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StEOa)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과 철수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
2. 우리나라 기업의 공장 이전
3. 유통업체의 중국 진출 상황
4.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사업 위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
중국은 거대한 내수 시장, 풍부한 노동력,
높은 성장성 등으로 매력이 높아서 (2012)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어. (2013)
우리나라 기업들도 중국 내수시장 공략과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2009)
중국에 많이 진출한 편으로
약 3500개 기업이 중국에 진출했다고 해. (2014)
우리나라의 중국 진출 기업은
제조업 기업들이 매우 많고 (2014)
중소기업이 많이 진출했으며 (2014)
중국 해안지역에 많이 몰려 있는 편이야. (2014)
다만 중국의 빠른 인건비 상승과
불친절해진 기업 정책 때문에 (2015)
연도별 중국 진출 기업 수가 크게 감소했고
중국에서 동남아로 빠져나가는 중으로 (2014)
중국 진출 한국 기업 수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해. ㅎㅎ (2014)
1.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 요약
1) 중국 내수시장 공략과 저임금 노동력 활용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진출했음.
2) 제조업, 소매업 기업들이 중국에 많이 진출했음.
3) 메리트 감소로 인해 중국 진출 한국 기업 수가 빠르게 감소 중임.
2. 우리나라 기업의 공장 이전
중국의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고
중국의 기업 정책이 불친절해지자 (2015)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액이 크게 감소 중으로 (2017)
중국 말고 동남아로 많이들 가고 있어. (2015)
공장 이전을 가장 활발하게 한 우리나라 기업은
삼성전자로 (2014)
휴대폰 생산거점으로 중국이 아닌
베트남을 쓰고 있으며 (2016)
중국 직원 수보다 동남아 직원 수가
훨씬 많은 상황이야. ㅎㅎ (2017)
(중국에서 전자제품을 조립해서 미국, 유럽에 수출함.)
다만 중국의 반도체 소비 때문에 (2017)
7조 원 이상을 투자해서
반도체 공장을 크게 짓고 있다고 해. (2017)
뭐 어쨌든 중국 사업에 문제가 많아서
외국기업들도 철수하는 중으로 (2014)
우리나라 기업도 중국 사업에 실패해서
동남아로 눈을 돌리거나 (2015)
국내 사업을 크게 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어. ㅎㅎ (2014)
2. 우리나라 기업의 공장 이전 요약
1) 중국의 빠른 인건비 상승과 반기업 정책 때문에 메리트가 감소했음.
2)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가 크게 감소했고 동남아로 공장을 이전 중임.
3) 삼성전자의 생산기지 이전이 굉장히 빠르고 훌륭했음.
3. 유통업체의 중국 진출 상황
유통기업들이 중국의 내수시장을 기대해서
많이 진출했는데 (2017)
대부분이 처참하게 실패한 편이야. (2011. 이마트)
그 이유는 중국의 소득구조가 심각하게 왜곡되어서 (2009)
중국의 소비시장이 생각보다 훨씬 작은 편으로 (2016)
선진국의 고정관념으로 중국을 평가하면
큰 손해를 볼 수가 있어. (2014)
우리나라의 롯데그룹이 10조 원을 투자할 정도로
중국 사업에 적극 뛰어들었는데 (2017)
중국의 끔찍한 소득불균형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는지 (2013)
중국 사업에서 매년 적자를 기록했다고 해. (2015)
그 외에 중국은 외국 유통, 서비스업 기업에게
대단히 불친절한 나라로 (2016)
이들 유통, 서비스업 기업들이
정치 보복을 쉽게 당하고 있는 중이야. (2017)
3. 유통업체의 중국 진출 상황 요약
1) 많은 유통업체들이 중국에 진출했다가 큰 실패를 기록했음.
2) 끔찍한 소득불균형 때문에 중국의 내수규모가 생각보다 작은 편임.
3) 중국에 진출한 외국 유통, 서비스업 기업들은 정치 보복의 표적이 되기 쉬움.
4.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사업 위기
이마트는 10년째 누적된 중국 사업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2015)
철수하기로 결정했으며 (2017)
롯데그룹은 가뜩이나 안 되는 장사가
사드보복으로 더 망해버려서 (2017)
(10조 원을 투자해서 쉽게 포기 못할 듯.)
자금수혈로 중국 사업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 (2017)
중국의 지저분한 정치 보복 때문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보는 중으로 (2017)
많은 업체들이 중국 사업을 포기했거나
사업 구조조정을 하는 중이야. (2017)
그리고 현대기아차가 올해 중국 시장에서
큰 피해를 보고 있는 중으로 (2017)
현대기아차의 중국 판매량이
급감했으며 (2017)
현지 합작회사인 베이징기차와
큰 갈등이 발생해서 (2017.09)
중국 공장 가동 중지 같은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 (2017)
그래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에 투자할 때
신중했으면 좋겠고 (2014)
일본처럼 중국 비중을 줄이는 것도
좋을 것 같아. ㅎㅎ (2017)
마지막으로 중국에서 외국 기업이 빠져나가는 것은
중국 경제에도 해로운 일이니깐 (2017)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에게 친절해졌으면 참 좋겠어. (2016)
4.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사업 위기 요약
1) 이마트는 중국에서 철수했고 롯데는 큰 피해를 보고 있음.
2) 현대기아차의 중국 판매가 부진했고 현지 합작회사와 갈등을 겪고 있음.
3) 많은 기업들이 중국 시장 철수를 고려하거나 사업 구조조정을 하는 중임.
과거 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53889
3줄 요약
1.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에 많이 진출했다가 철수하고 있음.
2. 인건비 급상승, 불친절한 기업 정책 때문에 동남아로 이전 중임.
3. 중국의 사드 보복 때문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보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