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jpg


안녕~ 오늘은 비트코인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비트코인 소개


2.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1


3.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2


4. 블록체인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비트코인 소개


비트코인소개.jpg


비트코인이란 2009년도에 개발된


디지털 가상화폐로 (2013)






20170922_비즈워치.jpg

법적 보장을 받지 못하고


수요-공급에 따라 가치를 보장받는 물건이야. (2017)







비트코인가치_한화생명블로그.jpg

(사진 출처 : 한화생명 블로그)


디지털 정보 쪼가리에 무슨 가치가 있나 싶지만


높은 익명성, 자유성의 장점이 있고 







외환거래_20170110_머니투데이.jpg


외환 거래가 상당히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해. (2017)







경찰청공식블로그.jpg

(사진 출처 : 경찰청 공식 블로그)


비트코인은 주로 '암시장의 달러'로 


통용되었는데 






중국_20170924_비즈워치.jpg

2017년도 들어서 비트코인 가격이 


어마어마하게 상승한 상태야. (2017.09)







급상승_20170502_세계.jpg

1 비트코인에 천 달러를 넘은 것만으로도


엄청난 버블이라고 생각했었는데 (2017.05)






6천돌파.JPG

(6천 달러 = 679만 원)


최근에 1 비트코인 당 6천 달러를 


돌파한 상태로 (2017.10.21)







경악_20171016_세계.jpg

비트코인 가격 상승세가 경악스러운 


수준이라고 해. ㄷㄷ (2017.10)







소개_20170519_서울경제.jpg


그리고 비트코인은 세계 최초의 가상화폐답게 (2017)






거래량_201706_한국일보.jpg


가상화폐 중에 거래량이 가장 많고 (2017.06)







시가총액_20170905_아시아경제.jpg


가상화폐 중에 시가총액이 


가장 높게 나오고 있어. (2017.09)







1. 비트코인 소개 요약


1) 비트코인은 디지털 가상화폐로 법적인 보장을 받지 못함.  


2) 높은 익명성과 자유성 덕분에 외환거래와 범죄용도로 많이 쓰임. 


3) 올해 비트코인 시세가 급상승해서 1 비트코인에 6천 달러를 넘어갔음. 







2.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1


중국_20170924_비즈워치.jpg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단 중국 이야기부터 할 생각이야. (2017)





중국자본유출.jpg

중국은 2015~2016년도에 


극심한 자본유출을 겪으면서 (2016)







20170207_이투데이.jpg

(1조 달러 = 1,132조 원)


외환보유고가 천조 원 정도 감소하게 되자 (2017.02)







중국자본통제_20170102_아주경제.jpg

무지막지한 자본통제를 단행하게 되었어. (2017)







비트코인가치.jpg


중국 정부의 자본통제 때문에 외환거래가 매우 불편해지자 


비트코인이 외환거래 수단으로 떠오르게 되었고 







비트코인_통화별거래량.jpg

비트코인 통화별 거래량의 90% 이상을


중국 위안화가 차지하게 되었다고 해. ㅋㅋ







급상승_20170502_세계.jpg


이런 중국발 수요가 2017년도 초반


비트코인 가격 상승을 이끌었지만 (2017.5)







중국_171017_뉴스핌.jpg

비트코인이 외환유출 창구임을 인식한 중국 정부가 


무지막지한 규제를 해서 중국발 수요가 급감하게 되었어. (2017.10)






중국_170915_뉴스핌.jpg

여기에 중국 정부가 중국 내 비트코인 거래소를 


완전히 죽여 버려서 (2017.10)







통화_20171010_조선.jpg


중국의 비트코인 수요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 (2017.10)







2.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1 요약


1) 비트코인의 가격 급상승에는 중국의 수요가 상당히 컸었음. 


2) 중국 정부의 자본통제 때문에 외환거래 수단으로 애용되었음. 


3) 중국 정부의 비트코인 탄압으로 중국 수요가 소멸되었음.  







3.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2


중국_20170924_비즈워치.jpg

비트코인 가격 상승의 두 번째 요인은 


일본의 수요 증가로 (2017)







비트코인화폐인정.jpg


일본 정부가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해주고 (2017.01)






일본_20170925_비즈워치.jpg

비트코인 사용을 장려(?)해주고 있어. ㅎㅎ (2017)







기관투자자.JPG

그다음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은 기관투자자,


개인투자자의 투자 증가로 (2017)







경악_20171016_세계.jpg

비트코인 가격이 2017년도 들어서 


무섭게 상승하자 (2017)







20170626_중앙.jpg


소문을 들은 투자자들이 너도나도 투자해서


가상화폐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해. (2017.06)







급등락_20170601_중앙.jpg


가상화폐 가격 급등락이 살벌한데도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하는 중으로 (2017.06)






거래량_20170828_이투데이.jpg


가상화폐 거래량은 시간이 갈수록 


꾸준히 증가추세야. ㄷㄷ (2017.06)






거래비중_170912_뉴스핌.jpg

재미난 점은 우리나라의 가상화폐 투자


굉장히 많은 편으로 (2017.09)







우리나라_20170901_한겨레.JPG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썹과 코인원이


전 세계 가상화폐 거래소 상위권 안에 들어가고 있어. ㅋㅋ (2017.09)







3. 비트코인 가격 상승 요인-2 요약


1) 일본의 비트코인 화폐 인정과 사용 장려가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함. 


2) 비트코인 가격 상승으로 비트코인 투기 수요가 급증했음. 







4. 블록체인 


블록체인_20161025_한겨레.JPG


블록체인은 가상화폐 시스템의 보안기술로 (2016)







분산_20170824_비즈워치.jpg

거래 내역을 중앙 서버가 관리하는 게 아니고


가상화폐 사용자들이 보관하는 시스템이라고 해. (2017)








블록체인 2.jpg


블록체인 금융거래는 해킹당할 위험이


굉장히 적다고 하고 







수수료_201608_매경.jpg


중앙 서버를 둘 필요가 없어서


유지보수 비용이 적다고 하는데 (2016.08)







 블록체인장점.jpg


단점으로 거래 속도가 느리고 


블록체인 기술이 매우 어려운 편이야. 








thumb_108488.jpg


블록체인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기술투자_20170605_헤럴드경제.jpg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가 발생하고 있어서 (2017.06)







전망_201608_매경.jpg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 발달이 기대된다고 해. (2016)







하이먼민스키모델.jpg

마지막으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버블 붕괴로 무너질지 







과연.jpg


대중화 되어서 더 많이 상승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급등락_20170601_중앙.jpg


가격 급등락이 매우 살벌해서 


투자를 할 때 조심했으면 좋겠어. (2017.06)






투자사기_20171015_국민.jpg


또 정부가 가상화폐 투자사기를 잘 단속하고 (2017.10)







우리나라_20170820_서울경제.jpg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면 좋을 것 같아. ㅎㅎ (2017.08)







4. 블록체인 요약


1) 가상화폐의 보안 기술로 블록체인이란 것이 있다고 함. 


2) 분산형 금융거래 시스템으로 해킹 위험이 낮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다고 함. 


3)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음. 







과거 글 링크 : https://www.ilbe.com/10086628607







3줄 요약


1. 비트코인 시세가 꾸준히 상승해서 6천 달러를 넘었다고 함. 


2. 헤지펀드와 개인투자자의 투자 증가가 가격 상승을 견인했음.  


3. 1만 달러를 돌파할 거라는 전망과 버블이라는 평가가 엇갈리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