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x8POU)


천연가스2.jpg


안녕~ 오늘은 천연가스 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천연가스 소개


2. LNG 시장


3. 우리나라 LNG 소비


4. LNG 가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천연가스 소개


삼성중공업_블로그.jpg

(사진 출처 : 삼성중공업 블로그)


천연가스란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로 







이산화탄소_20120210_조선.jpg


석탄, 석유보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적어서 (2012)






maxresdefault.jpg


비교적 클린한 에너지로 평가받는 에너지원이야. 







소비_20170504_한겨레.JPG

천연가스는 전력생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에 주로 사용되며 (2017)







천연가스.jpg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고 있어. 







Worldwide-Natural-Gas-Production-By-Region-20150610.jpg


천연가스는 북미 대륙유라시아 대륙에서 주로 생산되고


중동 지역에서 의외로 적게 생산되는 에너지원으로 (2015)







전세계생산국_2015.jpg


미국과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량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2015)







20130506_국민.jpg

(미국은 세일 혁명으로 천연가스 순수출국으로 바뀌었음.)


천연가스 수입은 선진국들이 많이 한다고 해. (2013)







1. 천연가스 소개 요약


1) 천연가스란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임. 


2) 공해가 적어서 비교적 클린한 에너지로 평가받고 있음. 


3) 천연가스는 전력생산, 도시가스, 지역난방에 주로 사용됨. 







2. LNG 시장


gas-pipeline-pipeline-welding.jpg


천연가스 가스관이 연결된 북미 지역과 







가스관_20140331_중앙.jpg


유럽-러시아 지역은 천연가스를 그대로 쓰지만 (2014)







액화천연가스_20120210_조선.JPG

가스관이 없는 나라들은 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로 바꾸어서 쓰고 있어. (2012)







Vessel_energyhorizon.jpg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천연가스가 


바로 액화천연가스(LNG)로 







수입_20170712_중앙.jpg


아시아 국가들의 천연가스 수입은 


대부분이 LNG라고 해. (2017)







global_lng_exporters.jpg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은 카타르,


호주, 말레이시아가 많이 하고 (2016)







수입국_20170329_서울경제.jpg

일본, 한국, 중국, 인도, 대만이 


많이 수입하는 중이야. (2017)







2. LNG 시장 요약


1) 아시아 국가들은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천연가스를 수입함.


2) LNG 수출국은 카타르, 호주, 말레이시아 등이 있음.


3) LNG 수입국은 일본, 한국, 중국, 대만 등이 있음.







3. 우리나라 LNG 소비


수입처_201707_한경.jpg

우리나라의 LNG 수입은 카타르, 호주, 오만


말레이시아 등으로 다변화되어 있고 (2017)







에너지_20170808_디지털타임즈.jpg


우리나라 전력생산에서 


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2017)








발전단가_20170630_조선.jpg


하지만 LNG의 발전 단가가 비싸서 


경제성이 떨어지는지라 (2017)







이용률_20150721_한국일보.jpg


발전소 이용률이 상당히 낮은 편으로 (2015)







발전소.jpg


LNG 발전소 대부분이 예비전력으로 


쓰인다고 해. ㅎㅎ






20120412_한경.jpg

천연가스 가격은 2008년도에 비하면


많이 싼 편이지만 (2012)







비교_20170630_조선.jpg


석유, 석탄에 비하면 확실하게 비싼 자원이라 (2017)






우리나라소비.jpg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수입은 


의외로 감소하는 중이야. (2015)







3. 우리나라 LNG 소비 요약


1) LNG는 우리나라 전력생산의 22%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2) 비싼 LNG 가격 때문에 LNG 발전소의 가동률이 낮은 편임. 


3) 석탄, 석유보다 확실하게 비싼 가격이 흠임. 







4. LNG 가격 


카타르생산량_2016.jpg

LNG 가격은 카타르의 증산과 (2016)







세일혁명.jpg

미국의 세일 혁명 때문에 가격이 싸져야 정상인데 (2016)








가격_201708_한경.jpg 

천연가스 가격은 작년보다 올라가고 있어. (2017.08)







중국_20170227_조선.jpg

그 이유로 중국의 폭발적인 LNG 수입 증가와 (2017)






세계_20170728_에너지경제.jpg

(태풍 하비로 인한 단기적인 원인도 있음,)


세계 각국의 LNG 소비 증가가 


원인으로 보인다고 해. (2017)







변동성_20161212_이투데이.jpg


그 외에 천연가스는 공급자가 적어서 


석유보다 가격 변동이 심한 편으로 (2017)






ko-natural-gas-upside-downside-risks-fig02.jpg

최근 가격이 비교적 싼 편이지만 


상당히 불안한 에너지원이야. (2015)







비용_20170321_에너지경제.jpg


그래서 LNG 발전 비중을 늘리는 것은


비용 부담이 커서 (2017)






수입단가_20170518_서울신문.jpg


실행 계획을 신중히 했으면 좋겠어. (2017)








트럼프.jpg


마지막으로 미국이 북핵 문제로 


화가 많이 난 상태라 







가스관2.jpg


한반도 가스관 사업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고







미국산_20170201_중앙.jpg


차라리 미국산 세일가스를 수입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ㅎㅎ (2017)







4. LNG 가격 요약


1) LNG 가격은 중국의 소비 증가 덕분에 조금씩 올라가고 있음. 


2) LNG 가격은 석유에 비해 가격 변동이 심한 편임. 


3) LNG 발전 비중을 늘리는 계획은 신중히 할 필요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9995053889







3줄 요약


1. 천연가스는 공해가 비교적 적은 클린한 에너지원임. 


2. 석유, 석탄보다 가격이 많이 비싼 게 최대 단점임. 


3. 공급자가 적어서 석유보다 가격 변동이 심한 편임.