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류.jpg


안녕~ 오늘은 담배 시장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담배 시장 소개-1


2. 담배 시장 소개-2


3. 담뱃세 인상 


4. 궐련형 전자담배-1


5. 궐련형 전자담배-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담배 시장 소개-1


흡연율_20140917_세계.jpg

우리나라는 OECD 흡연율 14위 국가로 


흡연률이 약간 높은 편이며 (2014)







판매량_20170612_동아.jpg


매년 35억 갑의 담배가 팔려서 


시장 규모가 굉장히 큰 편이야. (2017)







세금_20140921_세계.jpg

담배에는 소비세, 지방세, 건강부담금 등의


각종 세금이 부과되어서 (2014)







세금_20160218_한겨레.JPG

(담배의 2016년도 수출원가는 391원)


담배 가격에서 세금과 부담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나게 크고 (2016)







담배_20171025_연합.jpg


담배로만 12조 원의 세금을 거둬들여서 


세금 수입이 어마어마하다고 해. (2017)







담뱃세201510_한국납세자연맹.jpg


담뱃세는 1,580만 근로자가 내는 


근로소득세와 맞먹어서 (2015)






3억갑_20170621_뉴스1.jpg

(매달 3억 갑씩 판매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 담배가 


진짜로 많이 팔리는 것 같아. ㄷㄷ (2017.03)








1. 담배 시장 소개-1 요약


1) 우리나라의 OECD 흡연율은 14위로 평균보다 약간 높음. 


2) 매달 3억 갑씩 팔려서 한해 36억 갑의 담배가 소비된다고 함. 


3) 담뱃세의 규모는 12조 원으로 근로소득세와 규모가 비슷함. 







2. 담배 시장 소개-2


성인_20160510_서울경제.jpg

우리나라의 담배 소비는 여성보다 


남자가 훨씬 많이 소비하고 (2016)







청소년_20151117_동아.jpg


청소년 흡연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은근히 많이 나오고 있어. (2015)







니코틴중독_201704_의협.jpg

또 담배는 니코틴의 강력한 중독성 때문에 (2017)








2017_JTBC.jpg


금연 캠페인을 많이 하고 담뱃값을 인상해도


판매량 감소가 더딘 편이야. (2017. 상반기)







점유율_20150114_머니투데이.jpg


우리나라의 담배시장 점유율은 


KT&G와 필립모리스가 높고 (2015)







국산_20150706_한겨레.JPG


외산 담배가 많이 팔려서 국산 담배의 비중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고 해. (2015. 수량 기준)






매출_201706_한경.jpg

국내 담배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KT&G의 매출은 


4조 5천억 원으로 꽤 많아서 (2017)







세계순위.jpg


우리나라의 KT&G가 담배회사 세계 순위에


들어가고 있어. ㅎㅎ (2016년도 기준)







수출_20170120_서울경제.jpg

(8억 달러 = 8,796억 원)


KT&G는 수출도 꽤 많이 하는 기업으로


수출액이 1조 원 가까이 나와서 (2017)







 수출입_20170123_머니투데이.jpg


우리나라가 담배 수입보다


수출을 더 많이 하는 나라라고 해. (2017)







2. 담배 시장 소개-2 요약


1)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5%, 남성의 흡연율은 40% 정도라고 함.  


2) 수입 담배의 판매 증가로 국산 담배의 점유율이 조금씩 감소 중임. 


3) 담배 수입보다 담배 수출이 훨씬 많아서 약간 의외였음. 







3. 담뱃세 인상  


담뱃세_20170730_조세일보.jpg

우리나라의 담뱃값은 2015년도에 


2천 원 인상되어서 (2017)






가격_20170531_kbs.jpg

5천 원 수준으로 꽤 많이 올라갔어. (2017)







20141128_세계.jpg


담뱃값 인상의 이유는 우리나라 담뱃값이 많이 싸서


남성흡연율이 높다는 이유 때문으로 (2014)







20170126_조선.jpg


우리나라의 담뱃값이


일본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어. (2017.01)







세수_20150105_머니투데이1.jpg


그리고 2015년도 담뱃값 인상은 세수 최적화를 


고려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교묘하게 해서 (2015)







2017_JTBC.jpg


담배 소비 감소가 생각보다 훨씬 적은 편이야. (2017) 







유해성분_20170412_동아.jpg


담배의 유해성을 생각하면 


조금 더 규제하는 쪽이 좋은데 (2017)







세계_20150115_한겨레.JPG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 건강보다 세수 쪽을 더 생각하는 편이라


흡연률 감소가 낮은 것 같아. ㅎㅎ (2015)







3. 담뱃세 인상 요약


1) 담뱃값이 인상되어서 우리나라 담뱃값이 일본과 비슷해졌다고 함. 


2) 세수 최적화를 고려한 인상이라 그런지 판매 감소가 적었음.  


3)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건강보다 세수 쪽을 더 신경 쓰는 것 같음. 







4. 궐련형 전자담배-1


비타민_20160930_동아.jpg


담배 산업이 발달해서 전자담배, 


비타민 담배 등이 출시 중인데 (2016)







아이코스.JPG


올해는 궐련형 전자담배로 담배시장이 


떠들썩했다고 해. (2017) 







태우지않고찌는담배.jpg


궐련형 전자담배는 담뱃잎을 태우지 않고 


쪄서 피우는 담배로 







전자담배_201707_매경.jpg


일반담배와 맛이 비슷하면서 


담배 냄새가 나지 않는 새로운 물건이야. (2017)







아이코스1.jpg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본에서 2년 전에 출시되어


점유율 9%를 달성한 핫 아이템으로 (2017)







전자담배_20170206_서울경제.jpg

전자담배 시장을 이끌 물건으로 


기대를 받고 있어. (2017)







전자담배_20170901_조선.jpg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이 약간 적고 (2017.09)







클린_20170825_세계.jpg


간접흡연 피해가 굉장히 적어서 (2017)







간접흡연_20130709_동아.jpg


간접흡연 피해를 고려했을 시 


굉장히 좋은 물건이라고 생각해. (2013)







4. 궐련형 전자담배-1 요약


1) 궐련형 전자담배는 담뱃잎을 태우지 않고 쪄서 피우는 담배임. 


2)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과 간접흡연 피해가 약간 적음. 


3) 일본에서 점유율 9%를 달성한 핫 아이템이라고 함. 







5. 궐련형 전자담배-2


올해10월까지7190만갑반출_2017111_연합.jpg

궐련형 전자담배의 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벌써 7190만 갑이 팔렸다고 해. (2017.11)







20171121_아시아투데이.jpg

이렇게 필립모리스의 아이코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자


경쟁업체들도 부랴부랴 제품을 만든 상태로 (2017.11)







3종_20171107_연합.jpg


궐련형 전자담배의 종류가 다양해졌어. (2017)







간접흡연_20171028_글로벌이코노믹.JPG

궐련형 전자담배는 간접흡연 문제가 


상당히 적은 편이라 (2017)







전자담배.jpg


흡연자들이 일반담배 말고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우면 참 좋을 것 같아. 

  






90%_20171021_조선.jpg


근데 우리나라 정부에서 궐련형 전자담배의 세율을 


많이 인상하기로 결정해서 (2017.10)






6천원_20170823_비즈워치.jpg

궐련형 전자담배의 가격이 6천 원 수준으로


많이 비싸질 것이라고 해. (2017)







article.jpg


궐련형 전자담배의 세금이 낮아서 


세수감소가 우려된다고 하지만 (2017)







20171001_파이넨셜.jpg


올해 출시한 제품의 세금을 바로 인상하는 것은


너무 심한 것 같아. ㅋㅋ (2017)







htm_20140703_중앙.jpg


일반담배 대신 전자담배를 피우도록 전환하는 것이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하는데 (2014)







추가인상.JPG

(개별소비세는 이미 인상했고, 담배소비세, 건강부담금 등을 차례로 인상함.)


그나마 덜 해로운 전자담배를 더 규제하고 있어서 


조금 아쉽다고 생각해. ㅎㅎ (2017)







5. 궐련형 전자담배-2 요약


1) 궐련형 전자담배는 올해 6월 출시 이후 7천만 갑이 팔렸음. 


2) 아이코스를 따라 한 궐련형 전자담배도 출시 중임. 


3) 궐련형 전자담배가 출시된 지 얼마 안 되는데, 세금이 인상되어서 아쉬움.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흡연율은 OECD 14위로 한해 35억 갑의 담배가 팔림. 


2. 담뱃세는 1,580만 근로자가 내는 근로소득세와 맞먹음. 


3. 간접흡연 문제가 적은 궐련형 전자담배의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