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P2P 금융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P2P 대출 소개


2. P2P 금융 시장


3. 최근 동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P2P 대출 소개


소개_20150911_조선.jpg

P2P 대출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개인 간에


자금을 투자하고 대출받는 서비스로 (2015)







업체_20150708_세계.jpg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은 개인 간의 


금융거래라고 해. (2015)







은행_20160411_중앙.jpg


기존 금융거래는 투자 손실의 책임이 


금융기관(은행)에게 있는데 비해 (2016)








업체_20160411_중앙2.jpg


P2P 대출은 대출업체가 홍보 역할만하기 때문에


투자 손실의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에게 있어. (2016)







차이점_20160602_국제.jpg

P2P 업체는 자금 중개에 따른 부담을 지지 않고 


수수료 수익을 얻어서 좋고 (2016)





수익률_20160806_서울경제.jpg

(하이 리턴 하이 리스크 투자임.)


P2P 대출 투자자는 높은 수익성 때문에 


P2P 금융 투자를 선호하는 편이야. (2016) 


 




소상공인_20150623_조선.jpg


그리고 P2P 대출을 통해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은행 대출이 어려운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들로 (2016)

  






L20171028_영남.jpg


은행보다 이자 부담이 크지만, 자금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어서


P2P 대출을 받는다고 해. (2017)







1. P2P 대출 소개 요약


1) P2P 대출은 인터넷을 통한 개인 간의 직접적인 금융거래를 의미함. 


2) 손실 위험이 크지만 수익률이 높아서 투자하는 사람이 꽤 있음. 


3) 은행 대출이 어려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P2P 대출을 받고 있음. 







2. P2P 금융시장


세계_120150426.jpg


P2P 금융시장은 미국, 영국, 중국 등에서 


일찌감치 발전했고 (2015)







과거_201701_매경.jpg

우리나라는 2015년도에 P2P 금융이 시작되었어. (2017)








액수_171107_이데일리.jpg

(비 회원사를 포함하면 2조 원 규모로 추정)


P2P 금융의 시작이 조금 늦었지만 


빠르게 성장해서 1.5조 원 규모로 성장했고 (2017.11)








업체수_20170829_중앙.jpg


P2P 대출업체의 수가 150개로 


크게 증가했다고 해. (2017.08)







201610_한국일보.jpg

P2P 금융에 투자하는 투자자 수는 10만 명이 넘어갔고


위험부담 때문에 소액투자를 주로 하며 (2016.10)








연령_20160301_세계.jpg


30, 40대 직장인들이 많이 투자하는 편이야. (2016.03)


 





순위_201705_매경.jpg


그리고 P2P 대출업체는 테라펀딩, 루프펀딩 등이 있는데


규모가 매우 작은 편이고 (2017.05)







구조_20171110_국민.jpg


주로 하는 대출 중개는 부동산 담보 대출과


건축자금 대출을 많이 한다고 해. (2017.11)







2. P2P 금융시장


1) 우리나라의 P2P 금융은 1조 5천억 원 규모에 160여 개 업체가 있음.  


2) 30, 40대 직장인들이 300만 원 이하의 소액투자를 많이 하고 있음. 


3) P2P 대출은 부동산 담보 대출과 건축자금 대출이 많은 편임. 







3. 최근 동향


연체_20171110_비즈워치.jpg 


P2P 금융은 자금 중개가 자유로운 대신 


연체율 문제가 조금 심한 편인데 (2017.11)







연체_20171114_뉴스1.jpg


P2P 금융의 평균 연체율이 최근 갑자기 많이 증가해서 


조금 의아한 상태야. (2017.11)







부동산_20170828_조선.jpg


연체율 급증의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부동산 대출이 P2P 금융의 주력 사업이라 (2017.08)

 






부동산_20170929_머니투데이.jpg

(홈쇼핑 업체의 대금 상환이 늦어서 그렇다는 말도 있음.)


부동산 쪽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건가 의심스러워. ㅎㅎ (2017.09)







수수료.jpg


연체율이 급증한다고 해서 


P2P 대출업체가 망하는 것은 전혀 아니지만 







연체율_201711_매경.jpg

연체율 증가만큼 투자자 손실이 우려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것 같아. (2017.11)







하이리턴하이리스크_201705_매경.jpg


P2P 금융 투자자들은 높은 수익률만 보지 말고 (2017.05)






주의_20171106_브릿지경제.jpg


원금 손실의 위험성을 고려해서 


꼼꼼하게 투자했으면 좋겠으며 (2017.11)








규제_20170227_중앙.jpg


P2P 금융을 관리할 안전장치가 


조금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7.02)







종류_20160131_뉴스1.jpg

마지막으로 부동산 대출 말고 개인 신용대출, 


중소상공인 대출이 많아졌으면 좋겠으며 (2016)







폭탄_20171027_비즈한국.jpg


P2P 금융 시장에 특별한 문제가 


안 생겼으면 좋겠고 (2017.10)







미발달_20170121_중소기업뉴스.jpg

(대출 이자가 비싼 건 함정)


P2P 금융이 발달해서 개인 신용대출, 소상공인 대출을 


원활하게 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7.10) 







3. 최근 동향 요약


1) P2P 금융은 자금 중개가 자유로운 대신 연체율 문제가 있음. 


2) 최근 연체율이 갑자기 급증해서 무슨 일인가 흥미로움. 


3) 부동산 규제로 인한 부동산 투자 위축이 원인인가 싶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P2P 대출은 인터넷을 통한 개인 간의 직접적인 금융거래를 의미함. 


2. 수익성이 높아서 30, 40대 직장인들이 소액투자로 많이 하고 있음. 


3. 최근 2달 사이에 연체율이 급상승해서 무슨 일인지 흥미로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