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80rla)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이혼율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의 이혼율
2. 이혼 통계
3. 이혼 사유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의 이혼율
(출처 : 통계청)
우리나라의 이혼건수는 한해 10만 건으로 (2017)
우리나라 혼인건수의 1/3 정도라고 해. (2015)
우리나라의 이혼건수는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지만 (2009)
심각한 혼인율 감소 때문에
이혼율도 사회문제로 부각되어서 (2017)
이혼율을 낮출 필요성이 높은 편이야. (2017. 1분기)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IMF 이후 급증해서 (2016)
이혼율과 경제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어. ㄷㄷ (2013)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 완화 차원에서
이혼율을 낮출 필요가 있는 편으로 (2015)
오늘은 이혼에 대해 알아볼 생각이야.
1. 우리나라의 이혼율 요약
1) 매년 10만 건의 이혼이 발생하고 하루 평균 300쌍이 이혼함.
2)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IMF 경제위기 이후 급증했다고 함.
3) 이혼건수는 결혼건수의 1/3 정도로 나오고 있음.
2. 이혼 통계
(이혼건수는 서울 경기가 가장 많음.)
우리나라의 시도별 이혼율은 제주, 인천이 가장 높고
세종, 대구가 제일 적은 편으로 (2017)
도시지역의 이혼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고 해. (2017)
그리고 혼인지속기간별 이혼 건수는
20년 이상 부부가 많은 상태로 (2017)
황혼이혼 급증과 고령화 때문인 것 같아. (2013)
그 외에 우리나라의 이혼의 1/4이 재판이혼이고 (2017)
월별 이혼 통계가 비교적 고르게 나왔으며 (2017)
자녀가 없는 부부의 이혼이 50% 정도로
꽤 많이 나오고 있어. (2009)
그다음으로 우리나라의 국제이혼은
이혼 비중의 7% 정도 나오고 있으며 (2017)
한국남자+외국여자의 이혼 건수가
많은 편이야. (2017)
그 이유는 아마도 한국녀+외국남 사례는
선진국 출신이 많고, 결혼 자체가 적으며 (2017)
한국남+외국녀 사례는 후진국 출신이 많고
결혼 건수가 많아서 그런 것 같아. ㅎㅎ (2017)
뭐 어쨌든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이혼은
중국, 베트남, 일본, 미국인과 많이 한다고 해. (2007)
2. 이혼 통계 요약
1) 우리나라 이혼율은 제주, 인천이 높고 세종, 대구가 낮다고 함.
2) 혼인지속기간별 이혼 건수는 20년 이상 부부가 많은 편임.
3) 국제이혼이 우리나라 이혼의 7%를 차지하고 있다고 함.
3. 이혼 사유
이혼 사유는 시대별 차이가 있으며
2000년대 이후부터 복잡해졌고 (2016)
주된 이혼 사유는 성격차이,
경제문제라고 해. (2015)
이혼 사유로 성격차이가 가장 크지만
경제 문제도 굉장히 중요한 이유로 (2015)
설문조사에 따르면 돈 문제가
가장 중요한 이유라는 말이 있으며
남편 소득이 높을수록
이혼율이 낮게 나오고 있어서 (2014)
경제문제가 이혼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 같아. ㅋㅋ (2013)
마지막으로 황혼이혼이 많아지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 부부들이 백년해로했으면 참 좋겠고
되도록 이혼하지 말고 행복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어. ㅎㅎ (2017)
3. 이혼 사유 요약
1) 주된 이혼 사유는 성격차이, 경제문제, 가족간 불화라고 함.
2) 남편소득이 높을수록 이혼율이 크게 낮아진다고 함.
3) 배우자의 외도, 학대, 알콜 중독 등도 설문조사에서 나오고 있음.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048957316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이혼은 한해 10만 건이고 결혼건수의 1/3 정도임.
2.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IMF 이후 급증했고, 2003년 이후 조금씩 감소했음.
3. 이혼 사유로 성격차이, 경제문제가 매우 높다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