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해리어 공격기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해리어 소개


2. 해리어 특징


3. 해리어 사용


4. 해리어 무장-1


5. 해리어 무장-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해리어 소개


수직이륙.jpg


해리어는 영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고정익 수직이착륙 항공기로 







해리어초기형.JPG


1969년도에 제식화되어서


역사가 무척 오래된 공격기야. 







원형.jpg


초기형 해리어 공격기는 대부분 퇴역했고







1.jpg

(AV-8 해리어 Ⅱ의 실전배치는 1985년)


지금은 해리어 Ⅱ 공격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 







편리함.jpg


해리어 공격기는 수직이착륙 능력 덕분에


운용하기 상당히 편리해서







미해병대154대_스페인 해군_13대_이탈리아 해군15대.jpg

(미 해병대 154대, 스페인 해군 13대, 이탈리아 해군 15대)


미 해병대, 스페인 해군, 이탈리아 해군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어. 







미해병대.jpg


해리어 공격기는 미 해병대가 


매우 좋아하는 항공기로 







영국제해리어.JPG


영국 해군의 해리어 공격기가 퇴역하자마자


미 해병대가 바로 구매할 정도로 선호한다고 해. ㅋㅋ (2011)







F-35.jpg


해리어 공격기는 F-35B의 등장으로 


퇴역할 운명이지만 







pgL_FL-10014_014_f35_b_4.jpg


F-35B 전투기가 너무 비싸서 


해리어 공격기를 조금 더 사용할 예정이야. 







2025년.jpg


해리어 공격기는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퇴역할 예정으로 (계획)







미해병대3.jpg


그때까지 미 해병대의 주력 항공기로


쓰일 것이라고 해. ㅎㅎ







1. 해리어 소개 요약


1) 해리어는 영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수직이착륙 공격기임.


2) 1969년도에 등장했고 파생형이 많이 나왔다고 함. 


3) 미 해병대가 좋아하는 항공기로 2025년까지 사용할 예정임.







2. 해리어 특징


2.jpg 

해리어 공격기의 가장 큰 특징은 


수직이착륙 능력으로





내부모습.jpg 


수직이착륙 능력을 위해 많은 것을 


포기했다고 알려졌어.  







페가수스엔진.jpg

해리어 공격기는 특별하게 설계된


롤스로이스 페가수스 엔진을 장착했고 







추력방출_노즐_기술실증기.jpg

(짤은 기술실증기)


노즐의 방향 전환이 가능해서


추력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해.  







공기흡입구.jpg


또 수직이착륙 능력을 위해 


공기흡입구를 매우 크게 만들어서 







독특함.jpg


약간 통통하고 독특하게 생긴 항공기야. 







마하 0.89 (1,085 km).jpg


해리어 공격기의 단점으로는 


마하 0.89의 아음속기라 속도가 조금 느리고







항속거리2,200 km_전투반경556km.jpg


전투행동반경이 일반적인 전투기에 비해


굉장히 짧다고 해. ㅋㅋ







Viff_1.JPG


대신 수직이착륙 능력으로 추진력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어서 







Viff-2.JPG 


도그파이팅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다고 알려졌어. 







2. 해리어 특징 요약


1) 방향전환 노즐을 장착해서 수직이착륙이 가능함.  


2) 아음속기라 속력이 느리고 전투행동반경이 굉장히 짦음. 


3) 도그파이팅 능력이 뛰어나지만, 큰 의미는 아니라고 생각함. 







3. 해리어 사용


연료낭비.jpg


해리어 공격기는 수직이륙이 가능하지만


연료 소모가 극심해서 잘 안 하고







단거리이륙.jpg


단거리 이륙을 많이 한다고 해. 







와스프급강습상륙함.jpg


해리어 공격기는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에


주로 탑재되며 






강습상륙함.JPG

6대에서 20대씩 배치된다고 


알려졌어. 







미해병강습단.jpg


해리어 공격기는 강습상륙단의 


핵심 전력으로 사용되며 







대지공격 및 근접지원_제한적인 공대공 임무.jpg


주된 임무는 대지공격 및 근접지원이고


제한적인 공대공 임무도 할 수 있는 편이야.  







미해병대4.jpg


해리어 공격기는 미 해병대가 


비교적 쉽게 부를 수 있는 항공전력으로 







공대지임무.jpg


미 해병대의 든든한 친구라고 해. ㅎㅎ







3. 해리어 사용 요약


1) 수직이륙은 연료소모 때문에 잘 안 하고 단거리 이륙을 많이 함. 


2) 와스프급 강습상륙함에 6~20대씩 탑재해서 운용하고 있음. 


3) 대지공격 및 근접지원이 주 임무이고 공대공 임무를 약간 할 수 있음. 







4. 해리어 무장-1


내부모습.jpg


해리어 공격기는 페가수스 엔진 때문에


내부가 많이 협소해서 







25mm건포드.jpg

(25mm 이퀄라이저 개틀링 기관포 건포드)


기체 내부에 기총이 없고 외부에 


장착해서 쓰는 편이야. 







스나이퍼 타겟팅 포드.jpg


건포드를 빼고 스나이퍼 타겟팅 포드를 장착하면


폭격 정확도가 많이 올라가서







 많이사용.jpg


기총없이 운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고 해. 







공대지_공대공.jpg

(공대공 미사일 최대 6기 장착 가능)


또 해리어 공격기에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으나


 





사거리.jpg


싸구려 레이더를 장착해서 


공대공 임무는 거의 안 하는 편이야. 







폭탄과로켓포.jpg


해리어 공격기의 주 임무는 


대지공격 및 근접지원으로 







무장3.jpg

(중무장을 할 수가 없게 만들었음.)


가벼운 폭탄과 매버릭 미사일,


로켓포를 주로 운용하고 있어. 






매버릭미사일.jpg

매버릭 미사일은 대전차 화력으로 


주로 사용하고 







로켓포.jpg


70mm 로켓포는 범위공격용으로 


많이 쓴다고 해.  







로켓포2.jpg


그리고 해리어 공격기가 주로 상대하는 적이 


게릴라 위주의 경보병 부대라


  





Harrier-Mission-Marks-ZD433-45A-photo-1.jpg


로켓포를 사용하는 경우가 꽤 많은 편이야. ㅎㅎ 







4. 해리어 무장-1 요약


1) 해리어는 내부 공간이 협소해서 기총을 외부에 장착해서 사용함. 


2) 매버릭 미사일, 500파운드 폭탄, 로켓포를 주로 운용하고 있음. 


3) 공대공 미사일은 자위용으로 2발 정도 장착해서 쓰고 있음.  







5. 해리어 무장-2


무장2.jpg


해리어 공격기의 무장 탑재 능력이 


조금 빈약한 편인데 







항속거리2,200 km_전투반경556km.jpg


수직이착륙에 따른 짧은 작전반경 탓에







연료통필수.jpg


연료통을 장착하고 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해. 







무장.jpg


그래서 해리어 공격기의 전투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Intrepid-Tiger-II.jpg


조금 아쉬운 공격기라고 봐. ㅎㅎ







VMA-223-photo-051.jpg


마지막으로 해리어 공격기가 


꽤 멋있는 항공기라고 생각하고 







1인승.jpg


2025년 이후에도 퇴역하지 않았으면 좋겠으며 







7e77abe05b3145ac6859a1f11574fbd0.jpg


이런 걸 개발한 영국이 대단하다고 생각해. ㅎㅎ







 5. 해리어 무장-2 요약


1) 해리어 공격기는 무기를 많이 장착하지 못하는 항공기임. 


2) 전투행동반경이 매우 짧아서 연료통 장착을 자주 하는 편임. 


3) A-10 선더볼트에 비하면 전투력이 부족한 공격기라고 생각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25995






3줄 요약


1. 해리어는 영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고정익 수직이착륙 항공기임. 


2. 미 해병대가 매우 선호하는 공격기로 2025년까지 쓴다고 함.


3. 수직이착륙의 장점과 경무장, 짧은 전투행동반경의 단점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