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mGY5e)


표지.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저출산 고령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 인구 상황


2. 중국 저출산 문제


3. 중국 고령화 문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인구 상황 


20170623_조선.jpg

중국은 인구 14억 명의 인구대국으로 (2017)







map-population-asia-china-india.jpg

(서쪽 황무지 때문에 전체 인구밀도는 조금 낮음. 1제곱km당 139명)


인구밀도도 비교적 높은 인구대국이야. (2008)








인구수.jpg


인구대국 중국에서 인구 문제가 없을 것 같았는데








저출산.jpg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해. 








한자녀_20160105_아시아경제.jpg


중국은 80년대 추진한 한자녀 정책 때문에 (2016)








chinese_birth_rate.jpg


출산율이 굉장히 낮아진 상태로 (2013)








인구구조_20110106_경향.jpeg


출산율 감소 때문에 인구 피라미드 모형이


안 좋은 형태로 바뀌고 있어. (2011)








한자녀_20111218.jpg

(중국 국민소득은 8,481달러. 2017. IMF)


그래서 중국 정부는 가혹했던 한자녀 정책을 (2011)







 

한자녀_20151030_sbs.jpg


2016년도 1월부로 폐기했고 (2015)







출산장려_20170314_아주경제.jpg

뒤늦게나마 출산장려에 나서는 중이야. (2017)







1. 중국 인구 상황 요약


1) 중국은 인구 14억 명에 도시지역 인구밀도가 꽤 높은 편임.


2) 한자녀 정책 때문에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


3) 한자녀 정책을 폐기하고 출산 장려에 들어갔음. 







2. 중국 저출산 문제

출생아수_160712_뉴스핌.jpg

한자녀 정책을 폐기했지만 


저출산이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2016)








출산율_201704_한경.jpg


중국의 출산율이 비교적 낮은 편이라 (2017)








청소년_20130202_동아.jpg


중국은 인구구조적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고 해. (2013)








흑해자_20151130_kbs.jpg

(중국의 무호적 아이들을 흑해자라고 함.)


중국에 무호적자 아이들이 상당히 많지만 (2015)








무호적_20151130_kbs.jpg


수천만 명 수준으로 생각보다 적어서 (2015. 추정치) 







 

무호적_20151030_sbs2.jpg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안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2015) 








역전_20151008_국민.jpg


또 이런 저출산 문제 때문에 


중국의 인구 증가가 정체되어서 (2015)







인도_201605_한경.jpg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도에게 (2016)






20110720_한국일보.jpg

세계 인구 순위 1위 자리를 


빼앗길 것이라고 해. (2011) 







2. 중국 저출산 문제 요약


1) 저출산 정책이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중국의 출산율이 비교적 낮음. 


2) 중국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함. 


3) 중국의 인구 증가가 정체되어서 세계 인구 순위 2위로 밀려난다고 함. 







3. 중국 고령화 문제

고령화_20110308_중앙.jpg


중국은 고령화 속도가 상당히 빠른 나라로 (2011)







노인_20130303_서울경제.jpg

노인인구가 2억 명을 넘었고


노인인구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중이야. (2013)








인구구조_20151030_경향.jpg


중국의 인구 피라미드 모형이 안 좋은 편이라 (2015)








노인인구_201607_이코노믹리뷰.jpg


중국의 고령화 문제는 나중에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해. (2016)







변화_20131105_중앙.jpg


그리고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국가 경제에도 안 좋은 문제로 (2013)







부동산_201707_한경.jpg

일본처럼 주택가격 하락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17)







하방압력_20130129_china_0.jpg


인구구조적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어. (2013)






 

생산가능인구_201205_동아.JPG

중국의 경제활동인구 감소는 


2011년도부터 발생 중으로 (2012)








china population.jpg


앞으로 중국 경제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편이야. 








201412_중앙.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저출산 고령화 대책을 


강하게 추진해서 (2014)






 

2030_demographics.jpg

미국처럼 안정적인 인구구조의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미래 예상)








3. 중국 고령화 문제 요약


1)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우리나라 다음으로 굉장히 빠른 편임. 


2) 노인인구가 이미 2억 명을 넘었고 전체 인구의 16%라고 함. 


3) 저출산 고령화 문제는 중국 경제에 악영향이 될 것임.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53889







3줄 요약


1. 중국은 인구 14억의 인구대국인데,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발생 중임. 


2. 한자녀 정책으로 인한 낮은 출산율이 문제여서 한자녀 정책을 폐기함.


3. 중국의 고령화 속도는 우리나라 다음이고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