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pBZBq)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전통시장으로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전통시장 소개


2. 전통시장 현황 


3. 전통시장 변화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전통시장 소개


IMG_2396.jpg


전통시장이란 예전부터 있어 오던 


상품을 사고파는 시장으로








매출_20140905_연합.jpg 

다른 유통채널의 발달로 인해 


매출이 크게 위축된 곳이야. (2014)








상품_20130716_중앙.jpg


우리나라의 전통시장은 의류, 농산물 등의 


소비재를 주로 팔며 (2013)








형태_20060125_조선.jpg


지역시장, 5일장, 골목형 시장 등이 있다고 해. (2006)








거점시장_201610.jpg


우리나라의 유명시장으로 남대문시장, 서문시장


대인시장, 자갈치시장 등이 있으며 (2016)








매출_20120520_농민.jpg


전체 시장 수는 1500여 개 정도 있고


매출액은 20조 원 정도로 알려져 있어. (2012. 추정)







매출_20161005_뉴스토마토.JPG

전통시장은 다른 유통채널에게 


확실히 밀리는 중이라 (2016)







썰렁_201703_한국일보.jpg


개선과 변화가 많이 필요한 편이야. (2017)







1. 전통시장 소개 요약


1) 전통시장은 예전부터 있어 오던 상품을 사고파는 시장이라고 함. 


2) 다른 유통채널의 발달로 인해 급속도록 쇠퇴해버렸음. 


3) 우리나라에 1500여 곳이 있고 매출액은 20조 원 정도라고 함. 







2. 전통시장 현황 


정기휴무.jpg


전통시장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이라는 


혜택을 받았지만 







매출_20170920_중앙.jpg


매출 증가는 거의 없었다고 해. (2017.09. 추정)







온라인_20150323_파이넨셜.jpeg


전통시장의 매출이 증가하지 못한 이유는 


온라인 쇼핑의 발전 때문으로 (2015)








온라인_20170922_동아.jpg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위축된 것을


온라인 쇼핑이 완벽하게 대체해주었어. (2017)







방문_20170927_헤럴드경제.jpg


또 대형마트 의무휴업과 상관없이


전통시장을 안 찾는 소비자가 많은 편으로 (2017.09)







문제점_20120517_데이터뉴스.jpg


편의시설 부족, 비위생적 환경, 


불친절, 촌스러움 때문에 (2012)







썰렁_201703_한국일보.jpg


전통시장 방문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야. (2017)







둘다운지_2017_뉴시스.jpg

그래서 대형마트 의무휴업제는 


실효성이 없는 정책으로 보이고 (2017)







고민_20131009_중앙.jpg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진정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3)







2. 전통시장 현황 요약


1)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대형마트 의무휴업제를 시행했음. 


2) 전통시장 매출 증가는 거의 없고 온라인 쇼핑만 발전했음. 


3) 전통시장의 문제점 때문에 전통시장 방문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음. 







3. 전통시장 변화 


201409_sbs.jpg


대형마트 규제정책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이 계속 부진하자 (2014)







변화_20170119_머니투데이.jpg


정부와 지자체에서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여러 정책들을 (2017)








예산_20120506_중앙.jpg


매년 2~3천억 원씩 꾸준히 시행하고 있어. (2012)








시설_20170927_헤럴드경제.jpg


전통시장에 편의시설이 생기도록 


도와주고 있고 (2017)







예시.jpg


문제가 되는 부분은 규제해서 


개선하도록 강요하는 중이야. 








개선_20160509_조선.jpg


이런 정책들이 몇몇 곳에서 성공을 거두어서 (2016)







변화_20151231_세계.jpg

전통시장 방문객이 크게 증가한 곳이 


나오고 있다고 해. (2015)







저렴.jpg


전통시장은 저렴한 가격이라는 장점이 확실히 있어서







변화_201310_매경.jpg


전통시장의 문제점들을 크게 개선하면


경쟁력이 생길 것 같아. (2013)








3. 전통시장 변화 요약


1)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여러 지원책을 하고 있음. 


2) 전통시장 현대화와 편의시설 확충을 지원해주고 있음. 


3) 몇몇 곳에서 전통시장 지원책이 성과를 보기도 했음. 







4. 내 생각 


201304_매경.jpg


전통시장을 꺼리는 이유에는


편의시설 말고 다른 이유도 많아서 (2013)








다운로드.jpg


전통시장 현대화만으로는 경쟁력 강화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노력_201509_매경.jpg

전통시장 상인들의 노력과 아이디어가


많이 필요한 실정이야. (2015)








european-market.jpg


우리나라의 전통시장은 유럽의 전통시장처럼


예쁘게 바뀔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연령_20141006_동아.jpg


20~30대 청년들이 전통시장 상인으로 많이 활동해서 (2014)







 147455404864_20160923.JPG 

우리나라 전통시장을 활기찬 곳으로 


바꿔주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201506_중앙.jpg


마지막으로 대형마트 매출 증가율이 부진한 편이라 (2015)








201304_매경3.jpg


대형마트 규제책보다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가야한다고 생각하고 (2013.04)








투입_2017.jpg


3500억 원의 전통시장 지원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했으면 좋을 것 같아. ㅎㅎ







4. 내 생각 요약


1) 시설 현대화만으로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가 부족함. 


2) 시장 상인들의 노력과 아이디어가 많이 필요하다고 봄. 


3) 전통시장 고령화가 심해서 청년들의 진출이 필요함.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10048957316







3줄 요약


1. 전통시장 매출액은 20조 원 정도이고 전국에 1500여 곳 있음. 


2. 전통시장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매출 증가율이 부진함. 


3. 문제점을 개선하고 성공한 곳이 나오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부족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