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mGY5e)
안녕~ 오늘은 중국의 저출산 고령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인구 상황
2. 중국 저출산 문제
3. 중국 고령화 문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인구 상황
중국은 인구 14억 명의 인구대국으로 (2017)
(서쪽 황무지 때문에 전체 인구밀도는 조금 낮음. 1제곱km당 139명)
인구밀도도 비교적 높은 인구대국이야. (2008)
인구대국 중국에서 인구 문제가 없을 것 같았는데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해.
중국은 80년대 추진한 한자녀 정책 때문에 (2016)
출산율이 굉장히 낮아진 상태로 (2013)
출산율 감소 때문에 인구 피라미드 모형이
안 좋은 형태로 바뀌고 있어. (2011)
(중국 국민소득은 8,481달러. 2017. IMF)
그래서 중국 정부는 가혹했던 한자녀 정책을 (2011)
2016년도 1월부로 폐기했고 (2015)
뒤늦게나마 출산장려에 나서는 중이야. (2017)
1. 중국 인구 상황 요약
1) 중국은 인구 14억 명에 도시지역 인구밀도가 꽤 높은 편임.
2) 한자녀 정책 때문에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3) 한자녀 정책을 폐기하고 출산 장려에 들어갔음.
2. 중국 저출산 문제
한자녀 정책을 폐기했지만
저출산이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2016)
중국의 출산율이 비교적 낮은 편이라 (2017)
중국은 인구구조적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고 해. (2013)
(중국의 무호적 아이들을 흑해자라고 함.)
중국에 무호적자 아이들이 상당히 많지만 (2015)
수천만 명 수준으로 생각보다 적어서 (2015. 추정치)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안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2015)
또 이런 저출산 문제 때문에
중국의 인구 증가가 정체되어서 (2015)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도에게 (2016)
세계 인구 순위 1위 자리를
빼앗길 것이라고 해. (2011)
2. 중국 저출산 문제 요약
1) 저출산 정책이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중국의 출산율이 비교적 낮음.
2) 중국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함.
3) 중국의 인구 증가가 정체되어서 세계 인구 순위 2위로 밀려난다고 함.
3. 중국 고령화 문제
중국은 고령화 속도가 상당히 빠른 나라로 (2011)
노인인구가 2억 명을 넘었고
노인인구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중이야. (2013)
중국의 인구 피라미드 모형이 안 좋은 편이라 (2015)
중국의 고령화 문제는 나중에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해. (2016)
그리고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국가 경제에도 안 좋은 문제로 (2013)
일본처럼 주택가격 하락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17)
인구구조적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어. (2013)
중국의 경제활동인구 감소는
2011년도부터 발생 중으로 (2012)
앞으로 중국 경제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편이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저출산 고령화 대책을
강하게 추진해서 (2014)
미국처럼 안정적인 인구구조의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미래 예상)
3. 중국 고령화 문제 요약
1)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우리나라 다음으로 굉장히 빠른 편임.
2) 노인인구가 이미 2억 명을 넘었고 전체 인구의 16%라고 함.
3)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중국 경제에 악영향이 될 것임.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53889
3줄 요약
1. 중국은 인구 14억의 인구대국인데,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발생 중임.
2. 한자녀 정책으로 인한 낮은 출산율이 문제여서 한자녀 정책을 폐기함.
3.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우리나라 다음이고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