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수출 동향으로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의 수출


2. 최근 수출 동향-1


3. 최근 수출 동향-2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의 수출


수출순위_20170219_서울신문.jpg


우리나라는 세계 상위권의 수출대국으로 (2016년 기준)






무역파트너.jpg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등과 


무역을 많이 하고 있어. (2017)







수출품목.jpg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품은 반도체, 자동차,


선박, 석유제품 등으로 (2016)






가공단계_산업통상자원부.jpg

중간재와 자본재 수출을 많이 한다고 해. (2017) 






세계_20161116_한겨레.JPG

세계경제 침체와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2015~2016년도 세계 무역이 부진해서 (2016)







연도별_201702_중앙.jpg


우리나라의 2015~2016년도 수출이 


상당히 안 좋았으나 (2017)







블룸버그.jpg

2017년도 들어서 세계 경제와 


세계 무역이 많이 좋아져서 (2017)







수출_20171101_뉴시스.jpg


우리나라의 수출이 많이 증가한 상태야. (2017. 전년대비)







동북아_20170928_파이넨셜.jpg

수출 증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많은 나라들에서 발생 중이지만 (2017)







수출순위_20170919_이투데이.jpg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이 수출대국들 중에서


가장 좋다고 해. ㅎㅎ (2017.09)







1. 우리나라의 수출 요약


1) 우리나라는 수출대국 중 하나로 중국, 미국, 베트남 등과 무역을 많이 함. 


2) 주요 수출품은 반도체, 자동차, 선박, 석유제품 등으로 중간재 수출을 많이 함. 


3) 세계경제 회복세 덕분에 우리나라의 수출이 많이 증가했음. 







2. 최근 수출 동향-1


상반기_20170713.jpg


13대 품목 상반기 수출증가율은 


반도체, 석유제품, 선박, 철강이 두드러진 상태로 (2017) 







품목별_20170801_연합.jpg


반도체와 선박 수출이 크게 증가한 상태야. (2017. 7월 기준)







조선업.JPG


조선업 수출 증가는 작년에 너무 망해서 


올해 증가율이 두드러진 탓이 크고 (2016)







반도체_20171103_뉴시스.jpg


우리나라 올해 수출을 견인한 핵심 품목은


반도체라고 해. (2017. 9월 기준)







반도체_20170919_머니투데이.jpg


우리나라의 반도체 수출은 


반도체 가격 증가와 (2017.09)







반도체_20170730_연합.jpg


반도체 수요 증가 때문에 


어마어마하게 많이 증가했어. (2017.07)







삼성_20171031_아시아경제.jpg


반도체 수출 증가 덕분에 삼성전자의 배당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이고 (2017.10)







반도체_20171027_디지털타임즈.jpg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증가한 상태야. ㅎㅎ (2017. 1~9월 기준)







반도체제외_201708_한경.jpg 

한가지 아쉬운 점은 선박과 반도체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의 수출 증가율이 낮다고 해서 (2017. 7월 기준)







반도체_20171102_문화.jpg

(중국의 반도체 굴기 때문에 공급과잉 가능성이 생기고 있음.) 


반도체 말고도 우리나라 수출을 이끌 품목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 (2017) 







2. 최근 수출 동향-1 요약


1) 수출증가율이 높은 품목은 선박,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제품들임.


2) 반도체 가격과 수요 증가에 따른 반도체 수출이 눈부셨음. 


3)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수출 증가율이 낮게 나오는 점은 아쉬움. 







3. 최근 수출 동향-2


20171103_이코노믹리뷰.jpg


올해 우리나라 수출에서 자동차 수출이


약간 부진한 게 아쉬운 편으로 (2017. 1~8월 기준)







자동차_20171103_문화.jpg


자동차 수출을 더 많이 했으면 좋겠어. (2017.11)







취업유발_20170303_서울경제.jpg


반도체는 자본집약적 산업이라


취업유발인원이 너무 낮아서 (2017)







민간_201710_매경2.jpg


우리나라 고용 증가에 아주 큰 도움은 


안 된다고 생각해. (2017.10)







산업동향_201710_중앙3.jpg


그리고 석유화학과 철강 수출이 좋아진 것도


긍정적인 일로 (2017.10)







석유_201710_매경.jpg


석유화학 산업이 국제유가 상승으로


잘 되었으면 좋겠고 (2017.10)







20170817_조선.jpg


철강산업도 좋아졌으면 좋겠어. (2017.08)






현대경제연구원2.JPG

이들 품목의 수출 증가에는 물량 요인보다 


가격 요인이 크다고 하지만 (2017. 1~4월 기준)







20171030_동아.jpg


뭐 어쨌든 기업 실적 증가에 


큰 도움이 되는 편이야. ㅎㅎ (2017.10)







3. 최근 수출 동향-2 요약


1)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 증가율이 조금 낮아서 아쉬움. 


2) 석유제품과 철강 수출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증가했다고 함. 


3) 수출이 많이 증가했지만, 민간소비 증가율이 낮은 편임. 







4. 내 생각 


지역별_201705_중앙.jpg

(1~8월 대미 수출 증가율 2.5%)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증가율이 


매우 낮은 편으로 (2017. 4월 기준)







보호무역_20171009_아시아투데이.jpg


미국의 보호무역 압박 조치 때문에 


부진한 상황이라 (2017.10)







 보호무역_20170119_동아.jpg


대미 관계개선에 노력했으면 참 좋겠어. (2017.10)







수출주_20170911_동아.jpg


그리고 수출경기와 내수경기가 따로 노는 게 


안타까운 상황으로 (2017.09)







민간_201710_매경2.jpg


내수경제가 빨리 좋아졌으면 


하는 바램이야. (2017.10)







일본_20171030_서울경제.jpg

마지막으로 일본의 엔저 공세에도


우리나라의 수출이 잘 되어서 기쁘고 (2017.10)







20171025_서울경제.jpg


철강, 화학제품의 수출 경쟁력을 잘 유지해서


중국에게 추월당하지 않았으면 좋겠으며 (2017.10)







경쟁력_20170212_뉴스1.jpg


좋은 제품을 많이 만들어서 수출 1위 품목이 


많이 증가했으면 좋겠어. ㅎㅎ (2017)







4. 내 생각 요약


1) 대미 수출 증가율이 부진하다고 해서 아쉬운 편임. 


2) 수출경기와 내수경기가 크게 다르다고 해서 안타까움. 


3) 수출 경쟁력을 잘 유지하고 더 많이 수출했으면 좋겠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10086628607







3줄 요약


1. 세계 경제 회복세 덕분에 우리나라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음. 


2. 반도체, 선박, 철강, 석유화학 수출 증가율이 두드러졌음. 


3.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수출이 부진했다는 말이 있어서 더 잘 되었으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