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오늘은 담배 시장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담배 시장 소개-1
2. 담배 시장 소개-2
3. 담뱃세 인상
4. 궐련형 전자담배-1
5. 궐련형 전자담배-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담배 시장 소개-1
우리나라는 OECD 흡연율 14위 국가로
흡연률이 약간 높은 편이며 (2014)
매년 35억 갑의 담배가 팔려서
시장 규모가 굉장히 큰 편이야. (2017)
담배에는 소비세, 지방세, 건강부담금 등의
각종 세금이 부과되어서 (2014)
(담배의 2016년도 수출원가는 391원)
담배 가격에서 세금과 부담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나게 크고 (2016)
담배로만 12조 원의 세금을 거둬들여서
세금 수입이 어마어마하다고 해. (2017)
담뱃세는 1,580만 근로자가 내는
근로소득세와 맞먹어서 (2015)
(매달 3억 갑씩 판매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 담배가
진짜로 많이 팔리는 것 같아. ㄷㄷ (2017.03)
1. 담배 시장 소개-1 요약
1) 우리나라의 OECD 흡연율은 14위로 평균보다 약간 높음.
2) 매달 3억 갑씩 팔려서 한해 36억 갑의 담배가 소비된다고 함.
3) 담뱃세의 규모는 12조 원으로 근로소득세와 규모가 비슷함.
2. 담배 시장 소개-2
우리나라의 담배 소비는 여성보다
남자가 훨씬 많이 소비하고 (2016)
청소년 흡연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은근히 많이 나오고 있어. (2015)
또 담배는 니코틴의 강력한 중독성 때문에 (2017)
금연 캠페인을 많이 하고 담뱃값을 인상해도
판매량 감소가 더딘 편이야. (2017. 상반기)
우리나라의 담배시장 점유율은
KT&G와 필립모리스가 높고 (2015)
외산 담배가 많이 팔려서 국산 담배의 비중이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고 해. (2015. 수량 기준)
국내 담배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KT&G의 매출은
4조 5천억 원으로 꽤 많아서 (2017)
우리나라의 KT&G가 담배회사 세계 순위에
들어가고 있어. ㅎㅎ (2016년도 기준)
(8억 달러 = 8,796억 원)
KT&G는 수출도 꽤 많이 하는 기업으로
수출액이 1조 원 가까이 나와서 (2017)
우리나라가 담배 수입보다
수출을 더 많이 하는 나라라고 해. (2017)
2. 담배 시장 소개-2 요약
1)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5%, 남성의 흡연율은 40% 정도라고 함.
2) 수입 담배의 판매 증가로 국산 담배의 점유율이 조금씩 감소 중임.
3) 담배 수입보다 담배 수출이 훨씬 많아서 약간 의외였음.
3. 담뱃세 인상
우리나라의 담뱃값은 2015년도에
2천 원 인상되어서 (2017)
5천 원 수준으로 꽤 많이 올라갔어. (2017)
담뱃값 인상의 이유는 우리나라 담뱃값이 많이 싸서
남성흡연율이 높다는 이유 때문으로 (2014)
우리나라의 담뱃값이
일본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어. (2017.01)
그리고 2015년도 담뱃값 인상은 세수 최적화를
고려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교묘하게 해서 (2015)
담배 소비 감소가 생각보다 훨씬 적은 편이야. (2017)
담배의 유해성을 생각하면
조금 더 규제하는 쪽이 좋은데 (2017)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 건강보다 세수 쪽을 더 생각하는 편이라
흡연률 감소가 낮은 것 같아. ㅎㅎ (2015)
3. 담뱃세 인상 요약
1) 담뱃값이 인상되어서 우리나라 담뱃값이 일본과 비슷해졌다고 함.
2) 세수 최적화를 고려한 인상이라 그런지 판매 감소가 적었음.
3)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건강보다 세수 쪽을 더 신경 쓰는 것 같음.
4. 궐련형 전자담배-1
담배 산업이 발달해서 전자담배,
비타민 담배 등이 출시 중인데 (2016)
올해는 궐련형 전자담배로 담배시장이
떠들썩했다고 해. (2017)
궐련형 전자담배는 담뱃잎을 태우지 않고
쪄서 피우는 담배로
일반담배와 맛이 비슷하면서
담배 냄새가 나지 않는 새로운 물건이야. (2017)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본에서 2년 전에 출시되어
점유율 9%를 달성한 핫 아이템으로 (2017)
전자담배 시장을 이끌 물건으로
기대를 받고 있어. (2017)
궐련형 전자담배는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이 약간 적고 (2017.09)
간접흡연 피해가 굉장히 적어서 (2017)
간접흡연 피해를 고려했을 시
굉장히 좋은 물건이라고 생각해. (2013)
4. 궐련형 전자담배-1 요약
1) 궐련형 전자담배는 담뱃잎을 태우지 않고 쪄서 피우는 담배임.
2) 일반담배보다 유해물질과 간접흡연 피해가 약간 적음.
3) 일본에서 점유율 9%를 달성한 핫 아이템이라고 함.
5. 궐련형 전자담배-2
궐련형 전자담배의 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벌써 7190만 갑이 팔렸다고 해. (2017.11)
이렇게 필립모리스의 아이코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자
경쟁업체들도 부랴부랴 제품을 만든 상태로 (2017.11)
궐련형 전자담배의 종류가 다양해졌어. (2017)
궐련형 전자담배는 간접흡연 문제가
상당히 적은 편이라 (2017)
흡연자들이 일반담배 말고 궐련형 전자담배를
피우면 참 좋을 것 같아.
근데 우리나라 정부에서 궐련형 전자담배의 세율을
많이 인상하기로 결정해서 (2017.10)
궐련형 전자담배의 가격이 6천 원 수준으로
많이 비싸질 것이라고 해. (2017)
궐련형 전자담배의 세금이 낮아서
세수감소가 우려된다고 하지만 (2017)
올해 출시한 제품의 세금을 바로 인상하는 것은
너무 심한 것 같아. ㅋㅋ (2017)
일반담배 대신 전자담배를 피우도록 전환하는 것이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하는데 (2014)

(개별소비세는 이미 인상했고, 담배소비세, 건강부담금 등을 차례로 인상함.)
그나마 덜 해로운 전자담배를 더 규제하고 있어서
조금 아쉽다고 생각해. ㅎㅎ (2017)
5. 궐련형 전자담배-2 요약
1) 궐련형 전자담배는 올해 6월 출시 이후 7천만 갑이 팔렸음.
2) 아이코스를 따라 한 궐련형 전자담배도 출시 중임.
3) 궐련형 전자담배가 출시된 지 얼마 안 되는데, 세금이 인상되어서 아쉬움.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144800013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흡연율은 OECD 14위로 한해 35억 갑의 담배가 팔림.
2. 담뱃세는 1,580만 근로자가 내는 근로소득세와 맞먹음.
3. 간접흡연 문제가 적은 궐련형 전자담배의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