)







노동착취.jpg


중국의 노동력을 적극 활용해서


온갖 종류의 전자기기를 생산하는 업체로 







엑스박스_플레이스테이션_닌텐도위생산.jpg

마이크로 소프트(MS)의 엑스박스,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위 모두 폭스콘 공장에서 나온다고 해. ㅎㅎ







1. 폭스콘 소개 요약


1) 폭스콘은 대만 홍하이 그룹의 자회사이자 해외 상표명임. 


2) 매출 150조 원, 직원 수 130만 명의 아시아 대기업이라고 함. 


3) 전자제품 위탁생산을 주업으로 하는 회사로 중국 노동력을 적극 활용함.  







2. 폭스콘 성장


양안관계.jpg


중국이 대만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중국대만FTA.jpg


대만에게 매우 유리한 무역협정을 체결했고 (2011)







혜택_20170307_이투데이.jpg


중국 정부가 대만 기업 폭스콘에게


엄청나게 많은 특혜를 주어서 (2017)







매출_20170111_이투데이.jpg


폭스콘의 성장에 큰 기여를 했어. (2017)







20120328_한경.jpg


폭스콘의 가장 큰 성공비결은 애플의 


위탁생산을 담당하게 된 것으로 (2012)







박리다매_20110904_한겨레.JPG


아이폰에서 차지하는 폭스콘의 


이윤이 굉장히 작지만 (2011)







애플_201305_한경.jpg

아이폰 판매가 워낙 많다보니 


폭스콘이 큰 이익을 봤다고 해. (2013)








위탁생산.jpg


폭스콘은 전자기기 위탁생산으로 


어마어마하게 성장한 특이한 기업으로 






자산_20170309_이투데이.jpg

(74억 달러 = 8조 586억 원)


궈타이밍 회장의 자산이 8조 원을 넘어섰어. (2016)







2. 폭스콘 성장 요약


1) 폭스콘은 중국 정부의 특혜를 굉장히 많이 받았음. 


2) 애플 제품 80%를 위탁 생산하면서 엄청나게 성장했음.      


3) 궈타이밍 회장의 자산이 8조 원에 달한다고 함. 







3. 폭스콘 특징


박리다매_20110904_한겨레.JPG


폭스콘은 위탁생산을 주업으로 하다 보니


이윤이 대단히 박한 기업으로 (2011)







영업이익_201704_한경.jpg

(49억 달러 = 5조 3,361억 원)


매출액에 비해 영업이익이 굉장히 적게 나오고 있어. ㅋㅋ (2017)







영업이익률_20140905_전자신문.jpg

폭스콘의 영업이익률은 2% 수준으로 


굉장히 낮은 편이며 (2014)







영업이익률3%.jpg


영업이익률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5% 이하라고 해. ㅋㅋ (2015)







노동_20130204_한경.jpg


폭스콘의 다른 특징은 


살인적인 근무시간 문제로 (2013)







노동_20110113_서울.jpg


꽤 많은 중국 근로자가 투신자살을 했어. ㄷㄷ (2010)







13일연속12시간이상근무.jpg


폭스콘의 중국 근로자에게 


주당 60시간 노동은 자주 있는 일이고







주당60시간근무.jpg

(아이폰이 덜 팔려야 하는 이유)


정말 바쁠 때에는 13일 연속 12시간 근무를 해서 


노동 강도가 무시무시했다고 해. ㄷㄷ 







3. 폭스콘 특징 요약


1) 위탁생산을 주업으로 하다 보니 영업이익률이 매우 낮음. 


2) 폭스콘 중국 근로자들이 자살을 많이 해서 문제가 되었음. 


3) 열악한 복지와 살인적인 근무시간 문제가 있다고 함. 







4. 홍하이 그룹의 사업 확장


042916.jpg


팀쿡 애플 CEO로 인해 애플이 약간 이상하게 변하자  







201701_한경.jpg


폭스콘의 매출이 창업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는 일이 생겼고 (2017. 대만달러)







신사업_201601_한경.jpg


이에 홍하이 그룹은 신사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어. (2016)







통신사업_20160125_아주경제.jpg


전자기기 위탁생산으로 번 돈 일부를 


대만 통신사업에 투자했고 (2016)







휴대폰_201605_매경.jpg


마이크로 소프트(MS)사의 휴대폰 사업부를 


4천억 원에 인수해서 (2016)







20160519_조선.jpg

(저가 스마트폰을 생산해서 개도국 시장에 이미 진출했음. )


스마트폰을 자체 제조할 역량을 마련했다고 해. (2016)







샤프인수.jpg


홍하이 그룹의 가장 큰 인수합병은 


일본 전자업체 샤프 인수로 







처음.jpg


일본의 대형 전자업체가 외국에 인수된 첫 사례이며 







샤프_20160226_디지털타임즈.jpg

홍하이 그룹이 전자제품을 자체 생산할 


역량을 확보하게 되었어. (2016)







2_2폭스콘샤프.jpg

(위탁생산 전에 금형 기술로 유명하긴 했음.)


폭스콘은 하청업체가 아시아 대기업으로 


성장한 재미난 사례로 







201705_한경.jpg


앞으로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지 


흥미롭다고 생각해. (2017.05)







혐한발언.JPG


마지막으로 홍하이 그룹의 궈타이밍 회장이


삼성과 우리나라를 많이 의식하고 있는데 







한국의식.jpg


너무 과한 의욕은 기업 경영에 안 좋다고 생각해서


자제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6)







4. 홍하이 그룹의 사업 확장 요약


1) 주 고객사인 애플이 약간 주춤하자 홍하이 그룹이 신사업 육성에 들어감. 


2) 대만 통신사업에 진출했고 저가 스마트폰을 자체 생산하고 있음. 


3) 일본 전자업체 샤프를 인수해서 자체생산 역량을 많이 키웠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대만 기업 폭스콘은 전자제품 위탁생산 글로벌 1위 기업임. 


2. 직원 수 130만 명의 대기업으로 중국에 공장이 많이 있음. 


3. 티끌 모아 태산을 이룩한 기업으로 자체 생산에 나서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